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민종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
사전(51)
- 민종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배되었다. 민종식은 몸을 피해 박창로(朴昌魯)‧곽한일(郭漢一)‧이용규(李容珪)‧이남규(李南珪)와 더불어 다시 의병을 모아 재기를 도모하다, 1906년 11월 일진회원의 밀고로 이남규의 집에서 모두 잡혔다. 이후 이남규 부자는 일본군에게 학살당하고, 그는 1907...이칭별칭 윤조(允朝)| 퇴초자(退樵子)
- 유준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활동사항]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납세를 거부하고 을사오적과 일본의 침략행위를 공박하여 투옥되기도 하였다. 1906년 5월 전 참판 민종식(閔宗植)이 홍산지치(鴻山支峙)에서 거의하자 그 휘하에 들어가 홍주성을 함락한 뒤 유병장(儒兵將)과 참모에 임명...이칭별칭 순경(舜卿)| 벽서(碧棲), 우록(友鹿)
- 문석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최익현‧민종식(閔宗植)과 함께 의병을 일으킬 것을 결의하였다. 최익현은 4월 13일 태인(泰仁)에서 거의하기로 하고, 민종식은 4월 18일 홍산(鴻山)에서 의병을 일으킬 것을 결정하였다. 그는 민종식 의진에 들어가 참모 겸 서기로 활약하면서 홍주성 함락에 일익을...이칭별칭 영백(英伯)| 운초(雲樵)
- 이상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59(철종 10)∼1927. 조선 말기의 의병. [내용] 충청남도 공주 출신.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되자, 1906년 홍주의진 의병대장 민종식(閔宗植)과 함께 정산(定山)에서 기의하여 종사(從事)가 되었다.
- 유희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0(고종 17)∼1944. 조선 말기의 의병ㆍ독립운동가. [내용] 충청남도 서천 출신. 1906년 민종식의진(閔宗植義陣)에 들어가 연락책임자가 되어 항일의병투쟁을 벌였다. 특히, 이 해 5월 민종식의진이 충청남도 홍주를...
고서·고문서(6)
- 민종식 판결선고서(閔宗植 判決宣告書)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CJA-0000021-0045, CJA-0000021-0020, CJA-0000021-0027, CJA-0000021-0031, CJA-0000021-0049, 국가기록원 평리원 閔宗植 判決宣告書 민종식 판결선고서 판결선고서 국한문 1907년 7월 2일 평리원 판...제목민종식 판결선고서(閔宗植 判決宣告書) | 사건유형내란 | 소장처국가기록원
- 주한 러시아 총영사 부임 문제 등 조선 현황에 관한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통감부, 이토 히로부미, 군부, 의병, 민종식, 홍주, 러시아 총영사, 플란손, 케르베르그, 쓰루하라 사다키치, 마팅량, 고종, 손탁, 하야시, 의화군, 브렝(Belin), 고든 패덕(Gordon Paddock), 헤이우드(William Haywood) 예...대표표제어주한 러시아 총영사 부임 문제 등 조선 현황에 관한 보고 | 발신자나이 | 수신자뷜로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주한 러시아 총영사 부임 문제 등 조선 상황에 관한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통감부, 이토 히로부미, 군부, 의병, 민종식, 홍주, 러시아 총영사, 플란손, 케르베르그, 쓰루하라 사다키치, 마팅량, 고종, 손탁, 하야시, 의화군, 브렝(Belin), 고든 패덕(Gordon Paddock), 헤이우드(William Haywood) 페라,...대표표제어주한 러시아 총영사 부임 문제 등 조선 상황에 관한 보고 | 발신자나이 | 수신자뷜로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대금(貸金)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박종선(朴鍾善) 한성(漢城) 중부(中部) 수문동(水門洞) 89통 6호 변호사(辯護士) 유문환(劉文煥) 박봉래(朴鳳來), 이원영(李元永) 한성(漢城) 중부(中部) 전동(?洞) 15통 1호, 한성(漢城) 서부(西部) 장흥동(長興洞) 38통 7호 민종식(...재판기관경성공소원(京城控訴院) 민사부 | 판결일자1909년 05월 12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대금(貸金)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서부(西部) 장흥동(長興洞) 38통 7호 민종식(閔宗植) 방(方) 피고 2명은 원고에 대하여 일금 344원 및 이에 대한 광무(光武) 11년 음력 6월 16일부터 본건 판결 집행완료일까지 연리 20%의 이자를 원금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불해야 함. 09...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1부 | 판결일자1909년 03월 05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신문·잡지(7)
- 閔氏消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쥬 의병괴슈 민종식씨 경무쳥죄슈로 감옥셔독간에가두엇 풍셜의거즉 피변에셔말기를 최익현씨의 젼감이잇스니방송것만 갓지못다다 소문이잇다더라 민종식씨 부인은 그가장이 오 옥즁에셔 고쵸일을 민박히넉여 뎡산항뎨에셔 걸어셔 일젼상경얏 그졍경이 가긍다...게재일1907년 1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義將處絞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리원 심즁에 잇던 의병대장 민종식씨등을 일쳬션고 얏 민씨 교에 쳐고 그아 달은사들은 슈죵으로 죵신징역에 쳐야 작일 법부에셔 쥬본을 올녀 가를 쳥얏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酬勞金支出의請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병쟝 민종식씨등과 모살건 리용씨등 심사판결의 평리원 일반관리가 대단근로얏고 법부대신 죠즁응씨도 신칙야 속히귀결케노라고 한심력이 허비얏다 야평리원 보쟈관 즁촌쥭 쟝씨가 법부에 보고고 원관리에 슈로금 급여을 쳥지라 탁지부에셔 법부신쳥을 인야게재일1907년 8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洪州義兵彙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쥬 함셩된후에 의명일오십명이화셩장근쳐에도착단말을듯고홍쥬잇일병이됴샤즁이라고홍쥬셩에셔금된의병일십오명은방장심문즁이나변셩명쟈만어셔됴샤기곤란다며쥭은쟈팔십이명이나되그즁에셔셰력잇쟈가잇듯다고민종식은미등디로도쥬형젹이잇다고비도에가졋던군물은이젼대...게재일1906년 6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개성신문_1952_0608_06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분을 자아냈다. 『보호조약』을 파기하라! 매국적을 소탕하라!는 구호를 부르짖으면서 농민들은 폭동을 일으키고 상인들은 문을 닫았으며 시민들은 일본 거주민들을 습격하고 기타 학생들과 유생(儒生)들도 궐기하였다. 민종식(閔宗植)의 의병부대는 홍주(洪州)에서 폭동을 일으...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0608_06 | 날짜1952년 6월 8일 | 책임주필김명호
기타자료(3)
- 72. 보호령에 대한 항의. 대나무의 전설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스 외무부 외교문서(보고서) 1910년 7월 19일 서울 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프랑스 외무부 장관 민종식, 최익현, 민영환 대나무 전설에 따른 시민들의 반응과 언론 현재와 동일 소인으로 발송된 지난 6월 23일과 7...집필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7월 19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프랑스 외무부 장관
- 74. 프랑스에서의 상황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Ed. 클라버리, [파리 출장] 프랑스 영사 프랑스 외무부 외교문서(보고서) 1910년 8월 05일 파리 Ed. 클라버리, [파리 출장] 프랑스 영사 레옹 부르주아, 프랑스 외무부 장관 앵거스 해밀튼Angus Hamilton, 민종식,...집필자Ed. 클라버리, [파리 출장] 프랑스 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8월 05일 | 발신자Ed. 클라버리, [파리 출장] 프랑스 영사 | 수신자레옹 부르주아, 프랑스 외무부 장관
- 64. 지방의 심각한 소요사태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_CFD64.pdf pdf 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프랑스 외무부 외교문서(보고서) 1910년 6월 07일 서울 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프랑스 외무부 장관 민종식, 민영상, 정해도, 박영두,...집필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6월 07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7)
-
민종식 / 閔宗植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의병장(1861∼1917). 1905년 강제로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정산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며, 각처의 의병들로 조직된 연합의병의 대장으로 추대됐다. 충청남도 서부 일대를 점령한 뒤, 홍주를 공략해 점거했다. 이에 일제는 토벌군을 보내 대혈전이 전개됐으나
-
김덕진 / 金德鎭 [역사/근대사]
1864-1947. 항일기의 의병. 자는 경명(景明). 호는 낙계(樂溪). 민종식의 부대가 열세에 처하였을 때, 여러 의병들과 함께 재기를 도모하였다. 이때 일본군의 습격을 받아 공주경찰서에 투옥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복역 중 석방되었다. 사후, 1963년에 대
-
이남규 / 李南珪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의사(1855∼1907). 벼슬은 중추원의관·궁내부특진관 등을 지냈다. 1894년 일본군의 입성을 규탄하고, 갑오경장의 부당성과 명성황후 시해의 통분함에 대하여 상소를 올렸다. 이후 낙향하여 의병장 민종식을 숨겨주었다가 투옥되었으며 온양 평촌 냇가에서
-
곽한일 / 郭漢一 [역사/근대사]
906년 봄에는 홍산(鴻山)·보령 지방에서 민종식(閔宗植)을 중심으로 한 홍주(洪州: 洪城)의병에 가담하여 돌격장·소모장(召募將)으로 홍주성 공격에 크게 활약하였다. 홍주성이 일본군에 함락되자, 이용규(李容珪)·박윤식(朴潤植)·김덕진(金德鎭) 등과 활동중 일진회의 밀고
-
김동신 / 金東臣 [역사/근대사]
1871-1933. 의병장. 자는 원표(元表), 호는 청암(淸菴). 충청남도 회덕 출신. 고종 때 무과에 올라 통정대부(通政大夫) 비서승(秘書丞)을 제수받았다. 1905년 10월 22일 사직소를 올렸으나 윤허를 받지 못하였다. 1906년 봄 최익현(崔益鉉)과 민종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