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승환” 에 대한 검색결과 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5) 韓國獨立運動之血史(朴殷植, 維新社, 1920) 韓國獨立運動史 1(國史編纂委員會, 1965) 大韓民國獨立有功人物錄(國家報勳處, 1997) (1869-1907) 18...
    이칭별칭박성환
  • 이준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후 참위(參尉)로 시위대(侍衛隊)에서 근무하였다. 1907년 8월 한국군대가 해산되고, 참령(參領) (), 정위(正尉) 오의선(吳儀善) 등이 잇달아 자결하자, 시위대 1연대 및 2연대 장병들과 함께 해산명령을 거부하고 무기고에서 총기와 탄약을 되찾아...
    이칭별칭 운계(雲桂)
  • 남상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907년 8월 1일 일본의 강압으로 대한제국군대의 해산령이 내려지자 오전 8시부터 10시 50분까지 약 세시간 동안 항전하였다. 이 항전의 도화선은 제1연대 제1대대장 ()의 자결로, 제1대대 병사들이 무기고를 부수고 일본군대에 항전함으로써 불붙은 것...
  • 건국동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재필‧여용구 등 주관의 철도종업원운동, 조흥환‧김동호 등 주관의 교원세포조직운동 등이 있었다. 그 밖에 ()을 중심으로 군사활동도 계획하였다. 1945년 8월 4일에는 이들의 활동이 일본경찰에 발각되어 조동호‧이걸소 등 간부들이 붙잡혀...
  • 시위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와 평가] 시위대는 1907년 8월 훈련원에서 군대해산식을 거행당하고 폐지되었다. 당시 제1대대장 ()의 자결을 계기로 폭발한 시위대 및 군인들의 시위는 그 뒤의 항일의병운동으로 이어졌으며 시위대는 일제에 항거해 싸운 유일한 중앙군이었다. ...

고서·고문서(6)

  • 1814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14년(순조14) 윤월 5일 소제(少弟) ()이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간이다. 상대방의 형제와 아들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부모가 오랫동안 병환으로 위태로운 지경에 있어서 두렵고 절박한 상황을 말하고, 춘궁에 한양으로 과거에 응시하려 가는 것은 전...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18881 B018881 검모포 黔毛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純祖 12年 12月 27日_022 ... 爲司禦, 郭宗默爲守門將, 李光錫爲公忠兵虞候, 爲都摠經歷, 朴載潤爲荏子島僉使, 朴春根爲龜山僉使, 李大興爲西生僉使, 朴處儉爲恃寨僉使, 副護軍單金相儀·尹益儉·李寬彬·南...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忠淸道庄土文績_제40책 : 忠淸南道忠州所在庄土ニ關スル圖書文績類 56. 家契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府尹의 인장 1906년(광무 10) 2월 28일 漢城府尹 漢城府尹 金士亨 金士亨 李昌源 한성부 서서 양생방 太平洞契 한성부도 (군/현) 서서 양생방(면/방) 太平洞契 瓦家 8.5간 전문 전문 18000원 ...
    자료명忠淸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水虞候, 金思喆爲黃海水虞候, 李文植爲城津僉使, 吳致壽爲阿斤僉使, 趙文錫爲惠山僉使, 僉知單鄭明弘, 李春華爲古城僉使, 吳成烈爲委曲僉使, 朴宗茂爲開雲浦萬戶, 崔鳳德爲仇寧萬戶, 桂運海爲慈母別將, 李寅會·具載默爲宣傳官, 李集玉爲司禦, 郭宗默爲守門將, 李光錫爲公忠兵虞候, 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한성부 동서 연화방 호적_1903년[광무 7] [19C말~20C초 호적자료의 수집, 정리 및 그 활용 연구(2단계) | 인하대학교]
    弼) 황순영(黃順永) 양혜신(梁惠臣) 이봉규(李鳳奎) 호승권(扈承權) 김순식(金順植) 조경운(趙慶雲) () ...
    지역한성부 동서 연화방 | 시기1903년

신문·잡지(30)

  • 吳氏自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시위뎨 일련 뎨일대참령 씨의 은 이왕긔 엿거니와 부관 오희션씨도 박씨의 을보고 곳 칼을여 문엿다더라
    게재일1907년 8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靑會運動과償品寄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종로 긔독쳥년회에셔 지나간십팔일 뎨삼 대운동회를 동쇼문밧 흥텬에셔 셜얏 얼은 일등경쥬에난 박진영 놉흔염에 널은염에 죠승 계산 경주에난 로원도 한션 졔인이오 이등경쥬에 리셕별 고됴에 손의셩 광됴에 리셕별 계산경쥬에 최쥰식 제인이오 삼등...
    게재일1907년 5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漢城染織會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쳐에 지샤를 셜시왓오니 갓가은로가 부탁시옵소셔 큰광교 잡화상뎜 베젼벽문아 김상만  북송현안동초입 송낙즁 뎐당포 져동헌병지소아 리홍모 약국 남문밧런못가 유경환 상졈 샤직골 무덕문압 한셩염직회샤 고
    게재일1907년 1월 23일 | 기사분류광고
  • 漢城染織會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쳐에 지샤를 셜시왓오니 갓가온로가 부탁시옵소셔 큰광교 잡화상 베젼벽문아 김상만  북송현안지초입 송낙즁 뎐당포 져동헌병못소아 리홍모 약국 남문밧런못가 유경환 상졈 샤직골 무덕문압 한셩염직회샤 고
    게재일1907년 2월 25일 | 기사분류광고
  • 漢城染織會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쳐에 지샤를 셜시왓오니 갓가은로가 부탁시옵소셔 큰광교 잡화상 베젼벽문아 김상만  북송현안동초입 송낙즁 뎐당포 져동헌병지소아 리홍모 약국 남문밧런못가 유경환 상졈 샤직골 무덕문압 한셩염직회샤 고
    게재일1907년 2월 4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247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79면 ; 坡州郡 월룡면 영태리 두문동 제11회 1936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7585 남한 전북 전주고등보통학교 2-41 졸업대장(1-22회) n.r. 63면 ; 전북 남원군 雲峯面 西川里 275 제14회(74명) 1937년 3월 4일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2649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34면 ; 평양부 薜岩里 74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33. 대한제국의 일들과 통감부의 업무수행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프랑스 외무부 외교문서(보고서) 1911년 8월 07일 도쿄 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이토, 하야시, 천황, , 후쿠시와, 태황제, 의화군 대한제국 황제...
    집필자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 작성연도1911년 | 작성월일8월 07일 | 발신자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정치]

    1869년(고종 6)∼1907년(융희 1). 순국지사. 서울 출신. 1895년 10월 일제의 명성황후시해사건의 만행이 자행되자, 통분하여 일본인에 보복하고자 하였으나 기회를 얻지 못하였다. 1907년 7월 일제가 헤이그특사사건을 구실로 고종을 강제양위시킬 때, 궁중에서

  • 시위대 / 侍衛隊 [역사/근대사]

    구한말 국왕을 호위한 부대. 1895년 훈련대로 편성하였다. 그러나 삼국간섭에 의해 일제의 세력이 약화되자, 1895년 5월 독자적으로 시위대를 설치하였다. 시위대는 1907년 8월 훈련원에서 군대해산식을 거행당하고 폐지되었다. 당시 제1대대장 의 자결을 계기로

  • 정미의병 / 丁未義兵 [역사/근대사]

    내려진 당일 서울의 시위대 대대장 이 자결했다는 소식을 듣고, 일본군과 시가전을 전개하면서 대일항전을 개시하였다. 그 뒤 각 지방의 해산군인들도 잇달아 봉기하였다. 정미의병은 이전의 의병보다 의병진의 구성원이 다양해지면서, 소규모, 다원화되면서 산간지대를 근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