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박제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5)
사전(139)
- 박제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감수, 中央日報季刊美術, 1982) 韓國의 美 18-花鳥四君子-(鄭謨 책임감수, 中央日報季刊美術, 1985) 朝鮮後期 文化運動史(鄭玉子, 一潮閣, 1988) 貞蕤朴齊家硏究(金龍德, 中央大學校論文集 5, 1961) 朴齊家의 北學...이칭별칭 차수(次修), 재선(在先), 수기(修其)| 초정(楚亭), 정유(貞?), 위항도인(葦杭道人)
- 박제가(朴齊家)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박제가 박제가 朴齊家 인물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한국 조선 영조~순조 박은화 이범직 2012 차수(次修), 재선(在先), 수기(修其) 초정(楚亭), 정유(貞蕤), 위...
- 서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49(영조 25)∼1802(순조 2).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이중(而仲). 서얼(庶孼) 출신이지만 학문이 뛰어나 유학(幼學)으로서 1779년(정조 3) 박제가(朴齊家)ㆍ이덕무(李德懋), 생원 유득공(...이칭별칭 이중(而仲)
- 평양잡절송이무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박제가(朴齊家)가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칠언절구. 6수. 작자가 평양으로 떠나는 벗 이덕무(李德懋)를 전송하면서, 평양의 유적에 얹어 감회를 적은 시이다. 연작형식의 작품이다. 『정유집(貞蕤集)』과 『한객건연집(韓客...
- 성대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성리학자로서의 체질을 탈피하지는 못했으나, 당대의 시대사상으로 부각된 북학사상(北學思想)에 경도하여 홍대용(洪大容)ㆍ박지원(朴趾源)ㆍ이덕무(李德懋)ㆍ유득공(柳得恭)ㆍ박제가(朴齊家) 등과 교유하면서 이들에게 가학(家學) 및 스승 김준(金焌)에게서 전수받은 상수학적(象數學...이칭별칭 사집(士執)| 청성(靑城)
단행본(1)
- 책만 보는 바보 [중국 내 한국 문화번역 인재 양성을 위한 교수요목 및 교재 개발 사업 | 山東大學 (Sandong University)]저자 : 高红姬,朴爱阳,董超越,高子迪,李雪冉,李真 ... | 출판사 : 山东大学 外国语学院 朝鲜语系 | 출판일 : 20210401책만 보는 바보는 이덕무와 그의 벗들, 즉 조선 후기의 실학자들의 삶을 담은 책이다. 하루 종일 들판에서 일하고 돌와와 봐야 먹을 것도 입을 것도 넉넉하지 않았던 시대, 굶주림의 고통을 겪어 보고, 날 때부터 사람의 운명을 갈라놓은 신분제도의 문제점을 느껴 온 선비들의...
고서·고문서(323)
- 주역대전 : 해제_36. 박제가(朴齊家)의 주역(周易)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주역대전 58 해제 36. 박제가(朴齊家)의 주역(周易) 박제가(1750~1805)의 본관은 밀양. 자는 차수(次修), 재선(在先)이고, 호는 초정(楚亭)‧정유(貞蕤)‧위항도인(葦杭道人)이다. 연암 박지원 밑에서 공부하여 이용후생(利用厚生)의 학풍을 이어받았...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정유고략(貞蕤稿略)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북학의(北學議)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북학의(北學議)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정유각초집(貞蕤閣初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기초학문(5)
- 박제가 삶의 마음 속 出路, 燕京의 友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승수, 게재일 : 201142353 이승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양대학교/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박제가 삶의 마음 속 出路, 燕京의 友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1
- 朴齊家 삶의 두 출로, 友情과 燕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승수, 게재일 : 201144601 이승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온지학회/온지학회 2011 朴齊家 삶의 두 출로, 友情과 燕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박제가 기행문의 문예 미학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성룡, 게재일 : 200927835 김성룡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박제가 기행문의 문예 미학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박제가의 對淸회화교류와 청 회화의 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현권, 게재일 : 201239777 김현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국사학회 2012 박제가의 對淸회화교류와 청 회화의 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조선후기 언어 문자관의 토대와 전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수밀, 게재일 : 2007ory=ResearchPaper&m201_id=10014623&local_id=10015366 조선 후기 언어 문자관의 이론적 토대와 전개- 박지원과 박제가 및 홍길주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6)
- 민세안재홍전집 : 現代思想의先驅者로서의 茶山先生地位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966 1935 8 15 1 1 安在鴻 안재홍 現代思想의先驅者로서의 茶山先生地位 國家的社會民主主義者 잡지 신조선 12호 27~30쪽 논문 역사 직접자료 4권 茶山, 洪大容, 李瀷, 柳馨遠, 朴齊家, 朴...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茶山先生과種痘法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젠너, 天然痘, 牛痘術, 李能和, 麻科會通, 奎章閣, 朴齊家, 丁學淵, 李瀷, 實學派 B19341215신조02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문교조선_1935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淸原貞雄 106 淸鮮文化交流硏究の動機及其課程-朴齊家と私 藤塚隣 137 地質竝鑛物講習會の記 上田常一 145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5
- 주간씨티_2000_1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48 인물연구-박제가 50 쑥 이야기(1) 최일남 52 꽃을 사랑하는 마음 박...발행국가캐나다 | 발행연도2000
- 우리들_1972_07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이제스트 (2)-박제가의 북학의 이근영 73 농촌법률해설 (7)-부부사이의 법률문제 (1) 장현태 76 세계의 지붕밑 (2)-나일강에 흐르는 낙...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2
기타자료(1)
- (연재교양) 박제가의 북학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연재교양) 박제가의 북학의 (연재교양) 박제가의 북학의 (연재교양) 朴齊家의 北學議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원호 | 사료철명문교행정
연구과제(1)
-
《무예도보통지》의 동아시아 도검무예 교류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곽낙현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3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8)
-
박제가 / 朴齊家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1750∼1805). 1779년 3월 규장각에 검서관직을 설치해 서얼 출신들이 하급관리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이 열리자, 이덕무·유득공·서이수과 함께 초대 검서관으로 임명되었다. 1794년 2월 춘당대무과에 장원하여 오위장이 되었다가 영평현령으로 옮
-
정유각삼집 / 貞㽔閣三集 [언론·출판]
저자 박제가(1750-1805). 필사본. 1책. 책의 구성은 1책 61장이다. 표제는 <정유시고>로 되어 있다. <정유각삼집>은 박제가의 시집 제3권이다. 전체 5권 5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책은 세 번째 책으로 낙질 결본이다.
-
정유각시집 / 貞㽔閣詩集 [언론·출판]
저자 박제가(1750-1805). 필사본. 5책. <정유각시집>은 박제가가 지은 각종 시를 모아 편집한 책으로 5권 5책이다. 이 필사본은 전체가 완비된 완본으로서 선본이다. 이 책의 판심에 '옥로산방'이란 서재명이 새겨져 있다. 이 서재명은 구한말의 저명한 장서가인
-
평양잡절송이무관 / 平壤雜絶送李懋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제가(朴齊家)가 지은 한시. 칠언절구. 6수. 작자가 평양으로 떠나는 벗 이덕무(李德懋)를 전송하면서, 평양의 유적에 얹어 감회를 적은 시이다. 연작형식의 작품이다. 『정유집(貞蕤集)』과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에 실려 있다.「평양잡절송이무관」은 박제
-
규장전운 / 奎章全韻 [언어/언어/문자]
·이서구(李書九)·이가환(李家煥)·성대중(成大中)·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 등이 교정한 다음, 1796년에 간행하였다. 그 뒤 방각본(坊刻本)으로도 많이 인행되어 이본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