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강생”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69(공민왕 18)∼1422(세종 4). 고려 말 조선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유지(柔之), 호는 나산경수(蘿山耕叟). 아버지는 호조전서(戶曹典書) 침(沈)이며, 어머니는 밀산군(密山君) 박린(朴隣)의 딸이다....
    이칭별칭 유지(柔之)| 나산경수(蘿山耕?)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정치·행정가/척신 인물 한국 고려 말~조선 초 공양왕~세종 박은화 이범직 2010 유지(柔之) 나산(蘿山), 경수(耕叟) ...
  • 박춘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인서(寅瑞), 호는 양촌(陽村). 부제학 강생(剛生)의 후손이며, 증조가 절도사 대손(大孫)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춘방관(春坊官)으로 입시하여 선조를...
    이칭별칭 인서(寅瑞)| 양촌(陽村)
  • 박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33(세종 15)∼1493(성종 24).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밀양(密陽). 자는 자첨(子瞻), 호는 존성재(存誠齋). 강생(剛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전지교정감정자 절문(切問)이고, 아버지는 밀산군(密山君) 중손(仲...
    이칭별칭 자첨(子瞻)| 존성재(存誠齋)| 대민(戴敏)
  • 박중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12(태종 12)∼1466(세조 12).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경윤(慶胤), 호는 묵재(默齋). 침(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찬성사(贊成事) 강생(剛生)이고, 아버지는 교서관정자(校書館正字) 절문(...
    이칭별칭 경윤(慶胤)| 묵재(默齋)| 공효(恭孝)|응천군(凝川君)|밀산군(密山君)

고서·고문서(3)

  • 28 第二十八統首尙衣弓人鄭玉善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金海母私婢今春上典晋州居幼學河戒 仁辛酉戶口相准 第五戶梁山案付主鎭步兵---年{參}拾柒戊子本豊德父納粟通政大夫泰英祖納粟通政大夫東軾曾祖老職通政大夫興轅外祖定虜衛 李廷道本---召史年參拾陸己丑本密陽父正兵朴立祖通政大夫尙順曾祖龍驤衛副司果淑外祖定虜衛本 慶州---堂今故率子萬道年參壬...
    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一南門內里
  • 曾祖通政大夫興轅外祖定虜衛李亭植本慶州妻朴 召史年貳拾肆己丑本密陽父正兵立伊祖通政大夫尙順曾祖龍讓尉副司果淑外祖定虜衛本慶州率女同生贖良仲玉年 拾捌乙未率同生殷輅年拾陸丁酉貳口加現己酉戶口相准 戶營奴注狀今故代妻慶州案付司贍寺婢甘德年陸拾壹壬子本慶州父寺奴國祖寺奴福曾祖寺奴石外祖寺奴正石本...
    연도_면이름1672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內厢面第一南門內里
  • 에 병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先妣貞敬夫人尹氏墓表 6 정경부인인 돌아가신 모친 尹氏(1368~1433)의 묘표이다. 본관은 坡平이고, 衛尉尹 尹承慶의 따님이다. 의정부 찬성에 추증된 의 아내이다. 성품이 어질고 효성스러워 일찍이 부친을 여의고 모친을 극진히 봉양...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369(공민왕 18)∼1422(세종 4). 고려 말 조선전기의 문신. 아버지는 침, 어머니는 박린의 딸이다. 1390년(공양왕 2)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검열에 보직되었다. 1392년 조선이 개국되자 호조전서에 임명되었으나 사퇴, 1408년(태종 8) 진위사의 서장관

  • 중주서원 / 中洲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일중리에 있었던 서원. 1859년(철종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현(朴鉉)·()·박심문(朴審問)·박중손(朴仲孫)·박달(朴橽)·박증영(朴增榮)·박훈(朴薰)·박영(朴英)·박충원(朴忠元)의 충절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