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민병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0)
사전(5)
- 민병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1(철종 12)∼?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경장(景章). 충주 출신. 창식(昌植)의 아들이다. 1889년(고종 26)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90년 세자시강원 겸 설서(世子侍講院兼說書)가 된 이...이칭별칭 경장(景章)
- 단군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彰輔) 등과 더불어 대종교에서 갈라져 나왔다. 자신은 교주인 도교장(都敎長)이 되고, 당시의 친일파 각료였던 박영효(朴泳孝)‧정두화(鄭斗和)‧민병한(閔丙漢) 등을 입교시킴으로써 조선총독부의 공인하에 자유롭게 포교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1912년 이유형‧서창보의...
- 대동학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방에는 각 도에 총무를 두었는데 경기도는 조병건(趙秉健), 충청도는 김경규(金敬圭), 전라도는 박제빈(朴齊斌), 경상도는 신태휴(申泰休), 강원도는 정봉시(鄭鳳時), 황해도는 홍우철(洪祐哲), 평안도는 민병한(閔丙漢), 함경도는 정진홍(鄭鎭弘)이었으며, 회원은 1...이칭별칭공자교회
- 단군교부흥경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단군교를 포교할 목적으로 그 대강(大綱)‧전말 등을 기록한 책. [서지적 사항] 불분권 1책 82장. 신연활자본. 1937년 김재웅(金在雄)의 교열을 거쳐 정진홍(鄭鎭洪)이 편집, 간행하였다. [내용] 권두에 민병한(閔丙漢...
- 조선태조실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세계와 일생의 기록을 모아 엮은 책. [내용] 불분권 1책. 연활자본. 1927년 홍순형(洪淳馨)과 민병한(閔丙漢)이 교열, 간행하였다. 선원선계(璿源先系)‧사조고사(四祖故事)‧잠룡시사(潛龍時事)‧고려...
고서·고문서(18)
- 1907년 민병한(閔丙漢) 임명장(任命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관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관고
- 강탈금(强奪錢) 반환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郞), 정구창(鄭求昌) 서기 전촌영수(田村榮樹) 최석곤(崔錫崑) 평안북도 구성군(龜城郡) 사기방면(沙器坊面) 신시(新市) 민병한(閔丙漢), 박성근(朴聖根) 한성(漢城) 남부(南部) 이동(犁洞), 평안북도 의주군(義州郡) 읍내(邑內) 신동(新洞) 등...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3부 | 판결일자1909년 05월 17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강탈금 반환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통역생(通譯生) 정본풍삼랑(井本豊三郞), 서기 정하섭(丁夏燮) 최석곤(崔錫崑) 평안북도 구성군(龜城郡) 사기방면(沙器坊面) 신시(新市) 심종대(沈鍾大) 민병한(閔丙漢), 박성근(朴聖根) 경성(京城) 남부(南部) 이동(犁洞) 21통 6호, 평안북도...재판기관경성공소원(京城控訴院) 민사제2부 | 판결일자1909년 11월 27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약탈금(略奪金)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정구창(鄭求昌) 서기 원구원칠랑(原口源七郞) 조성준(趙性俊) 평안북도 의주부(義州府)에 거주, 현 거주지 경성(京城) 중부(中部) 수전동(壽典洞) 23통 8호 장순학(張順擧) 방(方) 민병한(閔丙漢) 한성(漢城) 중부(中部) 이동(犁洞) 21통 6...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3부 | 판결일자1909년 08월 09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손해배상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時章) 서기 중원무(中原茂) 홍종흡(洪鍾翕) 평안북도 의주부(義州府) 수진면(水鎭面) 미산동(美山洞) 변호사(辯護士) 장도(張燾) 민병한(閔丙漢) 한성(漢城) 남부(南部) 하리동(下犁洞) 21통 6호 변호사(辯護士) 등정태랑(藤井太郞) 원고...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2부 | 판결일자1909년 10월 26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신문·잡지(65)
- 작일 져녁에 부 셔리대신 민병한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져녁에 부 셔리대신 민병한씨가 원을 려고 쥬본을 터인 로 원들도잇고 쳔젼 군슈들도 잇서셔 그쥬본거슬 가지고 졍부에 들어갓 몃날젼에 김포군슈 엿다가 몃날후에 안변군슈로 이임엿던 최긔쥬씨를 달은로 욈기게 엿지라 참졍 심상훈씨가...게재일1899년 2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젼 탁지대신 민병한씨의 쇼실과 젼승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 탁지대신 민병한씨의 쇼실과 젼승지 김각현씨의 쇼실과 경무 원우샹씨의 쇼실들 리 죵의 식이라고 시비 건으로 젼호에도 긔 엿거니와 근일에 드른즉 병뎡은 다리고 가지 아니 거시 뎍부기로 졍오 거니와 민영긔씨의 쇼실이 계집하인 십여명과 녀인 십여명을 다...게재일1899년 4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민병한씨의 도쟝이 일젼에 올나왓다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민병한씨의 도쟝이 일젼에 올나왓다더라게재일1899년 4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심샹훈씨와 민병한씨 뉴라신 죠칙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심샹훈씨와 민병한씨 뉴라신 죠칙이 계신고로 심민 량씨가 고등판소에 현을 엿기로 고등 판소에셔 법부에 보고 야 법부에셔 샹쥬 엿다더라게재일1899년 3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무본 보험회샤 샤쟝 민병한씨가 무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무본 보험회샤 샤쟝 민병한씨가 무삼 닭인지 그 회샤 장뎡과 도쟝을 모다 그 회샤로 보내고 시무지 아니다더라게재일1900년 4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2)
- 30. 대한제국의 상황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심상훈, 민병한, 민영기, 박제순, 유기환, 민병석, 영친왕, 순헌황귀비엄씨 내각개편 장관님, 각하께 보내드린 지난 3월 25일자 보고서에서 말씀드렸던 최근의 내각 위기는...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899년 | 작성월일4월 12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 65. 보호령과 궁의 음모에 반대하는 항의. 지방 소요의 지속. 체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나베시마, 드 플란손, 드 케베르크, 아르망, 이범진, 현상건, 루비에, 트레물레, 마르텔, 뭘렌슈테드, 베베르, 알렌 박사, 이용익, 헐버트, 루스벨트, 스티븐스, 민영규, 다나카, 최익현, 이봉래, 민경식, 홍재봉, 민병한, 김성문, 최남선. 미카도 계속되는...집필자F.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6월 24일 | 발신자F.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루비에,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3)
-
민병한 / 閔丙漢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61∼?). 1889년(고종 26) 문과에 병과로 급제 후, 세자시강원 겸설서·겸필선·성균관대사성·이조참의·왕태자시강원첨사·궁내부특진관·경효전제조·중추원찬의·궁내부대신의 임시서리 등을 지냈다.
-
민병한임명문서 / 閔丙漢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5월 24일. 종2품 가의대부 홍릉제조 민병한(閔丙漢)을 궁내부특진관 칙임관 1등에 서임하는 임명장. 궁내부대신 이재극(李載克)이 봉칙하였다. 대한제국기에는 궁내부의 칙임관으로 임명, 왕실의 업무에 관한 자문역할을 맡았다.
-
단군교부흥경략 / 檀君敎復興經略 [종교·철학/유학]
일제강점기 단군교를 포교할 목적으로 그 대강·전말 등을 기록하여 1937년에 간행한 교리서. 불분권 1책 82장. 신연활자본. 1937년 김재웅(金在雄)의 교열을 거쳐 정진홍(鄭鎭洪)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민병한(閔丙漢)·정두화(鄭斗和)의 서문과 정훈모(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