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민무늬토기” 에 대한 검색결과 3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2)

사전(28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청동기시대의 무늬 없는 토기. [개설] 일명 ‘무문토기(無文土器)’‧‘무늬없는 토기’라고도 한다. 신석기시대 널리 사용되었던 무늬가 있는 토기인 빗살무늬토기에 상대되는 말로 사용된다. 의 기형상의 특징은 신석기시대의 빗살...
    이칭별칭무문토기|무늬없는토기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동기시대의 무늬 없는 토기.
    정의청동기시대의 무늬 없는 토기.[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minmunui togi | MR표기minmunŭi t’o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승주대광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다. 출토유물은 지하석곽형에서는 석곽 내에 붉은간토기〔紅陶〕가 부장되었으며, 석곽 및 뚜껑 주위에 뿌려진 제의용(祭儀用)으로 여겨지는 유물로는 파편과 간돌화살촉이 있다. 그러나 돌둘림식 고인돌에서는 별다른 유물의 출토가 없었다. 대광리 고인돌무...
  • 곽지패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토기〔孔列土器〕‧덧띠무늬토기〔粘土帶土器〕 등이 나오는 청동기시대층과 곽지패총의 대표적 퇴적층인 아가리가 외반된 토기와 김해식 토기가 나오는 위층으로 구분된다. Ⅲ지구는 원삼국시대 말기에 이루어진 단일퇴적층이다. 유물은 시대의 것부터 삼국시대 신라식 토기...
    이칭별칭북제주곽지리패총 | 연계항목곽지패총(郭支貝塚)
  • 청원궁평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많이 파괴된 상태였으나 대체로 타원형이었다. 제2호 가마는 300cm×260cm의 규모이고, 맨바닥에서 숯과 불탄 흙과 토기가 발견되었으며 별도의 부속 유구가 있었다. 이것은 시대의 가마터로서 예가 드문 것으로 평요구조에 토기는 520∼930℃의 온도로 구...

기타자료(1)

  • 이천 성남-장호원간 도로건설공사(5공구)구간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호, 그리고 어골문 기와 등이 있다. 그리고 1호 소성유구에서는 (無文土器) 동체부 조각이 출토되었으며, 3호 소성유구 내부에서는 회청색경질토기병 동체부와 명황색연질호 구연부 등이 수습되었다. 한편 1호 토광묘에서는 인골과 철제 관못 4점이 발견되었고, 7호...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금호산업(주)/겨레문화유산연구원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51)

  •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의 무늬 없는 토기. 일명 ‘무문토기(無文土器)’·‘무늬없는 토기’라고도 한다. 신석기시대 널리 사용되었던 무늬가 있는 토기인 빗살무늬토기에 상대되는 말로 사용된다. 의 기형상의 특징은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납작바닥[平底]과

  • 남제주상모리패총 / 南濟州上摹里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산이수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조개더미. 시대 유적으로는 보기 드문 조개더미 유적이다. 이 곳에서 출토된 유물의 대부분은 로서 적갈색 조질(粗質無文土器)와 마연토기(磨硏土器) 두 종류가 있다. 적갈색

  • 강릉동덕리유적 / 江陵冬德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동덕리에 있는 철기시대의 주거지 유적. 출토유물로는 주거지 바닥에서는 경질 2점, 구연부 및 저부 토기편 25점, 파수편(把守片) 4점, 시루편 1점, 회청색 타날문 토기편 4점, 돌화살촉 2점 등이 나왔다. 경질 2점 중 1점

  • 가락식토기 / 可樂式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의 형식.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형식에 붙여진 이름이다. 1963년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돼 출토유물은 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광주장지동유적 / 廣州牆枝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에서 돌끌, 숫돌, 가락바퀴, 조각 등이 출토되었다. 제2호는 모줄임 네모모양이며, 잔존 길이 430㎝, 잔존 너비 376㎝, 깊이 14㎝이다. 내부에서 반파된 팽이토기 2점이 출토되었다. 제3호는 모줄임 네모모양으로 추정되며, 잔존 길이 298㎝, 잔존 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