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민진원” 에 대한 검색결과 3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5)

사전(10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64(현종 5)∼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성유(聖猷), 호는 단암(丹巖)‧세심(洗心). 기(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참의 광훈(光勳)이고, 아버지는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유중...
    이칭별칭 성유(聖猷)| 단암(丹巖), 세심(洗心)| 문충(文忠)
  • 민통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96(숙종 22)∼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여흥(驪興). 자는 사연(士淵). 강원도관찰사 광훈(光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서 유중(維重)이고, 아버지는 좌의정 진원(鎭遠)이며, 어머니는 윤지선(尹...
    이칭별칭 사연(士淵)
  • 민형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90(숙종 16)∼1741(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여흥(驪興). 할아버지는 유중(維重)이고, 아버지는 좌의정 진원(鎭遠)이며, 어머니는 윤지선(尹趾善)의 딸이다. 1719년(숙종 45) 사마시에 합격하...
  • 이지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吉)ㆍ() 등의 추천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임명되었으나 벼슬을 사퇴하고, 뒤에 부수(副率)를 잠시 지내고 광릉참봉이 되었으나 곧 사직하였다. 1682년(숙종 8) 청산현감(靑山縣監)으로 부임하여 굶주린 백성의 구제에 힘쓰고, 1687년...
    이칭별칭 양이(養而)| 치암(恥菴)
  • 이지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않고 절의를 숭상하며 후진교육에 힘을 기울였다. 1722년(경종 2) 신임사화로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이 유배지에서 사사되자 성주로 내려가서 장례에 참여하였으므로 유적(儒籍)에서 삭제당하였다. 1725년(영조 1) ()...
    이칭별칭 중전(仲全)| 청간당(聽澗堂)

고서·고문서(220)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664(현종 5)∼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기 증손, 할아버지는 광훈, 아버지는 여양부원군 유중, 어머니는 송준길의 딸이다. 숙종비 인현왕후의 오빠이자 우참찬 진후의 동생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91년(숙종 17)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

  • 윤심형 / 尹心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8∼1754). 신임사화로 노론이 추방당할 때 삭직당하고 병계에 은퇴하였다. 1724년(영조 즉위) 노론의 집권으로 정언·교리·이조좌랑·헌납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728년 정미환국으로 작은아버지 봉조가 귀양가고 노론의 영수인 등 수십

  • 강도지도 / 江都地圖 [지리/인문지리]

    으로 보아 1725년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니산과 길상산 사이에 있는 선두언(船頭堰)은 1706년(숙종 32)에 유수 ()이 만든 것이고, 그 뒤 1862년(철종 13)에 배수가 더 잘되게 원래부터 있던 양쪽 2개의 갑문(閘門)에다 중앙에 갑문

  • 강도지도 / 江都地圖 [지리/인문지리]

    보아 1725년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니산과 길상산 사이에 있는 선두언(船頭堰)은 1706년(숙종 32)에 유수 ()이 만든 것이고, 그 뒤 1862년(철종 13)에 배수가 더 잘되게 원래부터 있던 양쪽 2개의 갑문(閘門)에다 중앙에 갑문 1개를

  • 노봉문집 / 老峯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민정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4년에 간행한 시문집. 1734년(영조 10) 민정중의 조카 ()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재(李縡)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권1은 사부(辭賦)·시, 권2∼5는 소차(疏箚), 권6·7은 서(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