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민보의” 에 대한 검색결과 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언비어가 1812년 남해안 지방에 퍼졌을 때 수많은 지역 주민들이 도망가 흩어져 버리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정약용은 강진에서 이러한 사태를 직접 목격하고서 ≪≫를 저술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는 어떻게 하면 농민들이 병란, 특히 왜침을 당하더라도 뿔뿔이 도망...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국토방위 책략에 관해 자신의 견해를 밝힌 책.
    정의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국토방위 책략에 관해 자신의 견해를 밝힌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Minboui | MR표기Minboŭ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민보집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 ≫에서 제시했던 방안이었다. 훈련대장이었던 신헌은 민보방위체제의 시행을 여러 차례 조정에 건의한 끝에 병인양요 이듬해인 1867년 왕의 윤허가 있었다. 이 같은 결정은 민보방위체제만이 내우외환에 직면한 19세기 중엽의 조선이 택할 수 있는 최상...
  • 병략신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처해야 한다고 하였으며, 병인양요에서 드러난 양인(洋人)의 장단점과 우리의 장단점을 비교하면서 군비 전반에 걸쳐 개선책을 논술하였다. 특히 정약용(丁若鏞)의 ≪ ≫를 인용하여 외적과 내란에 대비한 방위체제의 정비가 시급함을 강조하였다. [의의와 평가...
  • 원론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교 소장)의 내용을 성명 미상의 서엄노인(西崦老人)이 분석‧보완한 책이다. 이 『충역변』은 일명 『하잠론(荷潛論)』이라고도 전한다. 1574년(선조 7) 동서분당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 동인 김효원(金孝元)과 서인 심의겸(沈義謙) 사이에 벌어진 시비로부터 영...

단행본(1)

  • 정본 여유당전서 37-보유 3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7.題挽日庵志 18.家乘外篇 19.山齋冷話 20. 21.備禦撮要 22.日本考 23.尙書知遠錄 24.讀禮通考箋注

고서·고문서(26)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여유당집(與猶堂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民堡農作之法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30 與猶堂全書補遺○ ITKC_MP_0597A_1830_020_0030 民堡農作之法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民堡議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山寺設堡之法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30 與猶堂全書補遺○ ITKC_MP_0597A_1830_020_0070 山寺設堡之法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民堡議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民堡警夜之法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30 與猶堂全書補遺○ ITKC_MP_0597A_1830_020_0040 民堡警夜之法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民堡議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신문·잡지(6)

기타자료(1)

  • The Chosun Inmin Po (Korean people's times):기록자료, 1946.01.25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1946년 1월 25일자 조선인 영어번역임. 소련 언론사 TASS (Telegraph Agency of the Soviet Union)는 남한의 미 군정을 맹렬히 비난하면서 미 군정이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주제어사전(2)

  • / [언론·출판]

    저자 정약용(1762-1836). 필사본. 1책. 이 책은 1책 52장이다. <>는 총의에 해당하는 5칙과 <민보택지지지법>, <보원지제>, <민보수어지법>, <편오지법>, <지량지법>, <농작지법>, <경야지법>, <각보상의지법>, <해도설보지법>, <산사설보

  • 풍서집 / 豊墅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이 시문집. 18권 9책. 필사본. 서·발·부록 등이 없는 초고본으로 보인다. 권1∼5에 시 861수, 권6에 소 3편, 서 5편, 기 8편, 권7에 서 3편, 발 3편, 서후 7편, 설·축·명·사·논 등 각 1편, 권8에 제문·애사 등 18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