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용상” 에 대한 검색결과 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

사전(3)

  • 기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876년(고종 13) 저자의 손자 사주(師周)가 편집하고, 후손 우영(宇永)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禹)의 서가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 언론기본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광고책임자나 그 대리인이 정당한 사유없이 범죄를 구성하는 내용의 공표를 배제하지 아니한 때에는 1년 이하의 징역이나 벌금형에 처해지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言論의 自由와 公的課業(, 敎保文庫, 1982) 매스커뮤니케이션法制理論(彭元順,...
  • 언론출판의자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로 이어지면서 언론‧출판의 자유는 크게 신장되고 있다. → 언론 現代憲法論(金哲洙, 博英社, 1979) 政治關係法(金哲洙, 博英社, 1983) 言論의 自由와 公的 課業(, 敎保文庫, 1983) 매스커뮤니케이션法...

고서·고문서(15)

  • 갑인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724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24년 윤4월 11일, 이 권만에게 받은 시에 운자를 따서 지은 시 한 소절을 보내기 위해 김성탁에게 보낸 편지이다. 은 자신의 늙음을 한탄하며 현재 상황을 알렸다. 그리고 권만이 편지와 시를 보냈는데, 그 시가 아름답게 잘 지은 것이 세상 밖의 보배라...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731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31년 4월 23일, 이 상대방에게 안부를 묻고 권만의 편지를 받은 사실 등을 알리기 위해 김성탁에게 보낸 편지이다. 은 일전에 받은 권만의 편지에 詩藁와 雜說의 아름다운 글들이 있었다고 했다. 그리고 다음편도 기대했다. 그리고 상대의 동생인 진숙과 선...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731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31년 12월 9일, 이 자신의 요즈음 상황과 주변 인물들의 상을 당한 일들를 알리기 위해 김성탁에게 보낸 편지이다. 은 자신의 병세를 알리고 상대와의 만남을 기약하기 어렵게 되었다고 했다. 자신은 상대의 편지에서 ‘마음이 서로 통하기만 한다면 수백 리...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731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31년 5월 15일, 이 혹심한 가뭄 상황을 알리고 학술 논쟁을 벌인 일 등을 알리기 위해 김성탁에게 보낸 편지이다. 은 상대의 답장을 받고 잘 지낸다는 것을 알고서 매우 기뻤다고 하였다. 그리고 또 상대의 안부와 그 부인의 차도 및 인근의 마마병에 관...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신문·잡지(16)

기타자료(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0463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93면 1. 3. 각 과별 졸업생;22) 제22회 졸업생 (1940년 3월 졸업);(2) 상과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하-송포간 연결도로 파주 동패리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일, 김호준, 조충현, 최영미, 김호준, , 조연옥, 조영선 한백문화재연구원 경기 파주시 교하읍 동패리 산 58-4 임 일대 경기도 파주시 나지구 1지점 1,230㎡, 나지구 2지점 400㎡ 파주 교하~송포 간 연결도로 부지 내 문...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재)한백문화재연구원/한국토지공사 | 발굴지역경기도
  • 안성 죽주산성 동벽 정비구간 문화재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웅,강아리 서영일,김호준,강형웅,,방유리 한백문화재연구원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 산 106번지 일원 경기도 안성시 18,000㎡ 발굴조사의 목적은 성벽 원형을 파악하여 성벽 복원 방침을 올바르게 제시하는 것이다. 이번 조사지역은...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한백문화재연구원/안성시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80년(숙종 6)∼1739년(영조 15). 조선 후기 학자. 이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21년(경종 1)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고향에서 학문에 정진하는 한편, 후학을 양성하는 데에 힘썼다. 김성탁·권만·권상일·이광정 등과 교유하였다. 문

  • 기헌집 / 畸軒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6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876년(고종 13) 저자의 손자 사주(師周)가 편집하고, 후손 우영(宇永)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禹)의 서가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는 시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