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운” 에 대한 검색결과 7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02)

사전(54)

  • 용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778년(정조 2) 후손들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정간(鄭幹)‧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2에 시 64수,
  • TD_L14_D_0607 인물 龍菴, 俊才 密陽 朴松堂, 退陶 家禮 D_04_02_05 대동운부군옥 4권 2장 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2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0610 인물 孝子, 虎, 小斧, 呼天大哭, 負屍 昌寧 D_04_02_09 대동운부군옥 4권 2장 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2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불교극락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5년 교(敎)가 창시한 종교. [내용] 경기도 고양시에 세운 불교계통의 신종교이다. ‘부처님의 자비에 귀의하고 명심견성(明心見性)으로 심신단련하여 질실강건(質實剛健)의 기풍을 작흥하여 건실한 동양사상...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자유학자 인물 한국 조선 중종~명종 박은화 이범직 2010 택지(澤之) 용암(龍巖), 운암(雲巖) 양반 남성 1...

고서·고문서(423)

  • 핵(翮) 입안(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밀양 신호 밀성박씨‧덕남서원
  • 8 第八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53년_유포면(柳浦面) 1753년 유포면(柳浦面) 第六於勿洞里 8 第八統統首上 第一戶 府軍官上年伍拾柒丁丑本密城父通政白乙楠祖嘉善同知中 樞府事銀澤曾祖正兵允玉外祖正兵都生立本慶州妻金召史年伍拾捌丙 子本慶州父正兵益好祖正兵世奉曾祖有信外祖正兵尹哲儀本坡平...
    연도_면이름1753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六於勿洞里
  • 6 第六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05년_부내면(府內面) 1705년 부내면(府內面) 第十一北門外里 6 第六統統首傑 @5 統第一戶 府案付司僉寺奴多大浦分防今同改名傑年參拾柒己酉本密陽父貢生俊淑祖 記官仁全曾祖正兵繼榮外祖記官金起翼本慶州率同生水營分防寺奴假吏漢傑年 參拾參癸丑率父俊淑年陸拾...
    연도_면이름1705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一北門外里
  • 4 第四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67년_농서면(農西面) 1867년 농서면(農西面) 第四加大里 4 第四統統首復 第一戶 幼學復年柒拾捌庚戌本密陽父學生思興祖學生文平曾祖學 生就才外祖學生崔鳳林本慶州妻高氏年伍拾參乙亥本龍潭父幼學性 福祖學生儀天曾祖學生鳳聲外祖學生李榮春本永川子幼學時東改...
    연도_면이름1867년_농서면(農西面) | 면이름농서면(農西面) | 마을이름第四加大里
  • 9 第九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5년_웅촌면(熊村面) 1795년 웅촌면(熊村面) 第十八肝谷里 9 第九統統首己 第一戶 驛吏己年伍拾丙寅本密陽父命卜祖者隱老未曾祖士奉外祖金起命本金海妻 尹姓年參拾柒己卯本坡平父萬柱祖尙興曾祖俊建外祖安信厚本順興率子守同年肆壬子等 壬子戶口相准 第二戶...
    연도_면이름179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八肝谷里

기초학문(1)

  • 현대 위험사회에서 선항자의 형사책임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입법적 제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백상진, 게재일 : 2016
    62017 백상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법제연구원 2016 현대 위험사회에서 선항자의 형사책임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입법적 제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203)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澤(澤商店) 서울 澤商店 南米倉町 26 식료품 - 생선(生魚) 소매 3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朴雲澤(朴雲澤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생선(生魚)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明(明自轉車商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明(明自轉車商會) 서울 明自轉車商會 漢江通 6-3 운수_운수용품 - 자전거 소매 3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
    대표표제어朴雲明(朴雲明自轉車商會) | 지역서울 | 품목운수_운수용품 | 영업종목자전거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즁부골 거 리셰규와 명동거 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즁부골 거 리셰규와 명동거 오쥬일이가 대안문압 쳥인의 집에셔 아편연을 먹다가 헌병 참교 학씨에게 잡히갓다더라
    게재일1901년 5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북셔가회방 동계 십륙통륙호 초가륙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북셔가회방 동계 십륙통륙호 초가륙간문권을 작년분에 견실엿기로 광고엿더니 지금탐문즉 학이가 휴고 영영 도쥬엿다 오니 한셩부에 입지를 셩츌로 광고오니 쳠군 죠량오 죠광현고
    게재일1903년 6월 24일 | 기사분류광고
  • 북셔가회방 동계 십륙통륙호 초가륙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북셔가회방 동계 십륙통륙호 초가륙간문권을 작년분에 견실엿기로 광고엿더니 지금탐문즉 학이가 휴고 영영 도쥬엿다 오니 한셩부에 입지를 셩츌로 광고오니 쳠군 죠량오 죠광현 고
    게재일1903년 6월 23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21)

  • 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426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관;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274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8면 섭;燮 제5회 1943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0899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3 71면 7. 졸업자;7) 법학교 졸업자 (1911년 3월) 구;龜 (거주지)경성부 황금정 1-143;(출신)0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1682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5 75면 7. 졸업;7) 법학교 졸업자 (1911년 3월) 구;龜 (거주지)경성부 황금정 1-143;(출신)0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6116 북한 평남 평양공립중학교 創立10周年記念學校槪覽 荒木孝次郞 1926―09―20 49면 1. 생도;5) 제1학년 156명 희;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1493년(성종 24)∼1562년(명종 17). 조선 전기의 유학자. 부친은 박종원, 모친은 허량의 딸이다. 송당 박영을 찾아가 수학하였다. 퇴계 이황과 서신을 왕래하는 등 친분이 있었고 정주학에 조예가 깊었다. 저서로는『격몽편』,『자양심학지론』,『경행록』,『삼후전』,

  • 수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97∼1841). 1820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822년(순조22) 수빈박씨의 장례 때 종척집사를 하고 순흥부사에 이르렀다. 후에 돈령부판관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덕은유고》가 있다.

  • 낙봉서원 / 洛峯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성리에 있는 서원. 1647년(인조 2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숙자(金叔滋)·김취성(金就成)·()·김취문(金就文)·고응척(高應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87년(정조 11)에 ‘낙봉(洛峰)’

  • 한병기 / 韓炳基 [역사/근대사]

    支團) 총무 박문용(朴文瑢)과 독립운동가 석(錫) 등도 함께 검거되어 압록강변에서 사살되었다. 1995년 정부로부터 공훈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 강만년 / 姜萬年 [역사/근대사]

    숙청 및 군자금 모금과 무장투쟁을 위한 독립군 양성에 일조하였다. 1919년 8월 31일 중국 만주(滿洲) 집안현(輯安縣) 주재 일본 경찰들이 중국 군인들과 합동으로 집안현 온화보(蘊和堡) 일대를 포위 수색활동을 벌이다가 대한독립단 소속 박문용(朴文瑢)·석(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