[전체] “박중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3)
사전(26)
- 박중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박성삼(朴成三)과 어머니 유정천(劉定天) 사이에 3남으로 태어났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릴 때부터 영민하고 범상하지 않았으며 신의가 있고 탐구적인 소년이었다. 박중빈은 7세 때에 청명한 하늘을 보고 우주‧자연 현상에 대한 의문을 품었으며, 인간의 생사...이칭별칭 처화(處化)| 소태산(少太山), 대종사(大宗師)
- 십인일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원불교에서 교도의 훈련 및 교단통치를 능률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만든 조직체. [내용] 교화단(敎化團)이라고도 한다. 교조 소태산(少太山, 朴重彬)이 처음 9명의 제자를 얻어 조직한 것이 그 시초이다. 단장(통솔자) 1명과 중앙(...이칭별칭교화단(敎化團)
- 조선불교혁신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35년 박중빈(朴重彬)이 불교혁신에 대하여 쓴 책. [내용] 총론과 전문 7장으로 되어 있다. 원불교 교조인 박중빈은 현실세계의 위기를 간파하였고 그 구제가 시급함을 절감하였다. 구제의 방법이 시대의 요청에 부응할 새 종교의
- 김광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79(고종 16)∼1939. 원불교의 성직자. [내용] 본명은 성섭(成燮), 법호는 팔산(八山). 전라남도 영광 출신. 창교주 박중빈(朴重彬)의 9인제자 중의 한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한문을 수학하였으며 17세 때는 음양복술을...이칭별칭 팔산(八山)|김성섭(金成燮)
- 불조요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박중빈(朴重彬)이 찬(纂)한 원불교 경전. [내용] 1943년에 편찬된 ≪불교정전 佛敎正典≫에 수록되었으며, 1962년에 원불교 교전과 분책(分冊)된 후 1965년에 발행되었다. ≪금강경≫‧≪반야심경≫‧≪사십이장경 四...
단행본(1)
- 한국신종교사전 [한국신종교사전(韓國新宗敎事典) | 원광대학교]저자 : 한국신종교사전편찬위원회 ... | 출판사 : 도서출판 한맘 | 출판일 : 20180625근대에 발생한 한국 신종교들은 근대 대중·민중의 삶을 읽어낼 수 있고, 현대 신종교들은 또 다른 종교문화의 삶을 읽어낼 수 있는 재료가 되기에 중요하다. 근현대 한국 종교문화의 흐름은 먼저 유·불·도 삼교를 주축으로 하는 전통 종교문화의 근현대적인 변모를 담고 있다. ...
고서·고문서(9)
- 1788년 기태온(奇泰溫) 등 소지(所志)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788년(정조12)3월에 기태온(奇泰溫)등이 선산(先山) 아래 있는 밭을 환퇴(還退)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장성부사(長城府使)에게 청원한 문서이다. 장성부사가 환퇴하라고 박중빈(朴重彬)에게 명하였지만, 박중빈이 이를 거부하자 기태온등이 다시 한번 청원하였다. 장성부...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 1788년 기태온(奇泰溫) 등 소지(所志)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788년(정조12)3월에 기태온(奇泰溫)등이 행주기씨(幸州奇氏)의 선산(先山) 인근에 몰래 묘를 쓴 박중빈(朴重彬)을 처벌해 달라고 장성부사(長城府使)에게 청원한 문서이다. 기태온은 박중빈이 몰래 노비의 묘를 쓰려는 것을 말리려 하였지만, 오히려 구타하고 협박하여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 대금(貸金)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2_2398 채권 궐석판결원본 홍주구재판소(洪州區裁判所) 대금(貸金) 청구에 관한 건 융희(隆熙) 3년 민제73호 1909년 6월 25일 류갑수(柳甲秀) 서기 김호병(金浩秉) 박중빈(朴重彬) 충청남도 홍주군(洪州郡) 얼방면(?方面)...재판기관홍주구재판소(洪州區裁判所) | 판결일자1909년 6월 25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4 第四統統首林最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年 伍拾玖甲寅同婢一所生婢自音辰前逃亡二所生婢者音分年拾玖甲午婢次花一所生奴加八里年貳拾貳辛卯等己 酉戶口相准 第二戶 寡林召史年陸拾壹壬子本羅州父太成祖萬大二祖不知等己酉戶口相准 第三戶 寡徐氏年參拾捌乙亥籍大丘父學生泰貞祖學生斗望曾祖嘉善大夫儀雲外祖學生朴重彬本密陽婢石乙禮 年參拾...연도_면이름1792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三隔洞里
- 7 第七統統首徐冑愿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95년_웅촌면(熊村面) 1795년 웅촌면(熊村面) 第二內山下里 7 第七統統首徐冑愿 第一戶 幼學徐冑臣改名冑愿年肆拾柒己巳本大丘父學生泰禎祖學生斗望曾祖學生義雲外 祖學生朴重彬本密陽妻安氏年肆拾玖丁卯籍順興父訓鍊院僉正世富祖學生尙輝曾祖學 生以道外祖學生金漢重本金海...연도_면이름179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二內山下里
구술자료(1)
- 원불교 창시자 박중빈의 깨달음과 담대함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어렸을 때 박중빈(원불교 창시자)을 보았던 경험담을 말하면서 이야기를 구연했다.조사일시2009. 1. 7(수) | 조사장소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도동리 245번지 중앙당한약방 | 제보자한희천
멀티미디어(115)
- 국 신종교 탄생의 배경 2주차. 세상을 개벽하다 3주차. 수운 최제우의 생애와 사상 4주차. 강증산의 생애와 종교 활동 5주차. 일제 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6주차. 소태산 박중빈의 생애와 사상 7주차. 원불교 알아보기 8주차. 일상생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 신종교Ⅰ | 강의자허석
- 국 신종교 탄생의 배경 2주차. 세상을 개벽하다 3주차. 수운 최제우의 생애와 사상 4주차. 강증산의 생애와 종교 활동 5주차. 일제 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6주차. 소태산 박중빈의 생애와 사상 7주차. 원불교 알아보기 8주차. 일상생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 신종교Ⅰ | 강의자허석
- 국 신종교 탄생의 배경 2주차. 세상을 개벽하다 3주차. 수운 최제우의 생애와 사상 4주차. 강증산의 생애와 종교 활동 5주차. 일제 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6주차. 소태산 박중빈의 생애와 사상 7주차. 원불교 알아보기 8주차. 일상생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 신종교Ⅰ | 강의자허석
- 국 신종교 탄생의 배경 2주차. 세상을 개벽하다 3주차. 수운 최제우의 생애와 사상 4주차. 강증산의 생애와 종교 활동 5주차. 일제 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6주차. 소태산 박중빈의 생애와 사상 7주차. 원불교 알아보기 8주차. 일상생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 신종교Ⅰ | 강의자허석
- 국 신종교 탄생의 배경 2주차. 세상을 개벽하다 3주차. 수운 최제우의 생애와 사상 4주차. 강증산의 생애와 종교 활동 5주차. 일제 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6주차. 소태산 박중빈의 생애와 사상 7주차. 원불교 알아보기 8주차. 일상생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 신종교Ⅰ | 강의자허석
기타자료(1)
- 박중빈;朴重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3464 북한 평북 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 3-07 회지 제2호 1934―03―25 103면 9. 제8회 졸업생 (48) 박중빈;朴重彬 평안북도 태천군 원면 속흥동학교소재지역평북 | 학교명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9)
-
박중빈 / 朴重彬 [종교·철학/원불교]
1891-1943. 항일기의 원불교의 교조이며 대종사(大宗師). 자는 처화(處化). 호는 소태산(少太山). 전남 영광에서 출생. 1916년 4월 28일 대각을 이루었다고 하는데, 뒤에 이 날을 원불교의 개교일로 정하였다. 1924년 전라북도 익산군에서 불법연구회를 조직
-
원불교 / 圓佛敎 [종교·철학/원불교]
1916년 박중빈(朴重彬)이 창시한 종교. 원불교는 그 연원을 불법에 두고 있으며, 시대에 맞는 새로운 불교이다. 그러나 외면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차이는 신앙 대상의 상징이 다르며, 불교와의 역사적 교섭관계가 전혀 없다는 사실이다. 교단의 운영방식과 제도면에서도
-
불조요경 / 佛祖要經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연원경전. 원불교의 교조 박중빈이 편집하였다. 1943년에 편찬된 <불교정전><사십이장경><현자오복덕경><업보차별경> 등의 다섯 경전과 <수심결><목우십도송><휴휴암좌선문> 등 세 편의 논이 수록되어 있다. 이 경전은 불법을 주체로 한 원불교 사상의 연원을
-
수위단회 / 首位團會 [종교·철학/원불교]
된 것은 1917년 박중빈이 그 밑에 모여든 제자들을 십인일단으로 조직하면서부터이다.
-
조선불교혁신론 / 朝鮮佛敎革新論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교조 박중빈이 쓴 책. 1935년에 발표되었으며 총론과 전문 7장으로 되어 있다. 불법의 가르침이 탁월하다는 전제 아래 당시의 불법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각종 각파로 나뉘어져 현상적인 제도나 운영방법에 결함이 있음을 알고 그 폐단을 고칠 것을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