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박신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4)
- 박신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13(숙종 39)∼1790(정조 14).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천휴(天休). 호는 능고(能皐). 생원 정협(廷莢)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청주한씨(淸州韓氏)로 원진(元進)의 딸이다. 20세에 과장...이칭별칭 천휴(天休)| 능고(能皐)
- 능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신경(朴申慶)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아들 한술(漢述)이 편집한 것을 1910년 후손인 주대(周大)와 만진(萬鎭) 등이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주대와 만진의 발문 2편이 있다. 국립중앙도...
- 족소양담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약간 들어가 있는 경혈로 안질환‧야맹증‧두통 등에 사용된다. 풍지는 양쪽 귀뿌리와 후두골 아래 함중과의 중간에 있는 경혈로 편두통‧목현(目眩)‧중풍 등에 이용되며, 견정(肩井)은 제7경추 하단과 견봉(肩峰)과의 중간에 있는 경혈로 상박신경통(上膊神經痛)‧두항강통(豆項强...
- 김종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신분석학회 연례총회에서 「정신분석학적 자아심리학의 견지에서 본 모리타의 강박신경증의 분류」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1971년 서울시립병원 정신과에서 근무했으며, 1972년부터 1982년까지 국립정신병원 정신과 과장으로 근무했다. 이 기간 중에 오스트레...이칭별칭화종(和宗)
고서·고문서(6)
- 신도(薪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1486 B121486 신도 薪島 도서 평안북도 承政院日記 純祖 16年 12月 22日_038 彝均爲訓鍊僉正, 沈公綽·慶橚爲五衛將, 郭宗默·徐章輔爲武兼, 崔成範爲部將, 訓鍊主簿辛景秀, 同知白耕鎭, 僉知金潤澤, 已上竝單付, 以趙存慶爲公州營將, 李完植爲平安中軍, 田德顯...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龎籍【潁國莊敏公】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用二相如何公曰二臣甚副天下之望上曰誠如卿言文彦愽猶多私至於富弼萬口同詞皆云賢相也公曰彦愽臣頃與之同在中書詳知其所爲實無所私但惡之者毁之耳况前者被謗而出今當愈畏慎矣富弼頃爲樞密副使未執大政朝士大夫未有與之爲怨者故交口譽之冀其進用而巳有所利焉若富弼以陛下之爵祿樹私恩則非忠臣何足賢也若一以公議槩之則向之譽...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2 第二統統首私奴金是石乙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26년_청양면(靑良面) 1726년 청양면(靑良面) 第七昔南坊 2 第二統統首私奴金是石乙伊 第一戶 府案付束伍軍私奴金是石乙伊年伍拾肆癸丑本金海主京居李萬全父正兵命南 祖正兵貴金曾祖正兵石乙山外祖私奴日上本密陽妻私婢閔召史年肆拾參甲 子本慶州主義興居朴信京父正兵今山祖...연도_면이름1726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七昔南坊
- 남야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세하다. 祭文 李光靖‧師靖, 權應度, 趙述道, 李東耆, 權應 鐸, 朴漢翼이 쓴 저자의 제사에 올린 글이다. 輓詞 李守貞, 朴申慶, 柳道源, 柳長源, 鄭持淳, 趙 運道, 李泰春, 金鎭東, 趙虎然, 丁載老가 쓴 저자에 대한 만사이다. (김우동)분야문학 | 유형문헌
- 정와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자의 묘지명이다. 내용은 저자소개에 자세하다. 墓碣銘 柳(氵+奎)가쓴저자의묘갈이다. 내용은 자자 소개에 자세하다. 輓詞 李守貞, 朴申慶, 柳道源, 柳長源, 鄭持淳, 趙運道, 李泰春, 金鎭東, 趙虎然, 丁載老가 쓴 저자에 대한 만사이다. (김우동)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박신경 / 朴申慶 [종교·철학/유학]
1713년(숙종 39)∼1790년(정조 14).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성집, 어머니는 김만유의 딸이다. 성리학에 전심하였다. 원법의 산출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특히 족형인 손경과 함께 저술한《주서강록간보차의》는 주서의 난해한 부분을 이해하기 쉽도록 사전적 주
-
남야집 / 南野集 [종교·철학/유학]
남야 박손경의 문집. 목판본. 서: 정종로(1802). 발: 박한사(1801), 8권 4책. 권성익이 발의하여 1802년(순조 2) 아들 한동, 종질 한사 등이 간행하였다. 문집을 편집한 것은 박신경이고, 교감한 것은 류규이다. 문집 권1, 2에는 한시가 실려 있다.
-
능고집 / 能皐集 [종교·철학/유학]
능고 박신경의 문집. 석인본, 발:박주대(1909)‧박만진(1910). 6권3책. 권1는 시 54제 77수, 권2에는 서 11편과 서 3편, 기 5편, 발 3편이 실려 있다. 권3,4는 잡저로 <주서강록간보차의상>과 <주서강록간보차의하>가 수록, 권5는 <서론어문의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