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장현” 에 대한 검색결과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고, 서구 문화를 비판적으로 섭취함으로써 유교 문화의 보편적 세계성을 재확인하고자 하였다. 『중산전서(中山全書)』 『중산(中山) () 연구(硏究)』(금장태 외, 민족문화사, 1994...
    이칭별칭 문경(文卿)| 중산(中山)
  • 중산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영남 유학자 ()의 저작 전집. [편찬/발간 경위] 내용의 대부분은 필사본이다. 1983년 의 아들 박영석(朴永錫)이 유고를 전부 모아 편집하고, 책머리에 이가원(李家源)의 서문과 정재각(鄭在覺)의 해제(解題)를 붙이고
  • 유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文經學) 내지 공양학(公羊學)을 전수받아 많은 경전 주석서를 저술한 독보적 인물이다. ()은 우리 역사를 경전 체제로 서술한 ≪해동서경 海東書經≫‧≪해동춘추 海東春秋≫를 저술하고, ≪논어≫와 ≪맹자≫를 주제별로 분류한 ≪논어유집 論語類集≫‧≪맹자유집...

고서·고문서(1)

신문·잡지(7)

  • 氏遺族恤救金捐助諸氏如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씨신덕모친 냥 박일송 두냥 김병쥰부인 닷냥 右금은夫人이領受이라
    게재일1907년 8월 22일 | 기사분류광고
  • 哀告我老年同胞 평남슌쳔군시무학교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간졀이 우리나라 년긔로셩 부형들게 향야 일쳬로 무양심 뭇잡고 감히 말삼으로 슬피고나니 오날날 우리나라의 위급졀박이 그엇더다 나잇가 삼쳔리 살진과 이쳔만 슌인민이 남의 다림이되고 죵의역당 오날 셰가 그텬양간 면치못 죄이 누구에게 잇나요 나...
    게재일1905년 6월 1일 | 기사분류기타
  • 哀告我老年同胞 평남슌쳔군시무학교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 유여니 유의유식들 평이야 넉넉지 나을 무방한쥴노아나니이우애 셰가지로 인야 기난일은방탕이어늘 외식치와 쥬잡기며 아편연 화류쟝에 침혹지 이자 몃치못되거날 졀문 뎨들의 예일이라고 이라가 몃가못되여 경가야 부모 곱흐다 부루짓고 ...
    게재일1905년 6월 2일 | 기사분류기타
  • 有志折簡 (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尊禮以時萬祉耳 光武十一年四月三十日 北美合衆國葛路羅度洲電府城寓弟謹白 帝國新聞社長 李鍾一 座下
    게재일1907년 6월 4일 | 기사분류기타
  • 光武十一年四月三十日 美國中央各洲에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상 五十션 崔默 京 同상 五十션 金成元 京 同상 一불 金俊秀 江華 同상 五十션 △敬集 京 同상 五十션 鄭明根 竹山 同상 一불 리聖實 진州 同상 五十션 已상四月条 統合六十四불五十션北米合衆國에留學난韓人兄弟의代表氏寄書에右金額을姑爲 任置於該米國金庫라온바非本社入金이면旣...
    게재일1907년 6월 4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2)

  • 박종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610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20면 박종현;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종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147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74면 박종현; 부산부 大橋通り1정목 주식회사 釜山物産組 제22회 193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908년(융희 2)∼1940년. 일제 강점기 유학자·사학자. 부친 박재범과 모친 창녕성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송준필 등의 선대유학자들에게 가르침을 구한 뒤, 유교의 재건을 목표로 학문에 진력하였다. 1939년 일본 이송학사전문학교에서 유학하면서, 우찌다[內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