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박종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8)
- 박기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74(영조 50)∼1845(헌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반남(潘南). 자는 미호(眉皓), 호는 이탄재(履坦齋). 사복(師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원(左源)이고, 아버지는 우부승지 종신(宗臣)이며, 어머니는 최...이칭별칭 미호(眉皓)| 이탄재(履坦齋)| 효문(孝文)
- 서헌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신(朴宗臣)의 딸이다. 1829년(순조 29)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844년(헌종 10) 성균관대사성에 취임하였고, 3년 후 관북지방에 흉년이 들자 구제사업을 위하여 파견되었으며, 1850년(철종 1) 사은부사(謝恩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호군(護...이칭별칭 치장(稚章)| 석운(石耘)| 효문(孝文)
- 박재원(朴在源)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첫째부인)조씨(趙氏): 조명원(趙明源)의 딸 →(자녀)2자 (둘째부인)이씨(李氏): 이돈중(李敦中)의 딸 →(자녀)1자 (1자)박종신(朴宗臣) (2자)박종유(朴宗維) (3자)박종경(朴宗京) [총론] [1723년(경종 3)~1780년(정조...
- 곡산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나타나는 민란의 형태에까지 이르지는 못했으나, 우발적인 폭동 사건이 자주 일어나던 시기였다. 곡산민란은 이와 같은 폭동 사건의 효시적인 형태였다. 1811년 2월 곡산부사 박종신(朴宗臣)이 서북변 감색(監色 : 감관과 색리의 합칭)과 백성들이 창고의 곡식을...
- 함흥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 것을 보고, 그해 봄에 받은 환곡을 이자와 함께 함흥부에서 거두려고 한 데 격분하여 일어난 것이다. 그러나 당시 이정청에서는 환곡폐지령을 취소하였는데, 함흥부민들은 이러한 사실을 잘 알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면용‧박종진(朴宗辰)‧이경섭(李敬涉) 등은 수창죄로...
고서·고문서(15)
- 병진년 박종신(朴鐘信)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령 천궁 경주김씨
- 龍洞宮(1793)_황해도 안악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48447 19303_66_9_1421 奎19303_66_9 龍洞宮(1793) 황해도 안악군 安谷坊 越中垌 황해도 안악군 安谷坊 越中垌 48 48결 박종신(朴宗信) 박종신(朴...자료번호19303_66_9_1421 [奎19303_66_9]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3377 B023377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純祖 6年 9月 26日_035 ○獻納朴宗臣啓曰, 請金甲島爲奴罪人克觀, 更令王府, 嚴鞫得情, 快正王法。 請逆賊尙魯, 亟施孥戮之典。 請亟下三啓傳旨, 令攸司卽速擧行焉。 請正法罪人鏔, 亟施孥戮之典。 請絶島爲奴罪...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신도(薪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副護軍單朴宗臣·柳命源, 副司直單金星甲·朴孝成·洪冕燮·尹在陽·尹久東·韓兢履·李敬參·李鍾穆·洪百儀·韓用儀。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7046 B057046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純祖 6年 4月 12日_020 ○獻納尹致鼎, 正言朴宗臣啓曰, 請金甲島爲奴罪人克觀, 更令王府, 嚴鞫得情, 快正王法。 措辭見上 請逆賊尙魯, 亟施孥戮之典。 措辭見上 請亟下三啓傳旨, 令攸司卽速擧行焉。 措辭見上 請正法罪...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2)
- 박종신;朴鍾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6756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89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박종신;朴鍾信 충청남도;橫濱共立女子神學校 2...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종신;朴鍾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7087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정신 제3호 1937 86면 1. 졸업생 상황 (1937년 1월 조사) 박종신;朴鍾信 충북 괴천 (졸업기수)24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박종신 / 朴宗臣 [종교·철학/유학]
1754년(영조 30)~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박필철, 조부는 박사복이다. 부친 통훈대부 수원진관병마절제도위 박재원과 모친 조명원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생은 박종유이다. 부인은 최수일의 딸이다. 1806년(순조 6) 이태순‧조양진‧한긍리 등과 함께 홍문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