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민족주의사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19)
- 신민족주의사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해방 이후 민족주의사학의 역할 변화에 따라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한국 역사학계의 한 경향. [개설] 이 부류에 속하는 학자로는 안재홍(安在鴻)‧손진태(孫晉泰)‧이인영(李仁榮)‧조윤제(趙潤濟) 등을 들 수 있다.
- 민족주의사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계열의 역사학에서 배제하여야 한다. [연원 및 변천] 우리나라에서 민족주의사학이라면 1910년대 이후 박은식(朴殷植)ㆍ신채호(申采浩) 등과 1930년대 이후의 정인보(鄭寅普)ㆍ안재홍(安在鴻)ㆍ문일평(文一平) 등으로 이어지는 갈래를 의미한다. 이들 모두...
- 이인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실증사학(實證史學)에서 출발한 역사학자였으나, 광복 이후 손진태(孫晉泰)와 더불어 신민족주의사학(新民族主義史學)을 제창하였다. 1950년에 간행한 『국사요론(國史要論)』은 바로 신민족주의 사관의 입장에서 한국사의 체계화를 시도한 개설서였다. 주로 한국과 만주관...이칭별칭 학산(鶴山)
- 민중사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역사발전의 주체는 민중이라는 대전제 아래 민족적ㆍ사회경제적 모순구조를 분석하고 그 모순을 해결해가는 민중의 활동을 역사서술의 중심에 두는 한국 역사학계의 한 학문적 경향. [개설] 1980년대 초반에 등장한 ‘민중적 민족주의사학’을 가교...
- 조선상고사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 책에 나타난 안재홍의 우리나라 고대사 연구는 신채호나 정인보(鄭寅普)의 연구 영역과 발상에서 출발해 그것을 한층 심화시켰다고 평가된다. 또한 그가 활동하던 시대에 민족주의사학이 사회경제사학으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고 있었...
주제어사전(2)
-
민족주의사학 / 民族主義史學 [역사/근대사]
일제의 식민사학에 정면으로 대결하였던 민족진영의 역사학을 지칭하는 용어. 우리나라에서 민족주의사학이라면 1910년대 이후 박은식(朴殷植)ㆍ신채호(申采浩) 등과 1930년대 이후의 정인보(鄭寅普)ㆍ안재홍(安在鴻)ㆍ문일평(文一平) 등으로 이어지는 갈래를 의미한다. 이들
-
단재신채호사당및묘소 / 丹齋申采浩祠堂및墓所 [역사/근대사]
독립운동가, 언론인이며 근대민족주의사학을 개척한 신채호의 사당 및 묘소. 사당은 본래 1960년 종중에서 처음 건립하였고 1978년 지금 위치로 옮겨왔는데, 1980년에 탄생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다시 영당으로 보수·정화하였으며 ‘단재영각(丹齋影閣)’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