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민요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15)
- 민요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또 ‘민요시’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으로, 『개벽』 25호(1922.7)에 발표되면서 ‘민요시’라는 부제를 붙인 것이었다. [내용] 김소월이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민요시’라는 용어는 이후 김억이 다음의 글에서 몇몇...이칭별칭민요조서정시
- 홍사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간호의 권두시 <백조는 흐르는데 별 하나 나 하나>를 비롯하여 <나는 왕(王)이로소이다>‧<묘장 墓場>‧<그것은 모두 꿈이었지마는> 등 20여 편과 민요시 <각시풀>‧<붉은 시름> 등 수편이 있다. 소설로 <저승길>‧<뺑덕이네>‧<봉화가 켜질 때>, 희곡 <할미...이칭별칭 노작(露雀), 소아(笑啞), 백우(白牛)
- 역수헌금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장, 금식(琴式)과 여민락시(與民樂詩) 1장, 악보(樂譜) 본보(本譜)가 66장으로 각 면마다 20, 21행으로 꾸며져 있다. 「칠현금의 한국적수용」(엄혜경, 서울대학교석사학위론문, 1983)
- 김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스페란토자습실>을 연재하여, 뒤에 간행된 ≪에스페란토 단기강좌 Esperanto Kurso Ramida≫라는 한국어로 된 최초의 에스페란토 입문서가 되었다. 또한, 김소월(金素月)의 스승으로서 김소월을 민요시인으로 길러냈고, 자신도 뒤에 민요조의 시를 주로 많...이칭별칭 안서, 안서생(岸曙生)|김안서
- 시문학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감상적 낭만주의 시나 민요시 또는 카프의 경향시가 모두 자유시의 특성에 대한 명백한 자각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에 시로서의 현대성을 논하기에 미흡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시문학≫에 실린 김영랑‧정지용‧박용철 등의 작품에서는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조화에...
고서·고문서(2)
- 방송국담당선생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애, 고행,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월성리, 14세되던해, 이곳, 중국, 65세, 생활, 한해, 금수강산, 고향생각, 방송, 고행, 생각, 방송, 민요시간, 생각, 민요집, 신세, 생각, 염치, 부족, 만강, 축복대표표제어방송국담당선생님 | 성씨장
- 조선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시면, 감사, 량해, 구합니다, 소원이라면, 여기에서, 작업, 저녁, 5시, 마칩니다, 방송국에서, 흘러간옜노래, 시간이나, 민요시간, 적당히, 안배해, 주셨으면, 5시반이나, 6시반, 보내주시며, 청취하는데, 편리대표표제어조선 | 성씨정
기초학문(1)
- 페퇴피 샨도르의 민요시 연구-헝가리의 전통 민요시와의 비교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경민, 게재일 : 200621785 한경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6 페퇴피 샨도르의 민요시 연구-헝가리의 전통 민요시와의 비교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5)
- 民擾視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광쥬군에셔 학교건으로 민료를 일으킨말은 작일에긔얏거니와 학부에셔 군슈보고를인야 그졍형을 시찰로 일간 시학관을 파견기로 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1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氏와 『雅號素月』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920 1935 6 15 1 1 安在鴻氏와 『雅號素月』 잡지 삼천리 63호,7권 6호 208쪽 인물평 문화 간접자료 선집외 民謠詩人, 素月金廷湜, 三千里社, 安在鴻, 羅蕙錫 B19350615삼천03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法使促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법국공 갈림덕씨가 외부로 조회기 졔쥬 민요시에 손금과 샤직골셔 법국사이 짓는집을 훼쳘한닥에 손난 부비 곳보라고얏다더라게재일1903년 1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셩진항 감리 김교셕씨의 공보를거즉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셩진항 감리 김교셕씨의 공보를거즉 셩진관샤가 민요시에 파쇄 되고 인민의집에 거뎝즉 불가불 관사를 건츅야 터인 그경비를 타산즉 이왕잇 구문루 목을 쓰고도 팔쳔이백원은 잇셔야 겟스니 곳 지발야 달나고 얏다더라게재일1901년 5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_1922_08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北朝鮮の橫斷植物景竝狼山林脈の森林植物帶 朝鮮總督府技師 石戶谷勉 101 朝鮮國王の作にかゝれる民謠十五則(詩調) 編輯課 加藤覓峰(譯) 115 鄕校內に文...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2
주제어사전(1)
-
민요시 / 民謠詩 [문학/현대문학]
니라 1930년대까지도 용어의 혼란은 시인, 논자들에 따라 ‘민요’, ‘속요’, ‘민요시’, ‘소곡(小曲)’ 등으로 표기되어 통일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