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바리모양토기” 에 대한 검색결과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함경도를 비롯한 동북지방을 중심으로 깊은 [深鉢形土器]가 퍼져 있었다. 초기는 짧은 선이나 점으로 구성된 무늬를 몸통 윗부분 또는 아가리 둘레에 새겼다. 중기 이후는 아가리가 밖으로 벌어져 새로이 타래무늬가 등장한다. 후기는 돌림무늬[雷文]토기,...
  • 합천저포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는 벽도랑(壁溝), 기둥구멍(柱穴), 화덕자리(爐址)가 있다. 벽도랑은 산사면의 높은 쪽에 있으며, 화덕자리는 얕게 판 구덩식(竪穴式)으로 한쪽에 치우쳐 1기가 있다. 유물은 깊은(深鉢形土器), 얕은(淺鉢形土器), 긴목항아리(長頸壺), 항아리모양...
  • 화성백곡리고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난형(卵形)의 독(甕), 승문(繩文)에 횡침선이 있는 깊은(深鉢形土器), 꼭지가 없는 뚜껑, 넓고 편평한 바닥의 입큰항아리(廣口壺) 등이 있는데, 서울 지역에서 출토되는 한성기 백제토기와 동일하여 백제토기문화의 영향을 잘 반영하고 있다. 한편 1호분에서는 깊...
  • 울주검단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으로 폐기했을 가능성이 높다. 토기는 일부 빗금무늬〔斜線文〕도 있지만 구멍무늬토기〔孔列土器〕가 많으며, 깊은〔深鉢〕 가운데 손잡이〔把手〕가 부착된 것이 몇 점 있다. Ⅱ기는 집자리 17기가 확인되었는데, 1단계에 비해 규모가 크다. 5호는 크기가 길...
  • 천안백석동선사유적및백제토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모양, 사발모양, 굽달린작은항아리〔臺附小壺〕, 굽달린바리〔臺附鉢〕, 굽달린접시〔高杯〕로 구분할 수 있다. 11점이 출토된 굽달린바리는 남한지역의 관련유적 중 구체적인 형태로 출토된 유일한 예로 주목된다. 토기 구연부의 문양은 주로 깊은〔深鉢形土器〕에서 확인되...

주제어사전(3)

  •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항아리모양 토기와 달리 목이 없이 아가리와 몸통이 바로 연결된 토기. 아가리의 지름보다 몸통의 높이가 높은 것을 깊은바리모양〔深鉢形〕토기라고 하고, 아가리 지름과 몸통 높이가 비슷한 것을 바리모양 토기라고 부르며, 높이보다 지름이 더 긴 것을 얕은바리모양〔淺鉢形〕토기라

  • 경주마동집터 / 慶州馬洞집터 [역사/선사시대사]

    나 단면상에서 민무늬토기[無文土器], 깊은[深鉢形土器]아가리조각[口緣部片]이 출토되었다.

  • 광주장지동유적 / 廣州牆枝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기둥구멍 1개가 노출되었고, 민무늬토기조각과 붉은간토기〔紅陶〕조각이 출토되었다. 제6호는 모줄임 네모모양으로 추정되며, 내부에 구덩이모양의 화덕자리가 확인되었고, 골아가리무늬토기〔口脣刻目文土器〕·〔鉢形土器〕가 수습되었다. 제7호는 결실이 심하여 정확한 형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