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민화” 에 대한 검색결과 9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89)

사전(30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반 대중들의 치졸한 작품 등을 일컫는 말로 쓰인다.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직업 화가인 도화서(圖畫署)의 화원(畫員)이나 화가로서의 재질과 소양을 갖춘 화공(畫工)이 그린 그림도 포함시켜 말하고 있다. 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일본인 야나기(柳宗悅)...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민족이나 개인이 전통적으로 이어온 생활습속에 따라 제작한 대중적인 실용화.
    정의한 민족이나 개인이 전통적으로 이어온 생활습속에 따라 제작한 대중적인 실용화.[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minhwa | MR표기minh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를 전문적으로 그리는 일 또는 그 일에 종사하는 사람. [내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호. 조선시대에는 화가들 중에 가장 천하게 여겨져 온 사람이 가였다. 6‧25 이후까지도 장들은 겨울철이면 시골마을이나 장터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李範奭)이 차임(此任)에 당하고 후위첨병(後衛尖兵)은 이(李)와 본인이 각각 군인 5명을 대(帶)하였는데, 이는 골짜기 본도(本道)의 전방 60도 경사진 산복(山腹)에서, 본인은 오른쪽 90도 벼랑인 고지에서 적이 지나는 것을 기다렸다.”고 기술하고 있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제강점기 말기 한민족을 말살하고 한국인의 일본인화를 도모한 정책.
    정의일제강점기 말기 한민족을 말살하고 한국인의 일본인화를 도모한 정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wangminhwa | MR표기hwangminh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213)

  • 조선의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일상생활 | 소장처하와이 대학
  • 薔薇花歌(장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6465 창가 新式流行 二八靑春唱歌集 22068 京城 時潮社 發行 薔薇花歌(장가) 〈#69〉 [ 一 ] 불어오는 금풍(金風)에 말나 시드른 나의  동산(東山)에 한 기 장미 아참 해 저녁 이슬 사랑에 싸여 적막(寂寞)이 되엿도다 이내 동...
    구분창가
  • 6 第六統統首李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64년_외남면(外南面) 1864년 외남면(外南面) 第一陽巖里 6 第六統統首李 第一戶 幼學李年肆拾玖丙子本慶州父學生挺泌祖學生寅杓曾祖學生宗 老外祖學生安思文本順興妻朴氏年肆拾陸己卯本密陽父學生亨斗祖學 生一龍曾祖學生茂實外祖學生李晦湜本慶州子幼學基夢年貳...
    연도_면이름1864년_외남면(外南面) | 면이름외남면(外南面) | 마을이름第一陽巖里
  • 3 第三統統首李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91년_청양면(靑良面) 1891년 청양면(靑良面) 第二十四塲只里 3 第三統統首李 第一戶 幼學李年肆拾捌甲辰本慶州父學生挺湜祖學生安 杓曾祖學生宗老外祖學生김昌翊本慶州妻孫氏年肆拾捌甲 辰本密陽父學生元一祖學生而各曾祖學生仁杓外祖學生李南 制本慶州弟幼學鰥...
    연도_면이름1891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二十四塲只里
  • 6 第六統統首朴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대현면(大峴面) 1765년 대현면(大峴面) 第十六上開雲里 6 第六統統首朴 第六統一戶幼學朴年參拾柒己酉本密陽父幼學泰富今故祖學生貴胤曾祖學生而江外祖學生朴世綱本鶴城妻全氏年 參拾陸庚戌籍慶山父學生時星祖通政大夫行龍驤衛副司果喆善曾祖老職嘉善大夫榮祿外...
    연도_면이름1765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六上開雲里

구술자료(16)

  • 박윤진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향 지역의 제방공사, 신작로 공사, 장날 이야기 마을에서 실시된 산미증식계획 내선일체, 황 교육, 창씨개명 교복이 없던 보통학교 시절 학생생활시 일본인과 조선인의 관계 사범학교 출신들이 되는 특별강습소에 들어감 미주리호에서 일본 항복 조인식 가족이
    분야역사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현대사와 군
  • 강창진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장 및 농장 사업가로서의 삶, 미국 이민을 결심하게 된 경위 - 이민 후 미국 사회 정착 과정 - 남북한 관계 및 통일에 대한 생각 월남민 구술 연구사업의 자료로서 구술자의 녹취문과 동영상 음성 자료 황 교육, 김성주, 서북청년단, 김인
    구술자강창진 | 직업도민회 | 지역황해도
  • 다가 풀려난 두루미였음을 밝히고 다시 하늘로 올라갔다. 묘엔 이치로, 일본, 민담, 노부부, 두루미, 여인, 베, 깃털, 보은, 희생, 금기, 대구시, 중구 〈두루미의 보은〉이라는 아주 유명한 이야기가 있어요. 이것은 일본 , 동물이 보은한 이야기 중에 하나예요
    국가일본 | 제보자묘엔 이치로 [일본, 남, 1952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나 그런 데서 ‘우시 와카나레’라고 그게 무사 이야기가 있긴 있었는데 그게 어떤 것인지. 아 하나 전혀 다른 이야기지만 옛날에 제가 그 이중언어 대회 때 거기에서 일본어 를 좀 한국어 일본어로 연극으로 해 본는데 ‘무스비 고노님’이라고 〈주먹밥〉이라는 게 있어, 근
    국가일본 | 제보자이케다 마유미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2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늑대와 함께 살게 된 꾀 많은 여우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만, 여우는 눈이 잘 보이지 않아 본 적도 없다고 말했다. 늑대는 여우의 말을 믿었고, 봄이 될 때까지 같이 살았다. 우정부, 러시아, 민담, , 우화, 늑대, 여우, 사돈, 나무집, 얼음집, 꾀, 속임, 스메따나, 음식, 서울, 중구, 을지로, 러시아거리 늑대
    국가러시아 | 제보자우정부 [러시아, 남, 1941년생, 영주귀국 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70)

  • 제주도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병모, 게재일 : 2005
    36823 정병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5 제주도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조선말기 불화와 의 관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병모, 게재일 : 2003
    39211 정병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3 조선말기 불화와 의 관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시베리아의 식 과정에 따른 제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태성, 게재일 : 2003
    37139 박태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제지역학회 2003 시베리아의 식 과정에 따른 제문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러시아의 시베리아 식 과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태성, 게재일 : 2003
    09446 박태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제지역학회 2003 러시아의 시베리아 식 과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프란츠 파농과 정신의 탈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경원, 게재일 : 2000
    07947 이경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실천문학사 2000 프란츠 파농과 정신의 탈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
    유형논문 | 게재일2000

신문·잡지(165)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인쳔 무의도 영종도 근쳐의 탄환갓흔셤이잇데 쟝광이 불과 슈보오 민가 삼십이호라 약간 션쳑으로더니 신츅년이후로 년 삼식 소위 활빈당이 팔구명 십여명식와셔 령소임을불너여 호의로 이삼쳔량식 슈렴야 가되 명손업더니 삼월분에 삼쳔량을아가더니 음력거...
    게재일1906년 8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李叅領被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인 오쳔죄로 참령 리씨 법부로 구라징판다더니 일본헌병령부에 피착야 명동령부에셔 슈 엄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7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夫人捉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강셕호씨와리씨을 구라라신 죠칙이나리신후에일슌사와 헌병이 두집에가셔문부를일졀 슈탐고 그 부인을 챡거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7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大官囚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협판 리봉씨와 참령리씨 명동헌병령부에 슈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7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訓飭詗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에 죠칙을나리시기를 참령 리만화 인(김승문)그릇쳔거야 국쳬를손상고 상션강셕호 죵즁쥬션야 못상실일이만으니 (김승문씨건)모다극히탄지라 법부로야금 구라징판라 압신지라 작일 법부에셔 의졍부죠회를인야 평리원으로 훈령고 리 강셕호 등을 곳...
    게재일1906년 7월 5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10)

  • 샤마니즘과무속1_종류,분포,무신도(동양화)_3주차_1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의이해: 창세신화와한울님 2주차. 건국신화와하늘 3주차. 샤마니즘과무속1:종류,분포,무신도(동양화) 4주차. 샤마니즘과무속2:무가개괄,무속사상/풍류도와선(도교와구분(옥추경)) 5주차. 민간신앙가정신앙(애니미즘) 6주차. 민간신앙마을신앙(마나이즘) 7주차. 불교연등회
    강의자이정재 | 주차샤마니즘과무속1_종류,분포,무신도(민화동양화)_3주차
  • 샤마니즘과무속1_종류,분포,무신도(동양화)_3주차_2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의이해: 창세신화와한울님 2주차. 건국신화와하늘 3주차. 샤마니즘과무속1:종류,분포,무신도(동양화) 4주차. 샤마니즘과무속2:무가개괄,무속사상/풍류도와선(도교와구분(옥추경)) 5주차. 민간신앙가정신앙(애니미즘) 6주차. 민간신앙마을신앙(마나이즘) 7주차. 불교연등회
    강의자이정재 | 주차샤마니즘과무속1_종류,분포,무신도(민화동양화)_3주차
  • 샤마니즘과무속1_종류,분포,무신도(동양화)_3주차_3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의이해: 창세신화와한울님 2주차. 건국신화와하늘 3주차. 샤마니즘과무속1:종류,분포,무신도(동양화) 4주차. 샤마니즘과무속2:무가개괄,무속사상/풍류도와선(도교와구분(옥추경)) 5주차. 민간신앙가정신앙(애니미즘) 6주차. 민간신앙마을신앙(마나이즘) 7주차. 불교연등회
    강의자이정재 | 주차샤마니즘과무속1_종류,분포,무신도(민화동양화)_3주차
  • 샤마니즘과무속1_종류,분포,무신도(동양화)_3주차_4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의이해: 창세신화와한울님 2주차. 건국신화와하늘 3주차. 샤마니즘과무속1:종류,분포,무신도(동양화) 4주차. 샤마니즘과무속2:무가개괄,무속사상/풍류도와선(도교와구분(옥추경)) 5주차. 민간신앙가정신앙(애니미즘) 6주차. 민간신앙마을신앙(마나이즘) 7주차. 불교연등회
    강의자이정재 | 주차샤마니즘과무속1_종류,분포,무신도(민화동양화)_3주차
  • 샤마니즘과무속1_종류,분포,무신도(동양화)_3주차_5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의이해: 창세신화와한울님 2주차. 건국신화와하늘 3주차. 샤마니즘과무속1:종류,분포,무신도(동양화) 4주차. 샤마니즘과무속2:무가개괄,무속사상/풍류도와선(도교와구분(옥추경)) 5주차. 민간신앙가정신앙(애니미즘) 6주차. 민간신앙마을신앙(마나이즘) 7주차. 불교연등회
    강의자이정재 | 주차샤마니즘과무속1_종류,분포,무신도(민화동양화)_3주차

연구결과보고서(1)

기타자료(14)

  • 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길;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길;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2150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54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34) 제32회 133명(1936년 3월 졸업) 이;李 (주소 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3600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54면 (34) 제32회 133명(1936년 3월 졸업) 이;李 경성 보성전문학교 법과(적선정 140)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8916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47면 박;朴 경기도 수원군 陰德面 南陽里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4)

  • 간도 담론의 역사와 간도 문제의 식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배성준 | 한경대학교 | 2021 | 국내 | 경기

  • 일본제국의 식민지 토지조사와 동아시아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영호 | 인하대학교 | 2020 | 국내 | 인천

  • 기후 및 감염병 위기 시대 한국형 탈식민문화와 생태복지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한상진 | 울산대학교 | 2023 | 국내 | 울산

  • 아시아 전후사의 재발견: 폭력, 이산, 그리고 지구사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Yumi Moon | Stanford University | 2020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4)

  • / [예술·체육/회화]

    정통회화의 조류를 모방하여 생활공간의 장식 및 민속적인 관습에 따라 제작되었던 실용화. 는 장식장소와 용도에 따라 종류를 달리하고 있는데, 화조도, 어해도, 작호도, 신방생도, 산수도, 풍속도, 무속도 등이 있다.

  • 장 / [예술·체육/공예]

    를 전문적으로 그리는 일 또는 그 일에 종사하는 장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호. 조선시대에는 화가들 중에 가장 천하게 여겨져 온 사람이 가였다.6·25 이후까지도 장들은 겨울철이면 시골마을이나 장터를 무대로 괴나리봇짐에 간단한 필구와 물감을 준비하여

  • / 趙 [종교·철학/유학]

    1765년(영조 4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조재행, 조부는 조종진이다. 부친 조운기와 모친 임득호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조진화‧조정화이다. 1790년(정조 14) 증광시에서 생원 1등 2위로 합격하였고, 1800년(정조 24) 별시 문과에서 병과

  • 동해무릉제 / 東海武陵祭 [생활/민속]

    1984년부터 강원도 동해시에서 열리는 지역축제. 강원도 동해 무릉계곡의 명칭에서 기인했으며, 1984년부터 2014년까지 29회를 맞이했다. 지역 민속예술을 계승하여 시합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마련된 행사이다.

  • 조연창 / 趙然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0∼?). 의 아들이다. 1835년(헌종 1) 증광 별시 문과 병과 급제 후 대사헌·공조판서·의정부좌참찬·판의금부사·예문관제학 등을 지냈다. 1866년 상호도감에서 익종대왕옥책문의 금보전문서사관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