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두세”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50(효종 1)∼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내용] 본관은 울산(蔚山). 자는 사앙(士仰). 충청도 대흥 출신. 할아버지는 이건(以建)이며, 아버지는 율(繘)이다. 1682년(숙종 8)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칭별칭 사앙(士仰)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학자 인물 한국 조선 후기 숙종 박은화 이범직 2010 사앙(士仰) 양반 남자 1650년(효종 1) ...
  • 요로원야화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숙종 때 ()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수필형식의 단편산문. [구성 및 형식] 1책. 필사본. 1종의 국문본과 5종의 한문본이 있다. [내용] 작중의 ‘나’라는 주인공은 충청도에 사는 선비이다. 1678년(숙종...
  • 삼운보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숙종 때의 문신 ()가 『삼운통고(三韻通考)』를 수정, 증보한 책. [내용] 5권 2책. 목판본. 발문에 의하면, 편자가 1702년(숙종 28) 진주에서 해직하고 돌아온 뒤로 편찬에 착수, 3년만에 겨우 완성하여 울산에
  • 삼운통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삼운통고』에 자수를 더 증보하고 상세한 자해를 한 것이 1702년(숙종 28) ()가 간행한 『삼운보유(三韻補遺)』이며, 이를 숙종 때 김제겸(金濟謙)과 성효기(成孝基)가 다시 증보하여 『증보삼운통고』를 지었는데, 자해는 다시 2, 3자로 간략해졌다. ...

고서·고문서(7)

  • 將, 爲五衛將, 朴葵爲五衛將, 金千重爲忠壯將, 白奎燦爲笠巖別將, 李尙爲統制使, 李奎成爲慶尙右兵使, 爲曹司衛將, 申珩爲忠翊將, 魚史忠爲馬梁僉使, 李重泰爲武兼, 楊震爲武兼, 鄭震輔爲武兼, 宋相維爲副率, 金令行爲侍直, 金宗杓爲守門將, 周道平爲守門將, 許鎭爲武兼,...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138 B048138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5年 1月 21日_007 ○有政。 吏批, 以李世白·姜鋧爲承旨, 李德基爲軍器判官, 韓渷爲司宰僉正, 爲典籍, 沈極爲掌樂正, 趙泰采爲典籍, 趙國衡爲軍器僉正, 楊顯望爲軍資正, 張後載爲大靜縣監, 李頤命...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308 B018308 거제현령 巨濟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0年 11月 24日_009 ○以慶尙監司金演狀啓, 金海府使黃鎬, 固城縣令宋道錫, 昌原府使李顯徵, 巨濟縣令邊震英, 鎭海縣監金汝錫, 漆原縣監李時漢, 熊川縣監李之㰒, 蔚山府使, 東萊府使李壄, 機張縣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331 B018331 거제현령 巨濟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0年 11月 24日_009 ○以慶尙監司金演狀啓, 金海府使黃鎬, 固城縣令宋道錫, 昌原府使李顯徵, 巨濟縣令邊震英, 鎭海縣監金汝錫, 漆原縣監李時漢, 熊川縣監李之㰒, 蔚山府使, 東萊府使李壄, 機張縣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2601 B072601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0年 11月 24日_009 ○以慶尙監司金演狀啓, 金海府使黃鎬, 固城縣令宋道錫, 昌原府使李顯徵, 巨濟縣令邊震英, 鎭海縣監金汝錫, 漆原縣監李時漢, 熊川縣監李之㰒, 蔚山府使, 東萊府使李壄, 機張縣監盧世器,...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할아버지는 이건, 아버지는 율이다. 1682년(숙종 8)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직이 제수되었으며, 1686년 의금부도사로 권대운을 압송할 때 편리를 보아주었다 하여 파직되었다. 그 뒤 진주

  • 요로원야화기 / 要路院夜話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숙종 때 ()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수필 형식의 단편산문. 1책. 필사본. 두 인물의 대화를 통하여 양반층의 횡포와 사회의 부패를 보여주는 것이 이 작품의 특징이다. 향토 양반들의 실태와 그들의 교만성을 서울 양반에게 빗대어 지적한다거나 양반의 허세

  • 삼운보유 / 三韻補遺 [언어/언어/문자]

    조선 숙종 때의 문신 ()가 『삼운통고(三韻通考)』를 수정, 증보한 책. 5권 2책. 목판본. 현존하는 『삼운통고』에는 크게 보아 임진왜란 이전의 간본과, 그보다 표제자의 수효가 늘어난 무신자본(戊申字本)의 두 이본이 있는데, 이 책은 후자를 저본으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