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민주공화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3)
사전(99)
- 민주공화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당총재에 정구영(鄭求瑛), 당의장에 김정렬(金貞烈)을 선출함으로써 민주공화당은 정치활동 재개 후 등장한 최초의 정당이 되었다. 이 당은 본래 종전까지의 정당과는 달리 개별적인 입후보자나 국회의원으로부터 독립된 공공조직중심의 단일지도체계에 초점을 둔 원외정당제를...
- 민주공화당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63년 2월 26일에 5‧16 군사 쿠데타 주체 세력이 중심이 되어 발족되었다가 1980년 해체된 정당정의1963년 2월 26일에 5‧16 군사 쿠데타 주체 세력이 중심이 되어 발족되었다가 1980년 해체된 정당 | 문광부표기Minju Gonghwadang | MR표기Minju Konghwad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신민주공화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87년에 결성되었던 정당. [내용] 김종필(金鍾泌)을 중심으로 한 구민주공화당 계열의 정치인들이 결성하였다. 제3공화국과 제4공화국의 집권당이었던 민주공화당계의 정치인들 중 오랫동안 정치활동을 금지당하였던 정치인들이 중심이 되어 결성...
- 신민주공화당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6‧29선언 이후 구공화당 총재 김종필(金鍾泌, 1926- )의 정계복귀 선언을 계기로 구공화당 시절의 각료‧의원들을 중심으로 1987년 10월 30일 출범한 정당.정의6‧29선언 이후 구공화당 총재 김종필(金鍾泌, 1926- )의 정계복귀 선언을 계기로 구공화당 시절의 각료‧의원들을 중심으로 1987년 10월 30일 출범한 정당.[한국근현대사사전] | 문광부표기Sinminju Gonghwadang | MR표기Sinminju Konghwad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병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연속 당선되었고, 1980년 신군부 집권하에 정치규제로 묶였던 11‧12대를 제외하고, 13‧15대까지 지역구에서만 7선을 기록하였다. 의원직 재임 중 여러 당직과 국회의원직 및 내각에서도 활동하였는데, 주요 약력을 보면, 1963년부터 1968년까지 민주공화당 청년분...
고서·고문서(1)
- 김흥준 중혼 피고사건 판결문(金興俊 重婚 被告事件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통령 하야와 재선거촉구성명을 발표하였다. 1961년 5‧16 후 5‧16의 주체세력인 민주공화당에 입당, 1963년 총재에 취임하고, 같은 해 제6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뒤 1964년 민주공화당 의장이 되었다. 다시 제7대 국회의원을 지내다가 박정희 대통령이 장기집권을...제목김흥준 중혼 피고사건 판결문(金興俊 重婚 被告事件 判決文) | 사건유형중혼 | 소장처국가기록원
신문·잡지(18)
- 5.16 혁명과 정계복귀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윤치영이 5·16 이후 다시 정계에 복귀하게 된 과정을 서술함. 윤치영은 정치활동에 복귀할 생각이 없었지만 한 젊은이의 설득으로 인해 민주공화당 창당을 통해 정계에 돌아오게 됨. 민주공화당은 창당 과정에서 분파가 생기고 반목을 일삼는 등 불협화음이 많았음. 윤치영은 “...대표표제어5.16 혁명과 정계복귀 | 자료유형회고/전기 | 집필자윤치영 | 출처『동산회고록: 윤치영의 20세기』(삼성출판사, 1991) (pp.335-346) | 키워드윤치영, 5·16, 민주공화당, 민정불참, 군정연장
- 「큰 정치」의 한마당 펴야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정치가평론 「큰 정치」의 한마당 펴야 정치·법제 문헌 현대 1988년 6월 김용채 국회보 260호 평론 3 김용채는 당시 13대 국회에서 제4당이었던 신민주공화당 원내총무로, 13대국회의 포부와 본인 당의 목표를 설명하고자 이 글을...대표표제어「큰 정치」의 한마당 펴야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김용채 | 출처국회보 260호 | 키워드13대국회, 신민주공화당, 원내총무, 야당, 집권당, 정책야당, 5공화국, 협조공조체제
- 코리아평론_1969_1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民主共和黨の秋 金三奎 2 新しい思想=理論課題 5 玉城素 4 情...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69
- 정책계보_1969_04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총재연설문-1969년 민주공화당임시전당대회 8 우리의 정국안정과 헌법개정 백남억 13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 정책계보_1966_01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강정근 118 금리현실화 후의 경제동향 문성모 136 민주공화당의 기구표 145 민주공화당...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멀티미디어(4)
- 박정희 대통령이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수원지역에 출마한 민주공화당의 이병희 후보의 찬조연설에 나섰다자료구분대한뉴스KC | 제작년도1971년 5월 15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1963년 1월 7일 전역하는 김종필 중앙정보부장이 준장으로 승진하고 1등 근무공로훈장을 수여받는 모습과, 1963년 1월 10일 가칭 재건당(민주공화당) 발기인 모임, 1월 김병로 집에서 모인 정당 결성을 위한 준비모임 장면을 영상으로 담고 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3년 1월 12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1967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통령 후보들의 선거 유세를 보여주고 있다. 민주공화당의 대통령 후보인 박정희는 부산 초량역 앞 광장에서 선거 유세를 하고 있다. 박정희 후보와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는 신민당의 대통령 후보인 윤보선은 서울 남산 야외음악당에서 선거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7년 5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1963년 10월 15일 대통령선거가 실시되었다. 유권자들이 투표소에서 줄을 서서 투표를 하는 모습과 박정희 민주공화당 대통령후보 내외와 윤보선 민정당 대통령후보 내외가 투표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이 투표소를 시찰하는 모습도 보여주고 있다. 투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3년 10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기타자료(1)
- Indonesian Speaker Due Here for 5-day Visit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만나고 민주공화당의장 등을 만나게 될 것임. Korea times, Indonesian Speaker, Visit, 5days, goodwill visit, invitation, Korean counterpart, President, chairman of...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Korea Times
주제어사전(3)
-
민주공화당 / 民主共和黨 [정치·법제/정치]
1963년 2월 26일 창당. 제3, 4공화국의 집권여당. 5.16 주체세력을 중심으로 <혁명이념의 계승과 민족적 민주주의 구현>을 표방하였다. 8월 31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입당하여 총재직을 맡았으며, 이후 권위주의적 지도체제하에 계파갈등을 억누르고, 조
-
김종필 / 金鍾泌 [정치·법제/정치]
함께 공화당 의장으로 정계에 복귀했다. 1971년 6월 국무총리에 임명되고, 1990년 1월 민정, 민주, 신민주공화당의 3당합당으로 민자당이 출범하면서 최고위원이 되었다.
-
고수선 / 高守善 [역사/근대사]
주공화당 제주지부 부위원장, 대한(한국)부인회 제주지부장, 대한노인회 제주도연합회장 등을 지냈다. 정치 참여에서 그의 가장 큰 목표는 여성 계몽 운동 및 여성의 권익과 지위 향상이었다. 또한 사회사업의 일환으로 모자원과 홍익보육원 등을 만들었으며, 평소 예술을 높이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