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밀직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6)
사전(425)
- 밀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 밀직사로 바뀌게 되었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광정원(光政院)으로 바꾸었다가, 곧 다시 밀직사로 고치면서 사(使, 종2품) 1인, 지사사(知司事, 종2품) 2인, 동지사사(同知司事, 종2품) 3인, 부사(副使, 종2품) 4인, 지신...
- 밀직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 후기 왕명의 출납과 궁중의 숙위 및 군기(軍機)의 정사를 맡아보던 관청.정의고려 후기 왕명의 출납과 궁중의 숙위 및 군기(軍機)의 정사를 맡아보던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Miljiksa | MR표기Milchik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밀직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발병, 군량 조달 등의 군사 행정을 담당하던 관청정의발병, 군량 조달 등의 군사 행정을 담당하던 관청 | 문광부표기Miljiksa | MR표기Milchik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지밀직사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 밀직사(密直司)의 종2품 관직.정의고려시대 밀직사(密直司)의 종2품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i Miljiksa sa | MR표기chi Milchiksa 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우대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왕명의 출납(出納)과 숙위(宿衛)ㆍ군기(軍機)의 정사를 관장한 밀직사(密直司)의 정3품 관직. [내용] 1310년(충선왕 2) 우승선(右承宣)의 후신인 우승지를 개명한 것으로, 1356년(공민왕 5) 다시 우승선으로 고쳤다가 1...
고서·고문서(88)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590 B014590 강도 江都 정치행정 高麗史節要 卷之二十一 忠烈王 十四年 秋七月 秋七月 元遣摠管金之茂來 閱兵器以鄭可臣 判密直司事 李益培 副知密直司事致仕⁄遣知密直司事安戩如元 賀聖節⁄知密直司事趙抃 卒 抃 初以行首 宿衛江都 一日乘晩入直 而門已閉 元宗聞之 命從隙而入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二十一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598 B014598 강도 江都 정치행정 高麗史節要 卷之二十一 忠烈王 十四年 秋七月 秋七月 元遣摠管金之茂來 閱兵器以鄭可臣 判密直司事 李益培 副知密直司事致仕⁄遣知密直司事安戩如元 賀聖節⁄知密直司事趙抃 卒 抃 初以行首 宿衛江都 一日乘晩入直 而門已閉 元宗聞之 命從隙而入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二十一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도(江華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元 遣忽都海等來 頒改元詔⁄以洪子藩 爲僉議中贊 印侯 爲僉議贊成事 金之淑 判密直司事 車信 爲密直司使 安珦 知密直司事 張舜龍 同知密直司事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二十一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도(江華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元 遣忽都海等來 頒改元詔⁄以洪子藩 爲僉議中贊 印侯 爲僉議贊成事 金之淑 判密直司事 車信 爲密直司使 安珦 知密直司事 張舜龍 同知密直司事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二十一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金逸逢 判密直事 李衍宗 爲密直使 兼監察大夫 金普 知密直事 洪由道 鄭䫨 同知密直事 金敬直 李成瑞 爲密直副使 尹澤 爲密直提學⁄權省李齊賢 下裴佺及朴守明于獄 流直城君盧英瑞于可德島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二十六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
-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1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甲午(1294)三月日蒙庵居士奉翊大夫副知密直司事國學大司成大翰學士承旨李混跋 H6, p.469.; X64, p.807. 경남 양산 통도사 성보박물관 無 1. 내용: 禪門寶藏錄上ㆍ中ㆍ下, 禪文剛要集 한국의 사찰 문화재-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_경상남도Ⅲ_자료집...대표표제어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14 | 대표서명禪門寶藏錄 | 한글서명선문보장록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석가여래행적송(釋迦如來行跡頌) 2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線裝(表紙改裝) 2卷1冊 26.1x17.3 序: 正順大夫密直司左副代言判繕工寺事進賢提學知製敎李叔琪述 序: 大元至順庚午(1330)四月日 晦巖老人書 于柯亭 序: 天台末學無寄撰集...時天曆元年戊辰(1328)臘月旣望序述元 跋: 天歷三年庚午(1330)二月八 萬德...대표표제어석가여래행적송(釋迦如來行跡頌) 22 | 대표서명釋迦如來行蹟頌 | 한글서명석가여래행적송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석가여래행적송(釋迦如來行跡頌) 2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不明] 1709年(肅宗 35) 跋 2卷2冊 29.5x21.2 序: 正順大夫密直司左副代言判繕工寺事進賢提學知製敎李叔琪述...大元至順庚年(1330)四月 日晦菴老人書于柯亭 幷序: 天台未學浮庵無寄撰集...時天曆元年戊辰(1328)臘月旣望序述云 跋: 時天曆三年庚...대표표제어석가여래행적송(釋迦如來行跡頌) 21 | 대표서명釋迦如來行蹟頌 | 한글서명석가여래행적송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12)
-
밀직사 / 密直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몽고의 간섭 하에서 왕명의 출납, 궁중의 숙위, 군기의 정사를 맡아보던 관서. 991년(성종 10)에 설치된 중추원은 1095년(헌종 1) 추밀원으로 바뀌었다가, 원나라의 간섭기인 1275년(충렬왕 1) 밀직사로 바뀌게 되었다. 1298년(충렬왕 24) 충
-
동판사 / 同判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의 관직. 판사의 바로 아래 관직으로 추정되는데, 이 경우 동판밀직사사는 판사와 같은 종2품 관직이었을 것이며, 밀직사에서 서열은 판사의 아래, 사·지사·동지사·부사 등 다른 추밀의 위였을 것으로 보인다.
-
대언 / 代言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밀직사에 소속된 관직의 하나. 밀직사는 중추원의 후신으로 원나라의 간섭으로서 변개된 것이다. 1310년(충선왕 2) 승지를 대언으로 개칭, 1354년(공민왕 3) 우·좌대언과 우·좌부대언의 4대언이 모두 녹관이 되었고, 1362년 모두 정3품으로 정해졌다.
-
지신사 / 知申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밀직사의 정3품 관직. 정원은 1인. 1275년(충렬왕 1) 원간섭기 관제가 격하될 때 추밀원의 지주사(知奏事)가 개칭된 것이다. 1298년 충선왕이 실시한 관제개혁에서 밀직사가 폐지되고 광정원 설치시 혁파. 1308년(충선왕 복위년)에도 밀직사가 폐지,
-
광정원 / 光政院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왕명의 출납과 궁중의 숙위·군기를 맡아보던 관청. 991년(성종 10) 10월 병관시랑 한언공의 건의에 따라 설치된 중추원은 1275년(충렬왕 원년) 밀직사로 바뀐 뒤, 1298년 5월 충선왕에 의하여 광정원으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