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박윤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7)
사전(25)
- 박윤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34(영조 10)∼1799(정조 23).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내용]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영숙(永叔), 호는 근재(近齋). 공주판관 사석(師錫)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해 책을 읽으면 한 번에 수십 줄씩 읽었다. 김원행(...이칭별칭 영숙(永叔)| 근재(近齋)| 문헌(文獻)
- 김종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일찍이 이술원(李述源)으로부터 글을 배운 뒤 박윤원(朴胤源)ㆍ오윤상(吳允常)의 문인이 되었다. 정조에 의해 특별히 척신(戚臣)으로 기용되어 돈녕부주부(敦寧府主簿)가 되었으며, 1800년 순조가 즉위하면서 의령현감을 역임한 뒤 승지ㆍ도승지가 되어 매번 강연(講延...이칭별칭 성보(城甫)| 송재(松齋)
- 박종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36(영조 12)∼1785(정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원득(元得), 호는 냉천(冷泉). 아버지는 증 좨주(贈祭酒) 윤원(胤源)이며, 어머니는 김시관(金時筦)의 딸이다. 일찍이 아버지로부터 교육을...이칭별칭 원득(元得)| 냉천(冷泉)
- 이승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군위현감 의화(義和)이며, 어머니는 통덕랑(通德郞) 유언(兪彦)의 손녀이다. [내용] 홍의영(洪儀泳)과 박윤원(朴胤源)에게서 수학하고, 1792년(정조 16) 사마시에 합격한 뒤, 1804년(순조 4) 익릉참봉(翼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어머니의 상중이라...이칭별칭 문계(文階), 태초(太初)| 연재(衍齋)
- 박명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올라와 박윤원(朴胤源)에게 글을 배웠다. 또한, 이봉수(李鳳秀)를 비롯하여 홍직필(洪直弼) 등과도 깊이 사귀어 학문을 서로 강마하였다. 그의 학풍을 앙모하여 사방에서 문하생들이 모여들었다. 『노주집(老洲集)』이칭별칭 계립(季立)| 금호(錦湖), 습재(習齋)
고서·고문서(128)
- 주역대전 : 해제_33. 박윤원(朴胤源)의 경의(經義)‧역경차략(易經箚略)‧역계차의(易繫箚疑)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주역대전 58 해제 33. 박윤원(朴胤源)의 경의(經義)‧역경차략(易經箚略)‧역계차의(易繫箚疑) 1. 생애 조선 후기 기호낙론계열의 학자 박윤원(朴胤源, 1734~1799)의 저술이다. 저자의 본관은 반남(潘南)이며, 자는 영숙(永叔)이고, 호는 근재(近齋...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근재집(近齋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근재집(近齋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3장(第三章)_3절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也. 효(效)는 모방함이다. 【박윤원(朴胤源) 『경의(經義)•역경차략(易經箚略)•역계차의(易繫箚疑)』】 爻也者, 效天下之動者也. 本義訓效爲放, 放是倣之之謂歟. 來易以效爲獻, 曰效是效力之義, 與川嶽效靈同義. 是發露之意, 言有一爻之動, 卽有一爻之變. 周公于此一爻之下,...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주역대전 : 比卦_효사-사효-소상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부드러운 음이어서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따르므로 “곧고 길하다”라고 하였다. 韓國大全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賢以德言, 上以位言. ‘어진 이’는 덕으로 말하였고, ‘윗사람’이라고 한 ‘위[上]’는 자리로 말하였다. 【박윤원(朴胤源) 『경의(經...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신문·잡지(14)
- 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조선소년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조선소년 조선소년(朝鮮少年) 제2권 9호 미기재 박윤원(朴潤元) 의주부(義州部) 조선_1928년 11월 23일 삭제 치안 언한문 조선소년 1. 농촌 소년의 일...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조선소년 | 출판물명조선소년(朝鮮少年) 제2권 9호
- 조선출판경찰월보 008호 조선소년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8호 조선소년 조선소년(朝鮮少年) 제3권 제6호 미기재 박윤원(朴潤元) 경성(京城) 조선_1929년 4월 17일 삭제 치안 언한문 조선소년 1. 새로운 곳으로 이곳...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8호 조선소년 | 출판물명조선소년(朝鮮少年) 제3권 제6호
- 조선출판경찰월보 004호 조선소년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4호 조선소년 조선소년(朝鮮少年) 신년호 미기재 박윤원( 朴潤元) 의주군(義州郡) 조선_1928년 12월 15일 삭제 치안 언한문 조선소년 1. 연두사(年頭辭)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4호 조선소년 | 출판물명조선소년(朝鮮少年) 신년호
- 조선출판경찰월보 005호 조선소년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5호 조선소년 조선소년(朝鮮少年) 미기재 박윤원(朴潤元) 의주군(義州郡) 조선_1929년 1월 23일 불허가 치안 언한문 조선소년 1. 「이 세상은 이런 것인가」라...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5호 조선소년 | 출판물명조선소년(朝鮮少年)
-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조선소년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조선소년 조선소년 임시호(朝鮮少年 臨時號) 미기재 박윤원(朴潤元) 의주군(義州郡) 조선_1929년 3월 8일 불허가 치안 언한문 조선소년 1. 영춘(迎春)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조선소년 | 출판물명조선소년 임시호(朝鮮少年 臨時號)
주제어사전(3)
-
박윤원 / 朴胤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1734∼1799). 김원행과 김지행의 문인이다. 1792년 학행으로 천거되어 선공감역·서연관 등에 임명되었으나, 벼슬하지 않고 학문연구에 전념하였다. 저서로《근재집》과 《근재예설》이 있다.
-
홍직필 / 洪直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76∼1852). 17세에 박윤원에게 ‘오도유탁’의 찬사를 받고, 원로 명사들과 연령을 초월해 교유하며, 오희상에게 유종이라 호칭되었다. 주리파로써 한원진의 심선악설과 임성주의 “성선은 곧 기질이다.”를 반대하였으며, 개천 경현사에 배향되었다.
-
근재예설 / 近齋禮說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윤원이 관혼상제 등의 예절에 관하여 저술한 예서. 정확한 간행연도는 미상이나 ‘홍직필백응장(洪直弼伯應章)’이라는 홍직필의 인장이 찍힌 것으로 보아 19세기 중엽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권수에 범례와 목록이 있고, 권1에 관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