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문수” 에 대한 검색결과 5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5)

사전(141)

  • 송암실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의 문신 ()의 실기.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856년(철종 7)에 후손 진호(辰祜)ㆍ영호(永祜)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내희(宋來熙)의 서문과 권말에 오희상(吳熙常)의 발문 및 17대손 주현(周鉉)...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02(연산군 8)∼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밀양(密陽). 자는 이실(而實). 숙로(叔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근(亨根)이며, 아버지는 감(堪)이다. 1538년(중종 33) 성균관진사로서 승...
    이칭별칭 이실(而實)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淸選考 黨議通略 增補文獻備考 글씨 1691(숙종 17)-1756(영조 32). 조선 후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 있다 ...
    이칭별칭 성보(成甫)| 기은(耆隱)| 충헌(忠憲)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구성 및 형식] 1책. ‘어박문슈’ 또는 ‘어사전’이라는 제목으로 명명되기도 한다. 1915년 유일서관(唯一書館)에서, 1926년 경성서적업조합(京城書籍業組合), 1952년 세창서관 등에서 출판하였다. 필...
    이칭별칭어사박문수전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영조의 명을 받고 암행어사가 되어 팔도를 돌아다니다가덕유산 구천동이라는 마을에 이른다. 어두운 밤에 오직 한 집에만 등불이 켜져 있어 가까이가서 문틈으로 보니, 늙은이가 젊은이를 깔고 앉아서 ‘죽어라’, ‘죽어라’ 외치는 모습을 본다 인기척을 내어 주인 유안거와 아들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58)

구술자료(229)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제보자에게 하나를 더 청하자 제보자는 빙둘러 앉은 동료 청중들을 둘러 보고는 “다른 희망자가 없으면 재독을 허지.” 하면서 다시 박문수 이야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1985-03-31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이평면 | 제보자조철인
  • 어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설화 16]뒤에 자기네 손씨가문 조상 이야기를 한 후에, 조사자가 손병사 이야기를 청했더니, 잘 모른다고 간단히 구술하였다. 그 뒤 제보자가 자청하여 어사 박문수가 이 산내면에 와서 겪은 일화를 구술하였다. 청중은 그런 이야기를 처음 들었다고 하면서 재미난 듯 ...
    조사일시1981-07-27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 제보자손윤호
  • 어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전날 밤 늦게까지 이야기를 해 준 제보자는, 오늘은 아침부터 기다렸는데 조사자가 늦게 와서 위천장에 가려고 하던 중이라면서, 조사 장소인 부락회관에 들어 앉자마자 이야기를 하자면서 재촉을 했다. 그러나 막상 녹음을 할 준비를 마치자 제보자는 거창 향교의 분쟁을 이...
    조사일시1980-11-18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 제보자박옥천
  • 어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08-02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연초면 | 제보자유치만
  • 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 이야기에 이어서 계속했다. *
    조사일시1984-07-22 | 조사장소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 제보자정상수

기초학문(4)

  • 가톨릭교회와 근대적 사회사업의 도입과 발전 : 해방에서 1975년 주교회의 인성회 출범까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문수, 게재일 : 2004
    11051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韓國가톨릭社會科學硏究會 2004 가톨릭교회와 근대적 사회사업의 도입과 발전 : 해방에서 1975년 주교회의 인성회 출범까지 https://www.krm.or.kr/krmts/l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가톨릭사회복지와 한국의 근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문수, 게재일 : 2003
    07746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韓國가톨릭社會科學硏究會 2003 가톨릭사회복지와 한국의 근대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가톨릭 사회복지와 한국의 근대화 -1784년부터 1945년까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문수, 게재일 : 2003
    48381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가톨릭사회과학연구회 2003 가톨릭 사회복지와 한국의 근대화 -1784년부터 1945년까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근대적 사회사업에서 사회복지로의 발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문수, 게재일 : 2005
    11372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韓國가톨릭社會科學硏究會 2005 근대적 사회사업에서 사회복지로의 발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6)

기타자료(7)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5194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68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21)송도고보 제14회(소화8년) 34명 ; ...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3622 남한 경기 송도고등보통학교 3-03 송우 제7호 1933―03―18 102면 1. 졸업생상황;21)송도고등보통학교 제14회(34명) ; 개성 만월정 311-14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송도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1061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34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26) 제24회 103명(1928년 3월 졸업) ; (주소 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2474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34면 (26) 제24회 103명(1928년 3월 졸업) ; 경성부 영락정(중앙무진회사 조사과)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3925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8호 1931 109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1) 통상회원;(10) 제1학년 을 73명 ; (원적)경북 상주군 상주면 남정리...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5)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1∼1756). 1723년(경종 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예문관검열로 뽑혔다. 이듬 해 세자시강원설서·병조정랑에 올랐다가 1724년 노론이 집권할 때 삭직됐다. 이후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했으며 1730년 충청도 암행어사로 나가 기민에 힘

  • 전 / [문학/고전산문]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1책. ‘어ᄉᆞ박문슈’ 또는 ‘어사전’이라는 제목으로 명명되기도 한다. 1915년에는 유일서관(唯一書館), 1926년에는 경성서적업조합(京城書籍業組合), 1952년에는 세창서관 등에서 출판하였다. 필사본이나 목판본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

  • 설화 /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이면서 암행어사로 유명하였던 에 관한 설화. 문헌설화는 『기문총화(記聞叢話)』 2편, 『계서야담(溪西野談)』 1편, 『청구야담(靑邱野談)』 3편, 『선언편(選言篇)』 2편, 『동야휘집(東野彙輯)』 2편, 『대동기문(大東奇聞)』·『실사총담(實事叢譚

  • 죽산박씨오충전 / 竹山朴氏五忠傳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편자미상, 목활자본, 1899년(광무 3), 불분권 1책(32장). 표제와 판심제는 오충전(五忠傳)으로 되어 있다. 죽산박씨의 선조들인 고려시대 ()부터 신룡(信龍), 계성(繼成), 성룡(成龍), 명룡(命龍)까지의 5인의 전

  • 삼쾌정 / 三快亭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활자본. 이 작품은 어사설화를 소설화한 작품으로, 「전(傳)」과 같은 계열에 속한다. 이 작품의 첫번째 이야기는 어사설화를 수용한 것이기 때문에, 와 박성수를 같은 인물로 보아도 상관없을 것이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