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민주국민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9)
사전(42)
- 민주국민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초의 야당이다. [연원 및 변천] 민주국민당은 한국민주당의 주도하에 탄생된 정당으로 한민당이 제헌의원 선거에서 예상 밖의 패배를 맛본 데다가 초대 내각의 구성 과정에서 소외당하자 이승만에 대한 한민당의 반감이 작용한 결과 결성된 정당이다. 또한, 한민당은...
- 민주국민당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49년 2월 10일 한국민주당이 당세 확장을 위해 확대 개편한 정당으로, 제1대 국회의 제1 야당이 됨정의1949년 2월 10일 한국민주당이 당세 확장을 위해 확대 개편한 정당으로, 제1대 국회의 제1 야당이 됨 | 문광부표기Minju Gungmindang | MR표기Minju Kungmind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성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47년에는 반탁독립투쟁위원회(反託獨立鬪爭委員會)의 부위원장으로 신탁통치반대운동을 지도하였고, 1949년 2월에 한국민주당과 대한국민당이 통합하여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이 창당되자 그 최고위원이 되었다. 1951년 5월 대한민국의 제2대 부통령이...이칭별칭 인촌(仁村)
- 신각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6∼1976. 정치가. [내용] 충청북도 영동 출생. 북경대학(北京大學)을 2년 수료하였다. 한때 화풍광산(和豊鑛山) 소장을 지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선거 때 고향인 옥천에서 야당인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으로
- 일민구락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내각제 개헌을 하려고 하는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에 대항, 원내투쟁을 전개하는 등 한때 원내 제1당이 되어 원내정치를 주도하였다. 그 뒤 부산피난국회가 원내교섭단체를 재편하는 과정에서 소멸되었으며, 정당과는 별도로 일민주의를 보급하려 하였던 일민주의보급회 총본부...
고서·고문서(2)
- 聲明書, 1950년 6월 [?]일 [“미공개 이승만문서” 정리·분류 및 DB화 사업 | 연세대학교]09033 우남C-3-1-0102 聲明書, 1950년 6월 [?]일 문서 1950.6.[?] 民主國民黨 2 한국어 1948년 이후 내무 기타자료명聲明書, 1950년 6월 [?]일 | 자료형태문서 | 작성일1950.6.[?] | 작성언어한국어
- 문서 내용 불명, [날짜 미상] [“미공개 이승만문서” 정리·분류 및 DB화 사업 | 연세대학교]09034 우남C-3-1-0103 문서 내용 불명, [날짜 미상] 문서 [날짜 미상] 民主國民黨 李承晩 2 한국어 1948년 이후 내무 기타자료명문서 내용 불명, [날짜 미상] | 자료형태문서 | 작성일[날짜 미상] | 작성언어한국어
신문·잡지(31)
- 민세안재홍전집 : 巨物級包攝戰 自黨興廢걸고熾烈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979 1950 6 6 1 1 巨物級包攝戰 自黨興廢걸고熾烈 신문 서울신문 1면1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民主國民黨, 第三黨組織運動, 尹致永, 趙素昻 A19500606서울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昨今의政界動態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837 1949 3 9 1 1 昨今의政界動態 신문 동아일보 1면 5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韓委, 南北統一, 韓國民主, 大韓國民黨, 民主國民黨, 朝民黨, 韓獨黨, 金奎植 A19490309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정부수립과 정당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담고 있음. 이곳에서 다루고 있는 정당은 한국민주당, 민주국민당, 대한국민당임. 먼저 한민당의 경우 남한 총선거 실시 정부 수립에 있어서 주동적 역할을 하고 이승만 대통령 당선에도 큰 역할을 했음에도 이승만이 각료선정에서 한민당을 멀리하자 반이승만으로 돌아섬. 한민당의...대표표제어정부수립과 정당 | 자료유형저술 | 집필자이기하 | 출처『한국정당발달사』(서울:의회정치사, 1961)(pp.198-212) | 키워드정부수립, 정당 조직, 한국민주당, 민주국민당, 대한국민당
- 자유당의 자기비판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당의 성립부터 글을 쓰는 당시까지의 자유당을 비판하려함. 자유당은 특권계급의 사회적인 독점을 위한 당이였던 민주국민당에 반하여 국민대부분인 노동자농민을 대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고 말함. 하지만 자유당은 그 당조직 면에 있어서 이미 허술함을 보여주었고 제대로 된 당 정책...대표표제어자유당의 자기비판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양우정 | 출처신천지 8권 1호 | 키워드자유당의 성격, 자유당의 설립, 원외족청계, 원내족청계, 민주국민당
- 함남로동신문_1949_1115_05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71 강길모 함흥시삼일리3구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민주국민당, 호국군, 민보단 지난 달 29일 새벽 전남 담양군 수북면에서 1천 5백여명의 농민들이 봉기하자. 이와 함께 각면에서 합계 4천 5백여명의 농민들이 유격대에 호응하여 타산 개동...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115_05 | 책임주필강길모
기타자료(4)
- Semi-Monthly Report (07/01/52~07/15/52)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ker Agent General, New York HQ, UNKRA 숙명여자대학교 1952년 7월 1~15일 기간 중 부산 소재 UNKRA 본부의 월간보고서 (정치적 위기 관련): 비의회자유당, 민주국민당 등 각 정당 파벌 이...국내소장처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 발신자Deputy AG Arthur N. Rucker | 수신자Agent General, New York HQ, UNKRA
- 1.48. Number 66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ean Communication Zone G2 Section 숙명여자대학교 기밀 정보 요약으로 한국의 정치적 상황 보고- UN의 보호를 받고 있는 한국 내의 지역에서 강도(bandits)의 활동 감소. 민주국...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1.45. Number 63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어부로 변장해 속초로 넘어온 북한의 간첩 활동 요약. 추가 예산의 재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 정부의 대책 서술. 야당 민주국민당의 정치적 상황 언급 ROK Government, bandits, Anti-Japanese Student demonstr...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2. Political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one Office of the AC of S, G-2 William W. Watson Lt Col GS AC of S, G2 숙명여자대학교 주요 정치 사회 활동 내용: 밀수품, 사회지원 보조금, 민주국민당민국...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William W. Watson Lt Col GS AC of S, G2
주제어사전(1)
-
민주국민당 / 民主國民黨 [정치·법제/정치]
1949년 2월 10일 창당된 정당. 한국민주당이 친일정당이라는 이미지의 쇄신과 이승만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신익희의 대한국민당과 지청천의 대동청년단을 규합, 새로이 출범한 것이다. 한국민주당의 구성원, 정강, 정책 등을 그대로 계승한 민국당은 해방 이후 최초의 보수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