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세무” 에 대한 검색결과 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87(성종 18)∼1564(명종 19).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경번(景蕃), 호는 소요당(消遙堂). 할아버지는 신동(信童)이고, 아버지는 성균생원 중검(仲儉)이며, 어머니는 부사 이관식(李寬植)의 딸이...
    이칭별칭경번(景蕃)|소요당(消遙堂)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중종~명종 박은화 김구진 2007 경번(景蕃) 소요당(逍遙堂) 양반 남자 ...
  • 박소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14(중종 9)∼1582(선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함양(咸陽). 자는 예숙(豫叔). 신동(信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중검(仲儉)이고, 아버지는 판서 세무(世茂)이며, 어머니는 권잉(權仍)의 딸이다. ...
    이칭별칭 예숙(豫叔)
  • 화암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38년(영조 14) 허후(許詡)‧전유형(全有亨)‧()‧이신의(李愼儀)를 추가배향하였으며, 그 뒤 박지겸(朴知謙)‧허조(許慥)‧유근(柳根)을 추가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871년(고종 8)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
  • 삼족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을 인생과 결부시켜 해석한 내용이 많다. 「우흥(偶興)」ㆍ「절구오언(絶句五言)」 등이 그 예이고, 「사박소요(思朴逍遙)」는 ()의 학덕을 찬양한 내용이다. 「천과사목(薦科事目)」은 과거제도를 논평한 것이다.

고서·고문서(11)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487(성종 18)∼1564(명종 19).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신동, 아버지는 중검, 어머니는 이관식의 딸이다. 1531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내자시정, 내섬시정, 군자감정을 역임하였다. 괴산의 화암서원에 제향 되었다.

  • 동몽선습 / 童蒙先習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의 성리학자 가 1670년(현종 11)에 지은 책. 서당에 처음 입학한 학동의 필수적인 교양서이다. 권두에는 영조가 쓴 어제서가 있고 권말에는 송시열이 쓴 발문이 있다. 이 책의 내용은 오륜을 해설하고 그 중대성을 논하였고, 또한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를

  • 화암서원 / 花巖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송동리에 있는 서원. 622년(광해군 14)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이문건(李文楗)·노수신(盧守愼)·김제갑(金悌甲)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38년(영조 14)허후(許詡)·전유형(全有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