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밀양백중놀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5)
- 밀양백중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주를 요구하기도 한다. 음식이 장만되면 그날 경치가 좋은 장소에 모여 하루를 마음껏 놀고 즐기게 된다. 높은 예술성을 가지고 있어 서민예술의 표본이 되는 <밀양백중놀이>의 주요종목은 농신제(農神祭)‧작두말타기‧춤판‧뒷놀이 등으로 이루어진다. 농신제는 먼저 나팔을...연계항목밀양백중놀이(密陽百中놀이)
- 밀양백중놀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요무형문화재 제68호.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서 직접 농업 생산 활동에 참가하는 농민들이 논에서 김매기를 마칠 무렵인 백중(百中)을 전후하여 벌이는 놀이.정의중요무형문화재 제68호.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서 직접 농업 생산 활동에 참가하는 농민들이 논에서 김매기를 마칠 무렵인 백중(百中)을 전후하여 벌이는 놀이.[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사전] | 문광부표기Miryang Baekjung Nori | MR표기Miryang Paekchung Nor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타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중요무형문화재 제68호 「밀양백중놀이」 기예능 보유자. [내용] 1913∼1990. 국악인. 밀양백중놀이에서 상쇠를 담당했다. 경상남도 밀양 출신. 학력은 대구중학교 2학년을 중퇴하였다. 1954년 한국국악협회 경남
- 하보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8∼1997. 중요무형문화재 제68호 밀양백중놀이 보유자. [내용] 경남 밀양 출신. 밀양백중놀이의 보본계(報本契)라는 친목단체인 농악단원이었던 부모 하성옥(河聖玉)‧이삼선의 사이에서 태어나, 걸립농악단의 모갑(某甲)이...
- 범부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뛰면서 가볍게 어깨춤을 춘다. 장단은 양산도가락인 세마치장단이며, 복식은 상투머리에 망건을 쓰고 흰 바지 저고리를 입는다. 왼쪽 바지가랑이에 웃대님을 매고 있는 것이 색다르다. 重要無形文化財調査報告書 138‧密陽백중놀이‧(文化財管理局, 1980) ...
기초학문(1)
- 움직이는 전통, 변화하는 시선-밀양백중놀이의 장애 표현과 그 형상화 시선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허용호, 게재일 : 201458508 허용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공연문화학회 2014 움직이는 전통, 변화하는 시선-밀양백중놀이의 장애 표현과 그 형상화 시선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유형논문 | 게재일2014
주제어사전(4)
-
밀양백중놀이 / 密陽百中─ [생활/민속]
경상남도 밀양 지방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중요무형문화재 제68호. 머슴들이 7월 보름경 진(辰)에 해당하는 날(용날)을 택하여 지주(地主)들이 마련해준 술과 음식으로 하루를 즐겁게 노는 데서 연유한 두레굿이다. 이러한 놀이는 두레먹기·호미씻기[洗鋤遊 : 세서연]·호미걸
-
하보경 / 河寶鏡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68호 「밀양백중놀이」 전승자로 지정된 기예능보유자. 경남 밀양 출신. 밀양백중놀이의 보본계(報本契)라는 친목단체인 농악단원이었던 부모 하성옥(河聖玉)·이삼선의 사이에서 태어나, 걸립농악단의 모갑(某甲)이면서 큰북을 치기 시작하여 가락과 춤
-
마당춤 / 마당춤 [예술·체육/무용]
가산오광대, 통영오광대, 하회별신굿 등이 전승되고 있으며, 특히 고성오광대놀이의 ‘덧배기춤’, 밀양백중놀이의 ‘범부춤’ 그리고 ‘동래학춤’ 등은 현대에 와서 재조명되고 있는 춤이다.
-
덧배기춤 / 덧배기춤 [예술·체육/무용]
동작을 풀어나간다. 활달하면서도 동작이 큰 허튼춤이며, 남성춤에 많이 있다. 반주는 주로 사물(꽹가리, 징, 장고, 북)로 하며, 경상도의 탈놀이인 야류(野遊)나 오광대(五廣大)놀이와 밀양백중놀이, 동래한량춤에서 쉽게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