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바위그림”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바위 위나 큰 절벽, 동굴 내 벽면 등에 사물이나 기호를 쪼으기‧새기기‧칠하기 등의 기법으로 그린 그림. [개설] 암각화(巖刻畵), 혹은 암각(巖刻), 암화(巖畵) 등으로도 불린다. 은 후기 구석기시대의 유적에서도 발견되지만, 전...
    이칭별칭암각화|암각|암화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바위 위나 큰 절벽, 동굴 내 벽면 등에 사물이나 기호를 쪼기, 새기기, 칠하기 등의 기법으로 그린 그림.
    정의바위 위나 큰 절벽, 동굴 내 벽면 등에 사물이나 기호를 쪼기, 새기기, 칠하기 등의 기법으로 그린 그림.[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bawi geurim | MR표기pawi kŭri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고령양전동암각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양전리에 있는 선사시대의 유적. [내용] 보물 제605호. 대구에서 고령으로 가는 도로변의 금산재[錦山嶺]에서 남으로 뻗은 구릉에 석기 유적지가 있고, 구릉 동쪽 산록의 저지에는 고인돌이 분포되...
    연계항목고령양전동암각화(高靈良田洞岩刻畵)
  • 울산대곡리반구대암각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분야에서도 금석학적, 민속지적, 생태학적 접근이 행해지고 있다. 오늘날 반구대 암각화를 비롯한 국내 발견 암각화 유적들은 다산과 풍요를 위한 제의장소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살아있는 신화 』(정동찬, 혜안, 19...
    연계항목울산대곡리반구대암각화(蔚山大谷里盤龜臺岩刻畵)
  • 영일칠포리암각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또 전설에는 곤륜산이 고령에서 날아왔다고 하는데, 이곳의 암각화가 고령 양전리 암각화(보물 제605호)와 형태상으로 통한다는 점에서 흥미 있다. 한국의 암각화(한국역사민속학회 편, 한길사, 1996) 살아있는 신화 (정동찬, 혜안,...

단행본(1)

논문(1)

고서·고문서(1)

  • 1913년 안동군 임동면(臨東面) 대곡동(大谷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道)], 금바드래[금수천(錦受川)] 등이 있다. 대곡리에는 ‘대곡리 굴참나무’와 ‘대곡리 ’이 있다. ‘대곡리 굴참나무’는 천연기념물 제288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곡리 ’은 대곡리 바드래 마을 어귀에 있으며,...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주제어사전(2)

  • / [역사/선사시대사]

    바위 위나 큰 절벽, 동굴 내 벽면 등에 사물이나 기호를 쪼으기·새기기·칠하기 등의 기법으로 그린 그림. 암각화(巖刻畵), 혹은 암각(巖刻), 암화(巖畵) 등으로도 불린다. 은 후기 구석기시대의 유적에서도 발견되지만, 전형적인 사례들은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유

  • 고령 장기리 암각화 / 高靈 場基里 巖刻畵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장기리에 있는 선사시대의 유적. 대구에서 고령으로 가는 도로변의 금산재[錦山嶺]에서 남으로 뻗은 구릉에 석기 유적지가 있고, 구릉 동쪽 산록의 저지에는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다. 이 바로 이웃의 장기리 알터[卵峴]마을에 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