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승빈” 에 대한 검색결과 1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2)

사전(2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타계하였다. 국어연구의 발자취(金完鎭 외, 서울大學校出版部, 1985) (1880-1943) 1880(고종 17)-1943. 법률가, 교육자, 국어연구가.
    이칭별칭 학범(學凡)
  • 존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러한 몇 가지 현상만 보더라도 이들 어휘의 품사자질이 다른 용언과는 서로 다른 특성이 드러나거니와, 이러한 이유에서 존재사의 설정시비가 품사론의 논쟁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존재사의 품사정립은 이완응(李完應, 1929)에서 비롯하여 (, 1...
  • 조선어학연구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31년 국어학의 연구와 한글맞춤법의 정리를 목적으로 ()이 조직한 학술단체. [개설] 계명구락부(啓明俱樂部) 주최로 의 조선어학 강습이 12일간 개최되었다. 이 강습이 끝나던 11월 28일 국어학의 연구기관을 두...
  • 대한축구협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였다. 1921년 제1회 전조선축구대회가 개최되고 이어 1928년 5월 20일에 발족된 조선아식축구심판협회가 모체였다. 1933년 9월 19일 이 협회가 중심이 되어 회장 (), 부회장 홍성하(洪性夏) 등 임원진을 구성, 조선축구협회를 창설하였으나,...
  • 정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와 대립되기 때문에 이단시하는 경향이 있어 학계에서 거의 소외되어 왔으나 다시 그 가치를 재인식하려는 동향이 있다. 이 잡지 발간의 의의는 조선어학연구회의 발족과 의 문법학설 그리고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에 나타난 주시경학설과의 대립관계에서 찾아야...

고서·고문서(23)

  • 토지 소유권 확인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민형기(閔亨基) 경성(京城) 서부(西部) 용산방(龍山坊) 청파일계(靑坡一契) 6통 3호 () 지전진지조(池田辰之助) 경기도 부평군(富平郡) 소사(素砂) 일본 죽내우차(竹內友次) 원고의 신청은 이를 기각함. 140 일문 ...
    재판기관인천이사청(仁川理事廳) | 판결일자1909년 07월 09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檢事長向井巖、檢事尹性普、判事申載永·趙禮錫·、陸軍副尉金碩彬、日本陸軍少將香川富太郞、美國人모우볏도스우불우엘스、英國人후을우엘, 其外各郡守、司法官武官及官公吏百餘人。 陛見也。
    출처전거純宗實錄 | 지역분류도암(島巖)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금(貸金)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성(京城) 서부(西部) 장흥동(長興洞) 35통 3호 정한유(鄭漢有), 조창현(趙昌顯) 경성(京城) 중부(中部) 교동(校洞) 19통 8호, 경성(京城) 중부(中部) 중차동(中茶洞) 6통 2호 변호사(辯護士) () 원고의 신청은 이를 각하함. ...
    재판기관경성구재판소(京城區裁判所) | 판결일자1909년 06월 21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손해배상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강원도 철원군(鐵原郡) 군하관(郡下館) 동거(同居), 현 거주지 경성(京城) 서부(西部) 사온동(司?洞) 34통 3호 () 집 홍붕관(洪鵬觀) 경성(京城) 북부(北部) 사재감계(司宰監契) 온정동(溫井洞) 41통 13호 피고는 원고에 대하여 일...
    재판기관경성구재판소(京城區裁判所) | 판결일자1909년 05월 05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토지 소유권 확인 및 추수곡(收穀) 대금(代金) 반환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 김철현(金喆鉉), 겸전유(鎌田裕) 서기 중원무(中原茂), 번역관보(?譯官補) 송미무길(松尾茂吉) 이주항(李柱恒) 경기도 광주군(廣州郡) 돌마면(突馬面) 중오리(中五里) 변호사(辯護士) () 이규승(李奎承) 경성(京城) 북부(北部) 양...
    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2부 | 판결일자1909년 07월 12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신문·잡지(17)

  • 照請卒業生収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 명치대학교 법률죨업 리진우씨와 즁앙대학 법률죨업 씨를 상당 관직에 슈용라고 학부에셔 법부로 조회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8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챵원 감리셔쥬 리윈규에 외부쥬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챵원 감리셔쥬 리윈규에 외부쥬 김연하로 임고 덕원감리셔 쥬 으로 외부쥬를임고 홍슌규로 덕원 감리셔쥬를 임고 량디아문 부총관 고영희로 탁지협판을 임고 륙군부령 김뎡근으로 친위뎨일 련쟝을 보고 구품박상우로 뎐화과쥬를 임다
    게재일1900년 8월 16일 | 기사분류관보
  • 오월 이십삼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임고 리달용으로 시죵관을 임고 뎡평 슈즁 광무위원 변영조 갈닌에 김죵흡으로 명고 창원항 쥬 김면슈 갈닌에 리창진 리희직 으로 임고 동항 쥬 리샹희 갈닌에 김면슈로 임고 셩진항 쥬 리창진 갈닌에 최호와 덕원항 쥬 김익영으로임 고 ...
    게재일1899년 5월 24일 | 기사분류관보
  • 下賜金支用方畧의請求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학부에셔 일본류학 학금으로 하신돈 일만환으로 일본동경에 도셔관을 셜치랴일노 류학 회장 씨가 학부에야그 도셔관을 셜시필요가 업리류를 셜명얏 학부에셔 지령야 그 하샤압신금의 지용방약을 션량도록 깁히강구야 셩덕의만분지일을 보답케도...
    게재일1907년 5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留學會長請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동경에 잇 대한류학회 회장 씨가 학부에 쳥원기을 근일각신문을본즉 날갓흔 셩덕으로 류학에게 특하압신 탕금 일만환으로일본동경에도셔관을셜립다니 도셔관이라은 일반국민의 디식을발달기위야 영원목뎍으로 건셜난쟈이어날 시 류학난 젹은국민을 위...
    게재일1907년 5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0)

  • 1930년대철자법 논쟁 - _7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1930년대철자법 논쟁 - _7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1930년대철자법 논쟁 - _7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1930년대철자법 논쟁 - _7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1930년대철자법 논쟁 - _7주차_5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기타자료(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123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83면 ; 경성부 寬勳洞 197 1907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720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3면 ; 경성부 寬勳洞 197 1907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육연구) 교육체제 접근을 위한 교육자료의 개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론 잡지 1976 7 문교경북 53호 ...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승빈 | 사료철명문교경북
  • (교육연구) 교육체제 접근을 위한 교육자료의 개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학습지도 잡지 1976 7 문교경북 53호 경상북도교육위원회 ...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승빈 | 사료철명문교경북

주제어사전(10)

  • / [역사/근대사]

    1880∼1943. 법률가·교육자·국어연구가. 관비 유학생으로 일본에 건너가 중앙대학 법학과를 졸업, 돌아와서 법관으로 활약하다가 1910년 변호사를 개업하였으며, 1925년 보성전문학교 교장에 취임하였다. 국어표기법의 통일이 필요함을 절감하게 된 데에 있었다고 전한다

  • 조선어를라마자로기사함의규례 / 朝鮮語─羅馬字─記寫─規例 [언어/언어/문자]

    1931년에 (, 1880∼1943)이 만든 로마자 표기법의 규례를 담은 책. 은 종전의 로마자 전사체계가 국어의 어음을 주체로 하지 않고 영어의 어음에 의한 로마자의 음을 주체로 하고 그 음에 해당하거나 근접한 조선어음을 대응시킴으로써 ‘발’과 ‘팔

  • 간이조선어문법 / 簡易朝鮮語文法 [언어/언어/문자]

    1937년 (, 1880∼1943)이 펴낸 국어 문법책. 『간이조선어문법(簡易朝鮮語文法)』은 어음(語音)의 법칙과 문법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한 문법책이다. 1937년 조선어학연구회에서 활동하던 이 중등학생과 기타 조선어를 깨우치는 사람을 위하여『조

  • 한글의바른길 / [언어/언어/문자]

    1937년에 최현배(崔鉉培)가 한글 운동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펴낸 책. 『한글의 바른 길』은 한글 운동의 역사와 내용에 대해 논한 8편의 논문과 의 철자법을 비판한 「붙임」 1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붙임」을 포함한 9편의 논문의 제목은 1) 한글 운동의 유

  • 조선어문정체 / 朝鮮語文正體 [언어/언어/문자]

    의 음운을 설명하였다. 형태는 어원을 철저히 밝히되, 규율성·조절성(調節性)·편익성·단순확실성·유추성(類推性)·편중성 등 사람이 가진 심의(心意)의 영향이라 하여 이형태(異形態)·약어·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 등을 설명하였다. 품사는 주시경(周時經)·()의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