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민주주의민족전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1)
사전(75)
- 민주주의민족전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였고, 전자는 신탁통치 반대, 후자는 신탁통치 찬성의 태도를 취하였다. 따라서 양자는 매사에 있어서 대립할 수밖에 없었고, 마침내는 광복 뒤 처음 맞이한 1946년 3‧1절 기념행사마저도 따로 거행하였다. 민주주의민족전선은 조직형태로는 좌익단체들의 민주적 연합체...
- 민주주의민족전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46년 2월 15일 진보적 민주주의 정치‧사회세력들이 연합하여 결성한 통일전선체.정의1946년 2월 15일 진보적 민주주의 정치‧사회세력들이 연합하여 결성한 통일전선체.[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Minjujuui Minjok Jeonseon | MR표기Minjujuŭi Minjok Chŏns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북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46년 7월 22일 북조선노동당을 중심으로 천도교청우당, 북조선민주당, 조선민주청년동맹 등 13개 단체를 통합해 만든 연합체.정의1946년 7월 22일 북조선노동당을 중심으로 천도교청우당, 북조선민주당, 조선민주청년동맹 등 13개 단체를 통합해 만든 연합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Bukjoseon Minjujuui Minjok Jeonseon | MR표기Pukchosŏn Minjujuŭi Minjok Chŏns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백남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명사령을 받았다. 그리고 다음해인 1946년 2월에는 김두봉(金枓奉)‧한빈(韓斌) 등이 북한에서 결성한 조선신민당의 경성특별위원회(후에 남조선신민당으로 발족)의 위원장을 맡는 한편, 좌익세력의 집결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 의장단의 의장 및 상임위원‧경제대책위원 등으...
- 권오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 올랐으며 당시 조선공산당의 기관지인 『해방일보』의 주필 및 사장 등을 맡는 등 중요한 임무를 담당하였다. 좌익세력의 집결체로서 1946년 2월 발족한 민주주의민족전선(약칭 民戰)에서 중앙위원으로 활약하다가 이른바 정판사위조지폐사건(精版社僞造紙幣事件)으로 체포령이 내...이칭별칭선득
고서·고문서(4)
- 〈사회문제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자료로 볼 수 있다. ■참조사전 1. 高畠素之, 〈社會問題辭典〉, 東京: 新潮社, 大正14[1925] ■주제어 사회과학, 사회문제, 맑스, 마르크스, 레닌, 공산주의, 사회주의 ■참고문헌 1. 양동주, 해방후 좌익운동과 민주주의민족전선, 〈해방전후사의 인식〉...대표표제어〈사회문제사전〉 해제 | 편저자 三文社 | 권수 1책
- 김삼룡 판결문( 金三龍 判決文(昭和6年刑控第102號) )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민주주의민족전선 결성에 참가하고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1월 평양에서 열린 남북 좌익정치 지도자들의 비밀연석회의에 참석했고 12월에 남조선노동당 중앙정치위원 및 조직부장으로 선출되었다. 1948년 3월 남‧북로당 합동정치위원회에 참석했고 그해 7월 남로당 최고책임자...제목 김삼룡 판결문( 金三龍 判決文(昭和6年刑控第102號) ) | 사건유형 치안유지법위반 사건 | 소장처국가기록원
- 이성태 외 2인 판결문( 李星泰 外 2人 判決文(昭和3年刑公第1524號, 1630號))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1928년 7월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1929년 2월 경성지법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1945년 10월 부산에서 경남도인민위원회 결성에 참여하고 위원장이 되었다. 11월 전국인민위원회 대표자대회에 경남 대표로 참석했다. 1946년 2월 민주주의민족전선 결성대회에 참...제목 이성태 외 2인 판결문( 李星泰 外 2人 判決文(昭和3年刑公第1524號, 1630號)) | 사건유형 치안유지법위반 사건 | 소장처국가기록원
- 권영태 등 예심종결결정 ; 권영태 등 34인 판결문( 權榮台 등 34인 豫審終結決定(昭和9年豫第54,60,62, 85號) ; 權榮台 등 34인 判決文(昭和10年刑公第1230,1231,1232,1233號) )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후 박헌영(朴憲永)과 함께 전남 광주로 피신하여 은둔하면서 경성콤그룹 조직원들 간의 연락활동에 종사했다. 1945년 8월 조선공산당재건준비위원회 결성에 참여했다. 9월 조공 중앙서기국원이 되었고, 조선인민공화국 노동부원으로 선정되었다. 1946년 2월 민주주의민족전선...제목 권영태 등 예심종결결정 ; 권영태 등 34인 판결문( 權榮台 등 34인 豫審終結決定(昭和9年豫第54,60,62, 85號) ; 權榮台 등 34인 判決文(昭和10年刑公第1230,1231,1232,1233號) ) | 사건유형 치안유지법위반 사건 | 소장처朝鮮總都府 高等法院 檢事局 思想部
신문·잡지(39)
- 황해로동신문_1947_0726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72 이영조 황해노동신문사 남조선, 일, 서울 남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 민주주의민족전선 (23일 북조선통신) 7월 20일부 『노력인민』 보도에 의하면 친일파의 파괴모략을 박차고 공동위원회를 추진하여 기어코 조국의 정부를 수립하고야 말 인민...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726_01 | 책임주필이영조
- 임시헌장 정부 및 행정기구조직요강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9) 건국헌법제정 임시헌장 정부 및 행정기구조직요강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46년 4월 21일 민주주의민족전선 임시약법기초위원회 조선인민보,(1946.4.21)(p.2) 법령/통계/조사보고서 3 이 글은 건국 후의 정부 기구 설...대표표제어임시헌장 정부 및 행정기구조직요강 | 자료유형법령/통계/조사보고서 | 집필자민주주의민족전선 임시약법기초위원회 | 출처조선인민보,(1946.4.21)(p.2) | 키워드민주주의 민족전선, 임시약법 시안, 임시약법 요강, 정부·행정 기구 조직 협의, 여운형, 박헌영
- 황해로동신문_1947_0805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80 이영조 황해노동신문사 남조선, 경성 민주주의민족전선 8,15 (1일 북조선통신) 경성 30일발 조선통신에 의하면 민주주의민족전선에서는 29일 오후 2시 전 산하 정당단체대표자회의를 개최하고 8,15해방기념대회에 관하여 토의하였는데 동...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805_04 | 책임주필이영조
- 함남인민보_1949_0521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9 림상준 함남인민보사 리승만, 허헌, 박헌영, 김삼룡, 리기석, 김원봉, 성주식, 허성택, 리구훈, 유영준, 조희영, 김남천, 김창준, 김응섭, 박경수, 정흥석 남조선 민주주의민족전선, 남조선로동당, 민주독립당, 조선인민공화당, 근로인민당, 남...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521_01 | 책임주필림상준
- 함남로동신문_1949_0627_05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51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 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허헌, 리승만, 리범석, 김구, 김규식 남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 민주주의민족전선, 비상국민회의, 민주의원, 북조선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 한민당, 한국독립당, 국련위원단 (3면에서 계속...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27_05 | 책임주필강길모
기타자료(43)
- 인민위원회대회 지원 대책안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й Кореи 4 인민위원회대회 준비 및 실시를 위해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와 민주주의민족전선에 지원할 사항. 1946.12.30. 러시아어‧한글 ...키워드인민위원회대회, 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인민재판소, 검사소 | 대표주제어인민위원회대회 | 발신자로마넨코 | 수신자치스차코프
- Letter from JZW to JMA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선민주주의민족전선의 성격에 대한 보고임. Korean Federation of Trade Unions, Democratic National Front http://db.history.go.kr/item/imageViewer...국내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발신자JZW | 수신자JMA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보건상 리병남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으로 복무하였다. 1946년부터 사회활동을 시작하였다. 남조선 민주주의민족전선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동시에 남조선 과학 일꾼들 과학자동맹을 지칭한다. 의 부위원장, 남조선 의사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주민들 사이에서는 의사 및 소아병에 대한 저명한 전문가로 알려져...키워드리병남, 보건상 | 대표주제어리병남 | 발신자레베데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김창준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국신민화에 반대하는 활동을 수행하였다. 일제의 탄압을 피해 만주로 떠나 그 곳에서 종교적 정신으로 청년교육에 종사하였다. 조선이 해방된 후 서울로 돌아와서 기독교민주연맹을 조직하고, 그 위원장이 되었다. 동시에 민주주의민족전선 부위원장으로 복무하였다. 북조선에서 실시된...키워드김창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 대표주제어김창준 | 발신자레베데프
- Complaints received concerning conduct of the elections : 비망록 / John Weckerling Brigadier General U. S. A. 발신, 1948.05.08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John Weckerling I. F. G. Milner 숙명여자대학교 민주주의민족전선에 대한 보고임. 민주주의민족전선 정치 단체의 공산주의자들이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유엔이 주도하는 선거에 대해서 사기라는 유언비어...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John Weckerling | 수신자I. F. G. Milner
주제어사전(8)
-
민주주의민족전선 / 民主主義民族戰線 [정치·법제/정치]
1946년 2월 15일 조직된 좌익통일전선.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한반도 신탁통치안이 결정되자, 각 정당, 사회단체들은 신탁통치문제를 둘러싸고 찬탁과 반탁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조선공산당이 이승만과 미군정의 단독정부수립 노선에 대응, <신전술>을 채택
-
민족혁명당 / 民族革命黨 [역사/근대사]
하였다. 1946년 2월 민주주의민족전선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그 해 6월 인민공화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
허헌 / 許憲 [정치·법제/정치]
1885-1951 독립운동가, 공산주의 운동가. 함북 명천 사람. 한성중학, 보성전문을 졸업, 일본 메이지 대학 법과를 졸업했다. 신간회 중앙집행위원장, 보성전문교장을 지내고, 해방 후 건국준비위원회 부위원장, 남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 수석의장, 남조선노동당 초대위원장을
-
백남운 / 白南雲 [정치·법제/정치]
1895년∼미상. 경제학자·정치가. 1933년《조선사회경제사》를 발간하였다. 1937년《조선봉건사회경제사 상》을 발간하였다. 1946년 2월 김두봉·한빈 등이 북한에서 결성한 조선신민당의 경성특별위원회위원장을 맡는 한편, 좌익세력의 집결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의장단의
-
삼월총파업 / 三月總罷業 [사회/사회구조]
비롯한 전평 간부들에게 사형을 선고하였다. 또한 3·1절에 평화시위를 하던 제주도민에 대한 미군정의 발포로 6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에 민주주의민족전선(약칭 민전) 산하 각 정당, 사회단체는 ‘테러폭압반대대책위원회’를 조직하고, 서울시민 대표 1,567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