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수춘” 에 대한 검색결과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72(선조 5)∼1652(효종 3).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경로(景老), 호는 국담(菊潭) 또는 숭정처사(崇禎處士). 동몽교관(童蒙敎官) 신(愼)의 아들이다. 가학(家學)을 이어받았으며 『소학』을 항상...
    이칭별칭 경로(景老)| 국담(菊潭), 숭정처사(崇禎處士)
  • 국담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본집 3권 1책, 별집 1권 1책, 합 4권 2책. 목판본. 후손 이주(履周)에 의해 편집, 간행된 것으로, 간행연도는 본집 서문의 글로 미루어 1725년(영조 1)경으로 추정된다.
  • 변중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갔으나 김성일이 이미 전사한 뒤였으므로 곽재우(郭再祐) 휘하에 들어가 군무(軍務)에 종사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는 화왕성(火旺城)으로 달려가 ()ㆍ성안의(成安義)ㆍ남사명(南士明)ㆍ유복기(柳復起)ㆍ정사성(鄭士誠) 등과 협력하여 대적(對敵)하였...
    이칭별칭 가순(可純)| 간재(簡齋)
  • 죽림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이 세운 독서당을 두고 추모의 정을 표한 것이다. 「국담박선생정포사정순영문(菊潭朴先生旌褒事呈巡營文)」은 저자가 살던 고을의 효자인 ()의 효행을 포양(褒揚)하도록 감영에 올린 글이다. 은 약관의 나이로 임진란을 만나 가족을 이끌고 산 속에 숨어...

고서·고문서(12)

  • 1603년 () 향규서(鄕規序)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서문으로 이곳 출신의 유학자 ()이 작성하였다. 서문에는 임진왜란 직후, 유향소가 양반들의 자치기구가 아닌, 수령의 업무를 보조하는 기관으로 전락하게 되자, 전란 이전과 같은 유향소의 기능을 복구하기 위해 새롭게 향규를 제정하게 되었음이 나타나 있다.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624년 () 향안중수서(鄕案重修序)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을 받았던 경상도(慶尙道)밀양부(密陽府)의 향안도 이때 잃어버리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전란이 끝나자 양반들이 중심이 되어 향안 복구가 시도되었으며, 밀양부에서는 1624년에 향안이 새롭게 완성되었다. 그리고 이때 향안 복구를 주도했던, 밀양부 출신의 유학자 (...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829년 ()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29년(道光 9) 1월 26일에 답주(畓主) ()이 다른 전답을 사기 위해 사월원(沙月員)에 있는 복자답(服字畓) 53부[卜] 6속(束) 2두락지(斗落只) 5배미[夜味]와 자자(字字) 1번 답 1부(負), 자자(字字) 2번 답 2부(負) 2속(束) 2배...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명문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 근서주문공백록동학규급여씨향약시생도문(謹書朱文公白鹿洞學規及呂氏鄕約示生徒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규는 조선중기 이후 지방의 사립교육기관인 서원의 기본 교육규범이 되었으며, 중국송(宋)나라 때 만들어진 여씨향약 역시 조선중기 이후 향촌 사회에서의 기본 생활규범으로 널리 보급되었었다. 17세기 초반 경상도(慶尙道)풍각현(豊角縣)의 ()은 이 둘을 풍각현의...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824년 조기복(趙箕復)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24년(도광4) 1월 7일에 논주인 조기복(趙箕復)이 전래답인 사월원(沙月員)에 있는 논 5두락(斗落)을 35냥에 ()에게 팔면서 작성한 문서로, 문서를 작성한 필집(筆執)은 조경신(趙敬臣)이고, 증인(證人)은 없으며 전주와 필집의 이름아래 모두 서압을...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명문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기타자료(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0934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149면 ; 경북 영천군 신녕면 완전동 841번지 제29회 4274년 3월 5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3252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8호 1931 98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2) 신령에 따른 졸업생;(7) 제7회(1929년 3월 졸업) 54명 ; 충남 홍...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2257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6호 1930 82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2) 신령에 따른 졸업생;(7) 제7회(1929년 3월 졸업) 54명 ; 충남 홍...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572(선조 5)∼1652(효종 3). 조선 중기의 학자. 동몽교관 신의 아들이다. 가학을 이어받았으며『소학』을 항상 애독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창녕의 화왕산성에서 곽재우와 함께 싸웠다. 정구·장현광 등과 이기설을 토론하는 등 성리학의 연구에

  • 변중일 / 邊中一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1660(현종 1). 조선 중기의 학자. 경장의 아들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가 의주로 몽진하자 김성일이 초유사가 되어 의병을 모집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는 화왕성으로 달려가 ·성안의·남사명·유복기·정사성 등

  • 국담문집 / 菊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5년경에 간행한 시문집. 본집 3권 1책, 별집 1권 1책, 합 4권 2책. 목판본. 후손 이주(履周)에 의해 편집, 간행된 것으로, 간행연도는 본집 서문의 글로 미루어 1725년(영조 1)경으로 추정된다. 권두에 정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