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은” 에 대한 검색결과 2,4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87)

사전(1,04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70(공민왕 19)∼1422(세종 4).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개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앙지(仰之), 호는 조은(釣隱). 할아버지는 수(秀)이고, 아버지는 고려 말의 학자인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상충(尙衷)이며, 어...
    이칭별칭 앙지(仰止)| 조은(釣隱)| 평도(平度)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李苡)의 딸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은 어려서부터 범상하지 않았으며, 정신과 골격이 맑고 눈썹과 눈이 그림처럼 아름다워 속세에 사는 사람 같지 않았다고 한다. 이미 4세에 독서할 줄 알았으며, 8세에 대의를 알았다. 1493년(성종 2...
    이칭별칭 중열(仲說)| 읍취헌(?翠軒)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정시중[정몽주]과 사선생(四先生)이 초청한 처사 중한 사람이다. 남쪽 기둥 아래 앉는다. 김취성과 함께 자리에 모인 사람들에 대한 시를 짓고, 그 뜻을 금생에게 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문장왕국의 참찬이다. 몽유자[심의]의 옛 친구로 심의를 맞이하여 왕국에 관한 안내를 해준다. 천자가 관직을 봉함에 있어 문장의 높고 낮음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등, 주인공에게 문장왕국의 천자와 문사들을 소개하고 문장왕국 천자의 문장률과 인재 등용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L14_D_4263 인물 幼穎, 眉眼如畫, 塵寰, 文章, 被殺, 處心, 正持, 己廉, 孝父母, 友弟妹, 弘文校理 高靈, 玉堂, 東萊 仲說, 挹翠軒, 燕山 D_18_03_30 대동운부군옥 18권 3장 3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3장 3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6)

  • 백암 식 평전 [한국 근대 전환기 민족 지도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
    저자 : 노관범 ... | 출판사 : 도서출판 이조 | 출판일 : 20210530
    박은식은 격동기의 거인이었다. 황해도 시골 선비로 태어나 서울 언론계에서 필설을 드날렸고 중국과 러시아에서 독립운동에 힘썼다. 생애 말년에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이끌었다. 언론인, 활동가, 혁명가의 삶이었다. 그의 삶 자체가 역동적인 한국 근대사이다. 인물에 관한 책...
  • 저자 : 엄연석, 양일모, 강중기, 이원석, 한정길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
    본서는 19세기 말 이후 서기(西器)의 충격과 도전이 격화되던 시대적 전환기에 지식인들이 동도(東道)를 기초로 한 ’서기’의 수용이라는 소극적 대응으로부터 ’서도(西道)’까지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되는 동서문명의 지평융합과 역전의 과정을 탐색하였다.
  • 서양 정치사상과 유교 지평의 확장 [근현대 한국의 동서철학사상 접변양상 연구-교착 지평과 보편 개념 분석 | 서울대학교]
    저자 : 강중기, 이원석, 김재현, 한정길, 양일모,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
    이 책은 서양 정치사상의 유입이 유교의 철학적 사상적 이론적 지평에 어떤 변화를 불러왔는지를 살펴보고 서양 근대 정치사상에 대한 반성과 유교 전통사상의 현대적 의의를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3, 강원도 고성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강등학, 이영식, 박은영... | 출판사 : 역락 | 출판일 : 2014.10.28.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 간성읍 2. 거진읍 3. 죽왕면 4. 토성면 5. 현내면
  •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1, 강원도 정선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강등학, 이영식, 박은영, 유태웅... | 출판사 : 역락 | 출판일 : 2013.10.28.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 고한읍 2. 남면 3. 북평면 4. 사북읍 5. 여량면 6. 임계면 7. 정선읍 8. 화암면

논문(2)

고서·고문서(394)

  • 4 第四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76년_온북면(溫北面) 1876년 온북면(溫北面) 第十一洑內里 4 第四統統首洪 第一戶 幼學洪年肆拾柒庚寅本密陽父學生聖秀祖濬源閣參奉昌洙 曾祖學生順謙外祖學生김福順本江陵妻김氏年伍拾肆癸未本김海父 學生啓遠祖學生鼎漢曾祖學生達海外祖學生許淑本良川子幼學晩馨...
    연도_면이름1876년_온북면(溫北面) | 면이름온북면(溫北面) | 마을이름第十一洑內里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58년_내상면(內廂面) 1858년 내상면(內廂面) 第二南洞里 1 第一統統首賢 第一戶 業武賢年貳拾參丙申本慶州父連得祖日福曾祖芬突外祖林光 得本羅州妻秋姓年貳拾己亥本順天父宗潤祖光實曾祖逸甲外祖김啓 珣本慶州等乙卯戶口相准 第二戶 業武鰥夫文先玉年伍拾玖...
    연도_면이름1858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二南洞里
  • 7 第七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대현면(大峴面) 1765년 대현면(大峴面) 第二十五長生浦里 7 第七統統首太 第七統一戶 加里烽軍太年肆拾捌戊戌本密陽父金石乙祖正兵右民曾祖正兵貞男外祖正兵李塔孫本月城妻鄭召史年肆拾捌 戊戌本東萊父鄭立伊祖生立二祖不知率子兵營沙器匠惡只年拾柒己巳率女召...
    연도_면이름1765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二十五長生浦里
  • 5 第五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8년_대현면(大峴面) 1768년 대현면(大峴面) 第二十六長生浦里 5 第五統統首太 第一戶 加里烽軍太年伍拾貳丁酉本密陽父正兵金石乙祖正兵右民曾祖正兵貞男外祖正兵不喩驛吏李塔孫本月城妻鄭召史年伍拾貳丁酉 本東萊父貞立祖生立二祖不知率子兵營瓮器匠岳只年貳拾己巳...
    연도_면이름1768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二十六長生浦里
  • 1921년 상(相) 계약증서(契約證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21년음력 1월 21일에 나주군 왕곡면 화정리에 사는 박봉규와 박한운이 나주군 왕곡면 화정리491번지 논 814평을을 이전 받으면서 작성한 문서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계약서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 현소장처영암 죽정서원

구술자료(21)

  • 일본인이 쇠말뚝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가 끝나고, 바로 이어서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1. 5. 22.(일) | 조사장소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쌍계리 마을회관 | 제보자박재관
  • 울 어머니 심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의 신상 정보에 대한 얘기를 듣고는 민요를 하나 불러달라고 청하자 다음을 구연하였다. 이 민요는 어느 때 부르는 것이냐고 묻자 제보자 는 모른다고 하면서 아무 때나 부르는 것이라고 하였다.
    조사일시2010년 7월 3일(토) | 조사장소임실군 임실읍 이도리 958번지 이도주공아파트 107동 402호 제보자 자택 | 제보자곽길순
  • 이여송이 혈 마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수이야기를 비롯한 마을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전설이 있으면 들려달라는 조사자의 요청에 구연해 주었다.
    조사일시2009. 07. 24(금) | 조사장소제보자(박종윤) 자택 /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상천리 백운동위길26 | 제보자박종윤
  • 늙어도 맛이야 있지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극적으로 불러주었다.
    조사일시2009.02.14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문정리 문하마을 | 제보자장계선(여,77세)
  • 왜놈들이 혈에 쇠말뚝을 자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을회관 앞에 돼지 동상을 세운 이야기를 하다가 마을 지형이 ‘뱀혈’이라는 말이 나왔다. 이에 연달아 조사자가 ‘혈’에 관한 이야기를 물었다. 조사자가 ‘단혈’에 관한 이야기를 묻자 김상규씨가 이야기를 연행하기 시작하였다.
    조사일시2010. 6. 26(토) | 조사장소경상북도 포항시 송라면 중산 1리 마을회관 | 제보자김상규

기초학문(153)

  • 白巖 植의 철학사상과 현실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인창, 게재일 : 2009
    26790 송인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새한철학회 2009 白巖 植의 철학사상과 현실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식 문학 효용론의 맥락과 배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71252 한국연구재단 돈암어문학회 2010 식 문학 효용론의 맥락과 배경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식과 안확의 철학사상 대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홍식, 게재일 : 2000
    13322 박홍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2000 식과 안확의 철학사상 대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식의 사상전변 - 생존과 자존 모색의 도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71779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식의 사상전변 - 생존과 자존 모색의 도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식 〈안중근전〉의 문학사적 성격과 영향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6
    69249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6 식 〈안중근전〉의 문학사적 성격과 영향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371)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善(善) 서울 善 貫鐵町 255 여숙업 - 여관(旅舘) - 3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朴恩善(朴恩善) | 지역서울 | 품목여숙업 | 영업종목여관(旅舘)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敬(-) 개성 敬 - 京町 612 - - 우돈육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朴殷敬(-)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우돈육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三(東和商店) 서울 三 東和商店 竹添町 3-94 식료품 - 식료잡화 소매 21.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朴銀三(東和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식료잡화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륙품 식으로 한셩 범학교 교관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륙품 식으로 한셩 범학교 교관을 임고 즁츄원 의관 박긔종 리병의 윤챵년 고영현 김슌에 죵이품 류진호와 졍삼품 죠병덕 김치보와 륙품 리승한 김연과 구품 김광셕으로 임고 분시어 오영 류텰희 리뎡구 임에 졍긔원 오듀영 김텰범으로 명고 시죵원 분쥬 윤...
    게재일1900년 4월 6일 | 기사분류관보
  • 産組保護에 偏重하야 商工業壓 不可 全鮮商業會議定期總會에 大邱商議所가 提案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産組保護에 偏重하야 商工業壓 不可 全鮮商業會議定期總會에 大邱商議所가 提案 1934년 5월26일 대구 대구 대구상공...
    대표표제어産組保護에 偏重하야 商工業壓迫은 不可 全鮮商業會議定期總會에 大邱商議所가 提案 | 연월일1934년 5월26일 | 지역대구

멀티미디어(261)

  • 민족과 주체_ 식과 신채호_7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민족과 주체_ 식과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민족과 주체_ 식과 신채호_7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민족과 주체_ 식과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민족과 주체_ 식과 신채호_7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민족과 주체_ 식과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민족과 주체_ 식과 신채호_7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민족과 주체_ 식과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민족과 주체_ 식과 신채호_7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민족과 주체_ 식과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기타자료(138)

  • 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601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82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덕;德 함흥 신창리 14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639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84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혜;惠 北間島;미주 17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0042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1면 기;基 제13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6635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77면 (학과)본과신제도 초;草 황해도 연백군 연안읍 연성리 19회 194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508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7면 수;受 제5회 1938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주제어사전(35)

  • / [종교·철학/유학]

    1479(성종 10)∼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학자·시인. 아버지는 담손, 어머니는 이이의 딸이다. 은 1495년(연산군 1) 17세로 진사가 되었고, 이듬해에는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권지, 홍문관정자, 경연관 등을 역임하였다.

  • 식 / [역사/근대사]

    1859-1925. 한말·일제강점기의 학자·언론인·독립운동가. 성리학과 위정척사사상에서 개화사상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1898년에 독립협회에 가입해 회원이 되었다. 그 해 11월의 지식인들이 중심이 된 만민공동회에서는 문교부장급 간부로 활동하였다. 신민회의 원로회원으

  • 민족주의사학 / 民族主義史學 [역사/근대사]

    일제의 식민사학에 정면으로 대결하였던 민족진영의 역사학을 지칭하는 용어. 우리나라에서 민족주의사학이라면 1910년대 이후 식(植)ㆍ신채호(申采浩) 등과 1930년대 이후의 정인보(鄭寅普)ㆍ안재홍(安在鴻)ㆍ문일평(文一平) 등으로 이어지는 갈래를 의미한다. 이들

  • 영연서원 / 靈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사촌리에 있었던 서원. 1711년(숙종 3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신덕린(申德隣)·()·정사현(鄭師賢)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91년(정조 15)에는 운수면 운산리에 있던 운천서원(雲川書院)의 재정난

  • 복령사 / 福靈寺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 지은 한시. 칠언율시로 정조가 증정한 『읍취헌유고 挹翠軒遺稿』 권3과 역대의 여러 시선집에 실려 있다. 의 시명은 당시부터 널리 알려졌다. 이 「복령사」는 인구(人口)에 회자된 절창이다. 「복령사」 첫째 연의 “절채는 신라의 옛적 것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