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박손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
사전(8)
- 남야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손경(朴孫慶)의 시문집. [내용] 10권 5책. 목활자본. 1801년(순조 1) 아들 한동(漢東), 종질 한사(漢師), 권성익(權聖翊) 등이 간행했고, 그 뒤 1910년에 다시 족현손(族玄孫) 의집(義集) 등이 「주서...
- 금곡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에 있는 서원. [내용] 1568년(선조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충좌(朴忠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박눌(朴訥)과 박손경(朴孫慶)을 추가로 배...연계항목금곡서원(金谷書院)
- 행당원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숙종조의 소년 김경림(金景霖)의 시문집. [내용] 1책. 석인본. 1717년(숙종 43) 박손경(朴孫慶) 등이 편집하여 간행을 보았고, 다시 1937년 권술조(權述祖) 등이 중간하였다. 초간은 목판본, 중간은 석인본이다. 권두에 이...
- 초간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병화로 폐허가 되어 터만 남겨졌다가 1612년(광해군 4)에 후손이 권문해를 추모하기 위하여 재건하였다. 그러나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다시 불타서 권문해의 현손이 다시 세웠다. 이 때 박손경(朴遜慶)이 중수기를 썼으며, 석조헌(夕釣軒)‧화수헌(...연계항목초간정(草澗亭)
- 소화귀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태조부터 정조 2년(1778)까지 정치‧사화‧당쟁 및 그에 관련된 인물의 사적을 모아 놓은 역사책. 31권 19책. 필사본. 편년체와 기전체를 병용해 일목요연하게 편찬되었다. 1835년(헌종 1) 박손경(朴遜經)이 편저하였다. 체재를 보면, 권두에 간단한 자서(...
고서·고문서(20)
- 1741년 박손경(朴孫慶)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1742년 박손경(朴孫慶)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1764년 박손경(朴孫慶)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갑신년 3월 23일에 손경이 전염병인 우두(牛痘)를 조심하라고 당부하는 편지이다. 손경은 집안에 우환이 있다며 힘든 자신의 상황을 밝히고 있다. 며느리가 병이 낫지 않고 또다른 병세로 고생하고 있으며, 모친 또한 병환으로 고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모친은 병이 재발하여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183 B07618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正祖實錄 三年(1779) 六月 정조실록_10306014_002 不法, 各穀六百石, 作錢私用, 儲置米一百石零, 移付官廳, 立本私用, 吏逋又爲五百餘石:如此不法之吏, 照法重繩, 斷不可已。 人才, 則醴泉前參奉朴孫慶, 孝友才學, 爲...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연곡유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序(1936) 1 저자는 醴泉의 명망 있는 가문 출신으로, 약관의 나이에 이미 문장에 대한 조예가 깊었다. 뒤에 벼슬에 대한 생각을 단념하고는 예천 金谷의 南野 朴孫慶에게 집지하여 窮理實踐에 대한 공부를 익혔다. 초년과 중년에 지은 글들은 남은 것이 없으며, 현재 수...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7)
-
박손경 / 朴孫慶 [종교·철학/유학]
1713년(숙종 39)∼1782년(정조 6). 부는 사헌부 지평을 지낸 만헌(晩軒) 박성옥(朴成玉)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즐겨 사서를 강독해서 성리학을 달통하여 당대에 사표가 되었다. 효성이 극진해서 부모 공양을 정성껏 하였고 아우 박민경도 효행이 있어 영조가 세한송
-
금곡서원 / 金谷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에 있는 서원. 1568년(선조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충좌(朴忠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박눌(朴訥)과 박손경(朴孫慶)을 추가로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
-
조위경 / 趙緯經 [종교·철학/유학]
1698년(숙종 24)∼1780년(정조 4). 조선 후기 성리학자. 부친은 조언철이다. 경전을 익히며 학문에 매진하였다. 남을 대할 때에도 한결같이 예의에 어긋나지 않아서 사람들로부터 군자다운 모습을 지녔다는 칭송을 받았다. 박손경과 이상정·이광정 형제들과 도의로
-
근인당집 / 近仁堂集 [종교·철학/유학]
象靖) 등의 시를 차운한 것이 많으며, 교우인 신효원(申孝源)·신상권(申尙權)·임필대·이행원(李行遠) 등에 대한 만사가 들어 있다.서에는 권순(權淳)·권렴(權濂)·임필대·이상정·박손경(朴孫慶) 등과 주고받은 서한이 많은데, 모두 학문에 관한 것이다.
-
남야집 / 南野集 [종교·철학/유학]
남야 박손경의 문집. 목판본. 서: 정종로(1802). 발: 박한사(1801), 8권 4책. 권성익이 발의하여 1802년(순조 2) 아들 한동, 종질 한사 등이 간행하였다. 문집을 편집한 것은 박신경이고, 교감한 것은 류규이다. 문집 권1, 2에는 한시가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