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문일” 에 대한 검색결과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6)

  • 운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12권 12책. 목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 경위는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와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481수, 권3∼7에 장(狀)‧소(疏) 각 1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22(순조 22)∼1894(고종 31).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대수(大殊), 호는 운암(雲庵)ㆍ운재(雲齋)ㆍ징암(懲庵). 평안도 태천(泰川)출신. 도정(道精)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안동김씨(安東金氏)로...
    이칭별칭 대수(大殊)| 운암(雲庵), 운재(雲齋), 징암(懲庵)| 문헌(文憲)
  • 수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백경해(白慶楷)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활자본. 1866년(고종 3) 증손 이행(彛行)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행의 발문이 있다. 국사편찬위원회에 있다.
  • 계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이 풍부하고 표현 기교가 뛰어난데, 특히 「화유(花遊)」는 서정성이 두드러져 있다. 서(書) 가운데 「상운암박선생(上雲庵朴先生)」에는 스승 ()에게 관례(冠禮)의 절차에 관해 문의한 내용이 있고, 「상족형성재(上族兄誠齋)」에서는 빨리 서재를 설립하고 강회를...
  • 박은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받아들여지지 않자 매우 실망해 낙향, 태천(泰川)의 큰 학자 ()의 문하에 들어가 성리학 연구에 몰두하였다. 1885년 어머니의 간절한 요구에 따라 향시에 응시해서 특선으로 뽑혔다. 그 뒤 1888년부터 1894년 갑오경장이 일어날 때까지...
    이칭별칭 성칠(聖七)| 겸곡(謙谷), 백암(白巖), 태백광노(太白狂奴), 무치생(無恥生)

단행본(1)

  • 와룡산일지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김병민... | 출판사 : 연변인민출판사 | 출판일 : 2013.12.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주덕해교장과 연변대학 우리의 림교장 민족교육가-리희일서기와 박규찬교장 조선족의학교육의 선구자-“신의” 로기순박사 대인의 금도를 지닌 선비-교장 대학정신의

고서·고문서(14)

신문·잡지(8)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

    1822년(순조 22)∼1894년(고종 31). 조선 후기의 학자. 도정의 아들, 어머니는 김태려의 딸이다. 이항로의 문인, 1866년(고종 3) 사복시주부·평안도도사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취임하지 않았으며, 1882년 사헌부지평·사헌부집의 등의 직이 내려졌으나 모두

  • 증시문서 / 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증규장각제학 ()에게 '문헌(文憲)'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박학다문왈문 행선가기왈헌'이라 적어 문헌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1910년 8월 20일 순종은 26명에게 시호를 주었다.

  • 계암문집 / 啓庵文集 [종교·철학/유학]

    가 뛰어난데, 특히 「화유(花遊)」는 서정성이 두드러져 있다. 서(書) 가운데 「상운암박선생(上雲庵朴先生)」에는 스승 ()에게 관례(冠禮)의 절차에 관해 문의한 내용이 있고, 「상족형성재(上族兄誠齋)」에서는 빨리 서재를 설립하고 강회를 열어서 김평묵(金平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