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세채” 에 대한 검색결과 4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4)

사전(334)

  • 육례의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가 사례(四禮) 및 향례(鄕禮) 등에 관한 제설을 뽑아 집대성한 책. [내용] 33권 14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고 간행 연대는 미상이다. 주희(朱熹)의 『의례경전통해 儀禮經傳通解』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당시 영남유생 유직(柳稷)이 이들의 문묘종사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 는 일찍이 이이(李珥)의 『격몽요결(擊蒙要訣)』로써 학문을 출발하였고, 이이를 존경하였기에 그 상소의 부당성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이에 대한 효종의 비답(批答) 속에 선비를 몹...
    이칭별칭 화숙(和叔)| 현석(玄石), 남계(南溪)| 문순(文純)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박씨부인의 아버지로, 휘는 세채이고 별호는 둔암이다. 높은도덕을 지녔다. 박씨부인의 재주를 아끼며, 신씨부인이 어머니를 잃자 집안 어른들과 함께 각별하게 생각하고 중모 윤씨부인에게 바느질을 배우게 한다. 이조참판까지 오르고, 40세에 돌아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학자 인물 한국 조선 인조~숙종 박은화 이범직 2010 화숙(和叔) 현석(玄石), 남계(南溪) ...
  • 송징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52(효종 3)∼1720(숙종 46).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질부(質夫), 호는 약헌(約軒). 아버지는 현감 광순(光洵)이며, 어머니는 부평이씨(富平李氏)로 찰방 상재(尙載)의 딸이다. (...
    이칭별칭 질부(質夫)| 약헌(約軒)

고서·고문서(89)

  • 병오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논산 노성 파평윤씨 명재 종가
  • 1682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82년(숙종8)8월 1일에 가 佐郞安崟에게 보낸 답장이다. 安邦俊의묘표문(墓表文)은 수정할 곳이 많지 않아 곧장 고쳐서 보내드려야 하지만, 마침 눈병이 더해 점검하지 못하고 조금 나아지면 완성해 보내겠다는 내용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682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82년(숙종8)8월 23일에 가 송화현감안전에게 보낸 답장이다. 외람되이 안방준의묘표문(墓表文)을 지었고, 수정할 곳은 지시한대로 고쳐서 보낸다는 내용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남계선생예설(南溪先生禮說)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기초학문(1)

  • 조선후기 유학자들의 양명학적 문제의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상리, 게재일 : 2009
    gory=ResearchPaper&m201_id=10014392&local_id=10020308 조선후기(17`8세기) 유학자들의 양명학적 문제의식 - 정제두와 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주제어사전(40)

  • / [종교·철학/유학]

    1631-1695. 조선 숙종 때의 성리학자. 김상헌의 문하에서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다. 정치적으로는 서인으로 있다가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열되자 소론의 영수가 되었다. 예학에 밝았으며 붕당의 폐해를 지적하여 황극탕평설을 주장하였다. 저서로는 <범학전편> <남계집

  • 박태은 / 朴泰殷 [종교·철학/유학]

    1650∼1696. 조선후기 유생. 할아버지는 박의, 아버지는 이다. 관직은 판관을 지냈다.

  • 유귀삼 / 柳貴三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부는 유응성, 아버지는 유광문이다. 임익하의 딸과 결혼하였다. 의 문인이며 윤증과 먼 인척 관계이다. 아들은 유만중이다.

  • 삼례의 / 三禮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가 관·혼·제의 3례에 관해서, 주자의『가례』의 근본정신과 행용에 근거한 여러 제도를 상고, 취합한 책. 3권 1책. 가 죽은 뒤인 1711년(숙종 37)에 간행되었다. 이 책은 관·혼·제례를 『가례』의 항목에 따라서, 그리고 『예경』과

  • 유득일 / 兪得一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712(숙종 38). 조선 후기의 문신. 정 증손, 할아버지는 여해, 아버지는 창, 어머니는 이척연의 딸이다. 의 문인이다. 1677년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대사성, 대사헌, 이조참판,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