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민종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0)
사전(40)
- 민종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35(헌종 1)∼1916. 조선 말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현경(玄卿), 호는 한산(翰山). 승세(承世)의 아들로 명세(命世)에게 입양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74년 증광문...이칭별칭 현경(玄卿)| 한산(翰山)
- 민종묵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3월, 조선을 대한제국으로 체제를 바꾸는 문제와 황제 존호를 올리는 것에 대해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에 사전에 알려주지 않음으로써 외교적인 결례를 범하게 되자 당시 외무대신으로 있던 민종묵이 견책을 받아 면직되었다. 곧이어 내부대신으로 임명되었으나, 러시아의 절영도(絶影...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민종묵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서울에 주둔하던 청장 원세개가 왕[고종]에게 권고하여청국에 보내 잡혀 가 있던 대원군을 환국시킬 때에 청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임무를 수행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민종묵(閔種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3348 인물 민종묵(閔種默) 민종묵 閔種默 1835 1916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현경(玄卿), 호는 한산(翰山). 1874년 증광문과 을과로 급제하였다. 1875년 사은정사(謝恩正使)유형분류인물
- 일본외무성시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1년(고종 18) 일본에 파견되었다가 귀국한 신사유람단의 한 사람인 민종묵(閔種默)이 귀국 후 작성하여 제출한 일본외무성 시찰보고록. [내용] 8권 4책. 외무성 관계의 시찰을 맡았던 민종묵은 귀국한 뒤에 이 보고기와 『일본문견사건...
고서·고문서(81)
- 민종묵이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或有之, 而自本官已決之訟, 何必如是 翻案, 至有南鄕公論, 以此訟而多雌黃者, 特 以台兄之於申友, 曾有雅契, 雖或若干訟 軆之有礙, 似不當恝然, 而至此抱寃, 情理之 所固然也, 新官許, 必有呈訴, 待聯狀議呈, 善爲措處, 無至此友冤枉之地如何, 在所當掘, 不得不然耳。 弟、閔種默拜...분야문학 | 유형문헌
- 민종묵 외부대신 임명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민종묵 외부대신 임명 바이페르트 뷜로 1901.11.09 1902.01.04 서울 베를린 No.182 A.113 보...대표표제어민종묵 외부대신 임명 | 발신자바이페르트 | 수신자뷜로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민종묵 외부대신 임명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민종묵 외부대신 임명 바이페르트 뷜로 1901.11.09 1902.01.04 서울 베를린 No.182 A.113 보...대표표제어민종묵 외부대신 임명 | 발신자바이페르트 | 수신자뷜로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1900년 민종묵(閔種黙) 조회(照會)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조회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조회 | 현소장처안산 부곡 진주유씨 경성당
- 1900년 민종묵(閔種黙) 훈령(訓令)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훈령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 현소장처안산 부곡 진주유씨 경성당
신문·잡지(7)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依願免本學 義陵叅奉金奎文 任義陵叅奉九品吳信國以上四月卄八日 任中樞院議長 特進官閔種默 依願免本官秘書丞沈九澤 任秘書丞正三品韓秉昱以上五月八日 正二品李冕從二品李起鍾命特進官 崇德殿叅奉朴準皐秘書丞朴奉圭仝韓秉昱侍從李苾和依願免本官 任崇德殿叅奉朴允在 內部叅書官趙南升正三品沈九澤任秘書丞게재일1905년 5월 12일 | 기사분류관보
- 切勿用洋灰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년로 각 포소에셔 양물로 포목과 단속을 마젼는고로 그 의복에 손가 불소더니 지금 슌소다가 로나셔 의복 마젼는데 대단이 유익지라 일젼에 농샹공부대신 민종묵씨가 각 포는 샹민을불너 효유기를 금이후로는 포는데 양물은 결단코 쓰지말고 슌소다를쓰라...게재일1902년 9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國民敎育會捐補人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尹雄烈氏 一百元 玄興澤氏 一百元 魚 潭氏 一百元 韓圭卨氏 一百元 義陽君 五十元 朴鏞和氏 四十元 李漢英氏 三十元 徐丙규氏 二十元 朴齊純氏 二十元 盧伯麟氏 二十元 柳正秀氏 二十元 閔種默氏 二十元 閔泳綺氏 一百元 權重奭氏 一百元 李根澤氏 一百元 孫昌源氏 五十元 金嘉鎭氏 五...게재일1905년 10월 25일 | 기사분류광고
- 漂白一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엿더라 의복을 마젼는데 손되는 폐막의 대징창을 농상공부대신 민종묵씨가 이갓치 열심는지라 각쳐 포소에셔 회의야종금이후로 그독양물은 일졀 물용고 황토현근디에 발는 소다 쓰기로 결뎡엿다더라게재일1902년 10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任官立漢城日語學校副敎官七級 鄭雲軾 五月十五日 依願免本官 敬陵叅奉金希洙 命 各宮事務整理委員長 景孝殿提調 閔種默 任 敬陵叅奉五等 齊陵叅奉趙鍾禹 任 齊陵叅奉五等 嚴柱華 以上五月十七日 任 法部叅書官二等 法部民事局長金基肇 任 法部民事局長一等 法部叅書官李鍾協 任 法部叅書官二等...게재일1907년 5월 27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2)
- 5. 조선 국왕이 황제의 칭호를 얻음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에 대한 통지 V. 콜랭 드 플랑시, 서울 주재 프랑스 공사 프랑스 외무부 외교문서(보고서) 1897년 10월 14일 서울 V. 콜랭 드 플랑시, 서울 주재 프랑스 공사 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이희, 조대비, 민비, 가토, 민종묵...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서울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897년 | 작성월일10월 14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서울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 16. 대한제국의 새 내각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조병식, 민영규, 정낙용, 이종규, 지정직, 박정양, 민종묵, 남정철, 알렉스에프, 드 스페에르, 브라운 새 내각 구성과 한성재판소 재구성 장관님, 대표부 사무국과 정치국 소인이 찍힌 지난 10월 10일과 15일자 보고에서, 대한제국의 새 내각 구성과, 황...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897년 | 작성월일11월 8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10)
-
민종묵 / 閔種默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문신(1835∼1916). 구한말 문신. 조사시찰단 일원. 외부대신 역임. 1897년 외부대신으로 절영도를 태평양함대에 조차시키려다 독립협회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며, 만민공동회를 무력으로 해체시키기 위하여 미국·영국 공사에게 통고하였으나 회원들의 강력한 반대
-
박상은시장 / 朴尙恩諡狀 [정치·법제]
조선 초기의 문신 박상은(朴尙恩)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910년(융희 4) 8월 민종묵(閔種默)이 지어서 봉상사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사후 약 490년이 지난 1910년에 후손 박영배(朴英培)가 병조판서 홍문관대제학을 역임한 민종묵에게 부탁하여 지은 것이
-
부사잉차문후관전진보정부연유예부자 / 副使仍差問候官轉進保定府緣由禮部咨 [정치·법제]
자문. 1882년 고종이 이전에 문후관 이재덕(李載德)을 청에 파견하여 대우너군의 환국을 위해 노력했지만 이루어지지 않자, 연공 부사로 파견된 예조판서 민종묵(閔種默)에게 문후관을 겸임하게 하여 사절로서 일을 마친 뒤 곧장 보정부로 가서 대원군의 건강을 살필 수 있도
-
부사잉차문후관전진보정연유총독부당자 / 副使仍差問候官轉進保定府緣由總督府堂咨 [정치·법제]
자문. 1882년 고종이 이전에 문후관 이재덕(李載德)을 청에 파견하여 대원군의 환국을 위해 노력했지만 이루어지지 않자, 연공 부사로 파견된 예조판서 민종묵(閔種默)에게 문후관을 겸임하게 하여 사절로서 일을 마친 뒤 곧장 보정부로 가서 대원군의 건강을 살필 수 있도록
-
진주북양대신아문자 / 進奏北洋大臣衙門咨 [정치·법제]
1882년 고종이 사절단 부사로 파견된 예조판서 민종묵(閔種默)을 그대로 문후관에 차임해 보정부에 유폐되어 있는 생부 대원군의 건강을 살필 수 있도록 청 황제에게 전주해주기를 요청하며 청 북양통상대신아문에 보낸 자문. 당시 청 북양통상대신은 이홍장(李鴻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