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장원” 에 대한 검색결과 1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8)

사전(4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필적(1612-1671) 1612(광해군 4)-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글씨는≪근묵≫에 있다.
    이칭별칭 중구(仲久)| 구당(久堂), 습천(?川)| 문효(文孝)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인조~현종 박은화 이범직 2010 중구(仲久) 구당(久堂), 습천(隰川) 문효(文孝)...
  • 박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9(인조 17)∼1696(숙종 22).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회숙(晦叔), 호는 지관재(止觀齋). 아버지는 대사헌 장원(長遠)이다. 1657(효종 8)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사복시...
    이칭별칭 회숙(晦叔)| 지관재(止觀齋)
  • 선세언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고령박씨 문중의 7대 내간을 모아놓은 책. [개설] 1책. 필사본. ()의 어머니로부터 경규(敬圭)의 계비에 이르기까지의 내간이다. [편찬/발간 경위] 서첩의 성립시기는 1851년(철종 2) 이후 1...
  • 해동시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편찬된 편자 미상의 시화집. [개설] 불분권 1책. 필사본. 편자는 조현기(趙顯期)의 손자로 본문에 나온다. 그러나 다른 대목에서 김진표(金震標)나 () 등과 교유하였고, 또 성이 김(金)으로 나온다. 따라서 『해...

고서·고문서(78)

  • 75056 B075056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7年 11月 6日_008 ○吏曹判書所啓, 東萊府使有闕, 依近例令備邊司議薦, 何如? 上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037 B017037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顯宗實錄 十年(1669) 三月 현종실록_11003002_001 ○乙未 / 遣知春秋、待敎李寅煥于江華府, 考出貞陵事蹟於實錄。
    출처전거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041 B01704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顯宗改修實錄 十年(1669) 三月 현종개수실록_11003002_001 ○乙未 / 遣知春秋、待敎李寅煥于江華府, 考出貞陵事蹟於《實錄》。
    출처전거顯宗改修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29 B00402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23年 7月 25日_005 ○備邊司, 以上疏, 粘連啓目。 答曰, 南漢·江都之米, 竝爲除出, 以減今年田租云者, 兩處儲穀無爲革去之意耶? 承旨察啓。 記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079 B001079 가리포 加里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仁祖 18年 10月 12日_008 ○兵批, 以申晉翼爲加里浦僉使, 張自好·曺後益爲司直, 嚴鼎耉·尹洙爲副司直, 金弘郁爲司果, ·朴泰元爲副司果, 李袗爲副司直。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612(광해군 4)∼1671(현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쟁 증손, 할아버지는 효성, 아버지는 훤, 어머니는 심현의 딸이다. 1636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대사헌, 예조판서,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구당집』이 있다.

  • 선세언적 / 先世諺蹟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고령박씨 문중의 7대 내간을 모아놓은 책. 1책. 필사본. ()의 어머니로부터 경규(敬圭)의 계비에 이르기까지의 내간이다. 서첩의 성립시기는 1851년(철종 2) 이후 1854년 사이로 보인다. 이 서첩을 작성하였으리라 믿어지는 박영원은

  • 박세모 / 朴世模 [종교·철학/유학]

    1610(광해군 2)∼1667(현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응복 증손, 할아버지는 동열, 아버지는 호, 어머니는 신흠의 딸이다. 1654년(효종 5) 춘당대정시에 갑과로 급제하여 전적·병조좌랑·정언·직강·지평·사예·부평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서인계열로 홍명하·

  • 이광좌 / 李光佐 [종교·철학/유학]

    1674(현종 15)∼1740(영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항복 현손. 성남 증손, 할아버지는 시현이다. 아버지는 세구, 어머니는 의 딸이다. 1694년(숙종 20)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했다. 부수찬, 사헌부헌납, 전라도관찰사, 이조참의, 함경도관찰사, 호

  • 이세구 / 李世龜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24)∼1700(숙종26). 조선 후기의 문신. 항복 증손, 아버지는 시현이다. 의 문인이다. 1685년(숙종 11)에 음보로 경양도찰방을 시작으로, 예산현감, 상의원첨점, 홍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박세채·윤증·남구만·최석정 등 소론에 속하였던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