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박원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6)
사전(123)
- 朴元宗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518 朴元宗 인물 破膽, 論斥, 位望, 門墻, 結納, 心腹, 崇班, 文士, 唇亡齒寒, 朝野, 切齒, 不早退 柳子光 二樂集 D_12_06_17 대동운부군옥 12권 6장 1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6장 1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朴元宗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529 朴元宗 인물 不拘名撿, 豪貴, 武擧, 不學, 無術, 大拜, 不厭衆望, 折節, 謙恭 陰崖雜錄 D_12_07_04 대동운부군옥 12권 7장 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7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朴元宗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108 朴元宗 인물 燕山丙寅 順天 伯胤, 平陽君仲善, 武烈 D_01_02_08 대동운부군옥 1권 2장 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2장 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朴元宗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4822 朴元宗 인물 不敢自戢, 不學無術, 麁厲, 上前, 持論, 暴露, 聲色 稡言 D_20_04_38 대동운부군옥 20권 4장 3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4장 3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박원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박원종 신도비이칭별칭 백윤(伯胤)| 무열(武烈)
고서·고문서(56)
- 明禮宮(1891)_경기도 강화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02001 18199_1921 奎18199 明禮宮(1891) 경기도 강화부 草芝 경기도 강화부 草芝 16 16결 박원종(朴元宗) 박원종(朴元宗)자료번호18199_1921 [奎18199]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宣禮宮(1891)_경기도 강화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05329 18209_1921 奎18209 宣禮宮(1891) 경기도 강화부 경기도 강화부 16 4전3분 16결 4전3분일경 작인 박원종(朴元宗) 작인 박원종(朴元宗)자료번호18209_1921 [奎18209]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대구어(大口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0959 B040959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燕山君日記 八年(1502) 十月 연산군일기_10810023_005 ○下書于慶尙道監司安潤德、咸鏡道監司閔孝曾、江原道監司朴元宗曰:○半乾大口魚, 別例封進。출처전거燕山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개운포(開雲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572 B017572 개운포 開雲浦 군사교통 新增東國輿地勝覽 慶尙道 蔚山郡 樓亭 ... 馬島秋萬里未窮登眺興滿天風雨倚闌 愁 掣鼇亭 在開雲浦天順丙戌水軍節度使洪益誠建後節度使李昭重修 新增二思亭 在兵營節度使朴元宗構此扁名以寓思君親之意 制勝亭 在開雲浦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개운포(開雲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734 B017734 개운포 開雲浦 군사교통 輿地圖書 補遺篇 (慶尙道) 蔚山府邑誌 樓亭 樓亭太和樓(在府西五里黃龍淵上前賢輩多遊詠今廢後樓號移揭于鶴城館南鍾樓) 三思亭(在兵營北門外節度使朴元宗搆亭揭號以寓思君親之意今無) 掣鰲亭(在開雲浦天順丙戌水軍節度使洪益誠始建節度使李昭重修矣...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일화를 소개한 글 박종원(朴元宗), 성희안(成希顔), 신윤무(辛允武), 유순정(柳順汀), 박문영(朴永文), 홍경주(洪景舟), 김종직(金宗直), 허종(許琮), 진성대군(晉城大君), 이약동(李約東), 투갑연(投甲淵), 윤효손(尹孝孫), 박원형(朴元亨), 어유소(魚有沼)...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6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기타자료(6)
- 박원종;朴元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7817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70면 - 박원종;朴元鍾 1938년 3월 1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원종;朴元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5760 일본 東京 일본대학 일본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 회원명부(1928년) 1929―04―05 98면 2. 재학생씨명;5) 법률과 박원종;朴元鍾 경북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원종;朴元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4821 남한 전남 광주제일고등학교 2-08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대장(1925-1941) n.r. 60면 14. 제14회 졸업생(50음순) 1938년 3월 25일 박원종;朴元鍾 제14회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제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원종;朴元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0479 일본 東京 일본대학 회원명부 1932년 4월 현재 1932―04―10 161면 박원종;朴元鐘 조선;東京府下杉並町高圓寺849 1929년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원종;朴元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7140 남한 충남 예산농업학교 2-35 교우회보 제4호 1925―12―21 46면 박원종;朴元鐘 제6회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예산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박원종 / 朴元宗 [종교·철학/유학]
1467(세조 13)∼1510(중종 5). 조선 중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거소, 아버지는 중선, 어머니는 허곤의 딸이다. 선전관, 병조참지, 강원도관찰사,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1506년 성희안, 유순정 등과 함께 반정을 모의해 연산군을 폐하고 중종을 옹립하였다.
-
반정공신 / 反正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반정을 이루는 데 세운 공으로 녹훈된 공신. 중종반정으로 인한 정국공신과 인조반정으로 인한 정사공신이 있다. 정국공신은 1506년 중종반정이 성공한 뒤 9월에 박원종·성희안·유순정의 주도로 녹훈되었다.1등에 박원종·성희안·유순정이 병충분의결책익운정국공신으로
-
정난공신 / 定難功臣 [정치·법제/정치]
1507년 이과의 옥사를 처리하는 데 공이 있었던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은 추성보사우세정난공신으로 노영손·유순·박원종 등 5명, 2등은 추성보사정난공신으로 민효증·이계남 등 5명, 3등은 추성정난공신으로 설맹손·홍숙등 12명을 책정하였
-
중종 / 中宗 [역사/조선시대사]
6년 9월 박원종·성희안 등이 반정을 일으켜 연산군을 쫓아낸 뒤 왕으로 추대되었다.
-
중종반정 / 中宗反正 [정치·법제/정치]
1506년 9월 2일 조선 제10대왕 연산군을 몰아내고 진성대군 역을 왕으로 추대한 사건. 1506년(연산군 12) 성희안·박원종 등 이른바 훈구세력이 임사홍·신수근 등의 궁금세력과 결탁해 학정을 거듭하던 연산군을 폐위시킨 사건이다. 정변이 성공하자 성희안 등은 성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