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민백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0)
사전(23)
- 민백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조방목(國朝榜目)』 『지수재집(知守齋集)』 민백상 영정 1711(숙종 37)-1761(영조 37). 조선 후기의 문신. 서울대...이칭별칭 이지(履之)| 정헌(正獻)
- 민백상(閔百祥)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3332 인물 민백상(閔百祥) 민백상 閔百祥 1711 1761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이지(履之). 1735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740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예문관검열을 거쳐 17...유형분류인물
- 등번장(藤繁長)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2700 인물 등번장(藤繁長) 등번장 藤繁長 ? ?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1748년 5월,민백상(閔百祥)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제주 표류민을 이끌고 조선에 온 표민영래차왜(漂民領來差倭). 봉진압물(封進押物) 1인 ‧...유형분류인물
- 이창석(李昌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226 인물 이창석(李昌錫) 이창석 李昌錫 ? ? 조선 후기의 역관. 1748년 윤7월 민백상(閔百祥)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의 옥포(玉浦) 왜학(倭學)으로, 계미조(癸未條) 2특송사 1호 재도선(再渡船)이 공작미를...유형분류인물
- 김태현(金兌賢)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748년 윤7월 민백상(閔百祥)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의 별차(別差)로, 훈도(訓導) 이명윤(李命尹)과 함께 왜선을 문정(問情)한 바 있다. 『通信使登錄』 별차(別差), 이명윤(李命尹), 민백상(閔百祥) 사전 한글 강혜종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77)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4561 B074561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5年 1月 26日_019 下後, 各廳分劃則一依戶曹郞廳例, 施行, 何如? 上曰, 依爲之。 出擧條 鳳漢曰, 閔百祥節目, 上來矣。 上曰, 今番吏判望, 見而有思, 方爲此事, 故姑置之矣。 今則盡爲此事耶? 拓基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거제도(巨濟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019 B018019 거제도 巨濟島 도서 경상남도 承政院日記 英祖 28年 7月 7日_019 ○任, 以義禁府言達曰, 慶尙道巨濟島配罪人閔百祥, 所犯雖重, 其人可惜。 今聞二年瘴海, 不無可矜, 特爲出陸事, 令旨達下矣。 閔百祥, 依前罪目, 全羅道茂朱府出陸, 而發遣府書吏,...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466 B035466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0年 4月 28日_008 ○權一衡, 以義禁府言啓曰, 慶尙道 南海縣島配罪人閔百祥放送事, 承傳啓下矣。 放送之意, 分付道臣,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9005 B059005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20年 4月 28日_008 ○權一衡, 以義禁府言啓曰, 慶尙道南海縣島配罪人閔百祥放送事, 承傳啓下矣。 放送之意, 分付道臣,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重, 譯官玄泰翼, 令該府, 發遣都事, 卽爲拿來嚴鞫。 起采, 持官案還入。 在魯曰, 堂上中皆年老, 堂下在京者, 只有閔百祥·李彝章·金相福, 故仰達矣。 上曰, 書傳旨。 傳曰, 前正閔百祥, 東萊府使除授, 使之當日內辭朝。 上曰, 閔百祥之勝於金尙重, 何可必也? 拿來則倍道, 然後可以...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민백상 / 閔百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1∼1761). 영조 때 경상도관찰사·대사성·대사간 등을 지내다가, 신임사화에서 화를 입은 아버지 민형수를 포함해 화를 입은 인물의 신원과 가해자인 소론일파의 처벌을 주장하다가 유배되었다. 이후 대사헌·평안도관찰사·이조판서·호조판서·우의정에
-
조명정 / 趙明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9∼1779). 노론 강경파로 소론과 정쟁을 벌였는데 소론 이광좌를 공격하여 영조의 노여움을 샀으며, 민백상을 두둔하다가 유배되었다. 1754년 경기좌도심휼사로 세금을 줄여줄 것을 상소하여 시행하게 하였다.
-
공거문초 / 公車文抄 [역사/조선시대사]
李箕鎭)의 상소, 이위보(李渭輔)의 상소와 이와 관련된 전교, 김치량(金致良)에 대한 2차의 문초, 민백상(閔百祥)·조현명(趙顯命)의 상소와 민백상·민백흥(閔百興)에 대한 문초, 이존중(李存中)·안윤행(安允行)·황경원(黃景源)·조종부(趙宗溥)·조영순(趙榮順)·원인손(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