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주대” 에 대한 검색결과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36(헌종 2)∼1912. 조선 말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계우(啓宇), 호는 나암(羅巖)ㆍ침천(枕泉). 경상북도 예천 출신. 아버지는 득녕(得寧)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는 아버지에게 글...
    이칭별칭계우|나암|침천
  • 현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상대방의 아들. 今於賢器之過 又復寄音 副之以如斯臺原韻 .明之眷眷此無狀 何若是其勤且摯也, (), 40-14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권권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돌보아주는 모양. 今於賢器之過 又復寄音 副之以如斯臺原韻 .明之眷眷此無狀 何若是其勤且摯也, (), 40-14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만음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생각나는 대로 시를 지어 읊음. 賢執事占取得自家境界不可無.副敎意 故忘拙構呈 玆盖病.漫吟 都不成說話 勿煩卽秘 千萬, (), 40-14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현집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 상대방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그 밑에서 일하는이를 일컬어서 상대방을 높이는 말. 賢執事占取得自家境界 不可無.副敎意 故忘拙構呈 玆盖病.漫吟 都不成說話 勿煩卽秘 千萬, (), 40-14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6)

기타자료(2)

  • 박주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1220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3호 1925 140면 1. 본년도 회원 씨명;1학년 병반 박주태;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우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9598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4호 1927 159면 ㅁ1. 본년도 회원 씨명;ㅁ(학년반)1갑 박우태;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836∼1912). 1895년 을미사변 때 창의통유문을 지어 유문에 보내고 안동 의병장 권세연을 비롯하여 이강년·서상렬 등 의병장을 지원하였다. 또 아버지 박득녕이 써오던《역서일기》를 평생 이어서 썼다. 저서로는《나암유고》·《나암수록》·《문음보》·

  • 우계일고 / 尤溪逸稿 [종교·철학/유학]

    박수서의 문집. 목판본, 서:이돈우(1877), 간궐후:(1910), 2권1책. 1910년 후손 등이 편집‧교감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는 이돈우의 서문과 연보가 있다. 권1에는 시17제 18수, 권2는 부록으로 박주종이 쓴 행장과 조성교가 찬한 묘지명을 수

  • 능고집 / 能皐集 [종교·철학/유학]

    능고 박신경의 문집. 석인본, 발:(1909)‧박만진(1910). 6권3책. 권1는 시 54제 77수, 권2에는 서 11편과 서 3편, 기 5편, 발 3편이 실려 있다. 권3,4는 잡저로 <주서강록간보차의상>과 <주서강록간보차의하>가 수록, 권5는 <서론어문의통

  • 나암수록 / 羅巖隨錄 [역사/근대사]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가 조선 말기의 상황을 연차적으로 서술한 역사서. 야사집. 1책. 신활자본. 본래의 서명은 『수록(隨錄)』인데 저자의 호를 앞에 덧붙여 『나암수록』이라 하였다. 원래 불분권(不分卷) 4책으로 저자의 수고본 그대로 현손 박

  • 나암유고 / 羅巖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유학자 의 시·서(書)·기·만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권1·2에 시 950 수, 권3에 서(書) 92편, 권4에 잡저 2편, 서(序) 3편, 기(記) 5편, 발 7편, 상량문 7편, 축문 10편, 뇌사(誄辭) 2편, 제문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