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달목” 에 대한 검색결과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0)

  • /박달나무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재질이 치밀하고 견고하며 비중이 큰 나무. ()은 재질이 단단하여 각종 공사에 다양한 용도로 쓰였는데, 쓰임새에 따라 그 규격도 다양하였다. 운반 기기인 윤여(輪輿)나 수레[車子] 등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대여(大輿)...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두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大自作板紅道介仇彔之板小厚正板足次小條里木朴只四寸頭丁, (가례1866/하086ㄴ05~08)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두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듬이질할 때 쓰는, 단단한 나무로 만든 도구. 지붕기와 잇기를 할 때 수키와 밑에 까는 진흙을 홍두깨흙이라고도 하는데, 대부분의 의궤 자료에서 횡도개차(橫道介次)으로 제시하고 있어 도구 홍두깨임을 확인할 수 있다. 종류로는 장홍두깨(長洪都介)가 보인다. ...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백모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모전은 쇠 털로 짜서 만든 자리로 욕석, 장막(帳幕) 등에 사용되었다. 서양의 팰트(felt)에 해당한다. 方亇赤二十介次一條白木綿一匹白木綿襦袱二浮白毛氈二浮毛邊紙八卷眞墨十五丁大硯三面行子生布赤亇四介, (국장1903/106ㄴ08~10)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수리소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가례의 의식이 치러질 때 장인들이 물건을 고쳐주는 일을 맡은 기구. 眞長木二百五十介以上水剌間醬庫兩處排設作門圍排所入一條半內修理所造成所別工作等木手及小木匠朴亇赤所用半條抹樓諸具所用, (빈전1649/224ㄴ12~225ㄱ01)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6)

  • 37313 B037313 노목 櫨木 경제산업 大東地誌 권6 전라도 濟州 土産 山稻黍稷粟大豆小豆大麥小麥蕎麥菉豆馬牛黑黃斑數種角甚美可爲觥海中柔脆隨波上下出水乃堅山柚子木唐柚子木榕木二年木有䐉香氣櫨木加沙木梨木棟實蔓香木生漢拏山形如紫檀靑楊樹如揚葉如眞松而細嫰金桐木可作琴黏木杜沖出楸...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9975 B039975 당유자 唐柚子 경제산업 大東地誌 권6 전라도 濟州 土産 山稻黍稷粟大豆小豆大麥小麥蕎麥菉豆馬牛黑黃斑數種角甚美可爲觥海中柔脆隨波上下出水乃堅山柚子木唐柚子木榕木二年木有䐉香氣櫨木加沙木梨木棟實蔓香木生漢拏山形如紫檀靑楊樹如揚葉如眞松而細嫰金桐木可作琴黏木 ....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各司有元貢別貿, 內贍寺, 赤豆價折錢六十四兩, 義盈庫, 黃蜜․法油․粉藿․常藿․早藿․多士麻․石茸․甘苔․黃角等價折錢七千五百七十二兩, 繕工監, 眞長木․雜長木․厚板․椵板․松板․眞椽木․大竹․中竹․小竹․片竹․海長竹․大束乼․中束乼․小束乼․三甲所․條所․小․丁粉․朴回木等價折錢一萬六...
    출처전거萬機要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百七十四兩, 乙巳, 爲中年, 各司有元貢別貿, 奉常寺, 白紋席價折錢二十六兩, 內贍寺, 赤豆價折錢六十四兩, 義盈庫, 黃蜜․法油․常藿․早藿․多士麻․石茸․甘苔等價折錢六千九百四十六兩, 繕工監, 眞長木․雜長木․椳木․厚板․椵板․松板․楸木․小․眞椽木․大竹․中竹․小竹․片竹․海長竹...
    출처전거萬機要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974 B040974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萬機要覽 財用編三 戶曹貢物 [別貿一年貢價] ... 麻․石茸․甘苔․黃角等價折錢七千五百七十二兩, 繕工監, 眞長木․雜長木․厚板․椵板․松板․眞椽木․大竹․中竹․小竹․片竹․海長竹․大束乼․中束乼․小束乼․三甲所․條所․小․丁粉․朴...
    출처전거萬機要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침 팔아서 부자 된 사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가 끝나자 제보자가 거짓말 같은 옛날 얘기를 들려주겠다면서 자진해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2009. 1. 31(토) | 조사장소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이목정 1리 351-4번지 김세기 자택 | 제보자김세기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산업]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재질이 치밀하고 견고하며 비중이 큰 나무. 은 재질이 단단하여 각종 공사에 다양한 용도로 쓰였는데, 쓰임새에 따라 그 규격도 다양하였다. 운반 기기인 윤여나 수레 등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대여의 기둥과 초엽, 현주, 횡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