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민담” 에 대한 검색결과 1,0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13)

사전(2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민간에 전승되는 민중들의 이야기. [내용]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라는 용어는 훨씬 제한된 개념으로 쓰이고 있다. 즉, 민간에 전승되는 민중들의 이야기의 뜻으로는 ‘’이라는 용어 대신에 ‘설화’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반면, 은 이...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조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제7권으로 개간된 바 있는데, 이 때에는 머리 부분에 김소운(金素雲)의 <조선의 민화에 대하여 朝鮮の民話について>라는 해설을 넣은 대신, 뒤의 부록 및 색인은 빼 버렸다. 오늘날 ≪조선집≫의 원본은 1981년 10월 25일 태학사(太學社)에 의하여 간행된 ≪손진...
  • 성기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였다. 그의 업적은 주로 설화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역사지리학파의 연구방법론을 원용한 한‧일 의 비교연구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저서] 주요저서로는 『한국구비전승의 연구』(1976)‧『한일의 비교연구』(1979)‧『한국의 세계』...
    이칭별칭 수여(水余)
  • 조선동화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글만 터득하면 읽을 수 있도록 배려되어 있다. 책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당시는 아직 이 학문으로 정착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동화(童話)’라는 이름으로 발표되었지만, 내용에는 창작동화가 한편도 없다. 수록된 자료는 「은혜 모르는 호랑이」‧「멸치의 꿈」‧「호랑...

논문(1)

  • 조선족 이야기꾼 박병대 연구 [조선족 이야기꾼 연구 | 국민대학교]
    저자 : 노영근 (국민대학교) | 게재정보 : 통일인문학 63집, 게재일 : 2015.09
    이야기꾼 연구가 갖고 있는 현실적인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조선족 이야기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요녕성 성급비물질문화유산인 철령조선족민간문학의 대표성전승인인 박병대에 주목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이다. 그는 부모가 모두 유능한 이야기꾼이었다. 특히 아버지는 가정 뿐 아니...
    유형논문

고서·고문서(52)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박 남자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연길시(延吉市) 연변문화예술계연합회 중국민간문예가협회연변분회 ...
    대표표제어민담 | 성씨
  • 한국 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한국 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문학 한국 사전 최근학 編 문화출판공사 서울 1994 전문사전; 구비문학; ...
    대표표제어한국 민담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문학
  • 韓國 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韓國 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문학 韓國 辭典 崔根學 編 문학출판공사 서울 1987 전문사전; 구비문학; ...
    대표표제어韓國 民譚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문학
  • , 눈, 띄워, 룡정현, 국무원, 비준, 룡정시, 나, 전국민간문학, 학술토론회, 참가, 호랑이, 집, 편집, 명년, 출판, 교부, 옛말, 전설, , 보내, 선생님, 유관부분, 협상
    대표표제어안녕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해답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무순시(抚顺市) 순성구(顺城区) 이석향 사선촌 2 2 해답, 요청, 한국, 민요, ...
    대표표제어해답 | 성씨

구술자료(684)

  • 임진란 (이율곡)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구연상황 없음. *
    조사일시1982-01-12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오월리 | 제보자미상
  • 임진란 (이율곡)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item id="906" 서지id="tsu_2577" 기사서지id="Q_2577_608_0000_0000"><br/><Sync Start="0"><P class="KRCC"><classserial>[북이면 설화 ]</classserial><br/><제목>임진란 민담...
    조사일시1982-01-12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오월리 | 제보자미상
  • 키르기스스탄 속 동물들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키르기스스탄 20180128_054_002_키르기_01_토레에바 아이자다(정수진)_E_키르기스스탄 속 동물들 민속·문화 키르기스스탄 속 동물들 2018. 01. 28(일) 오후 경상북도 영덕군 병덕면 토레에바 아이자다(정수진) [키르기스스탄, 여, 1980
    국가키르기스스탄 | 제보자토레에바 아이자다(정수진) [키르기스스탄, 여, 1980년생, 결혼이주 1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서울 20161119_서울시 중구 을지로 러시아거리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치한 러시아식 카페로 자리를 정하게 되었다. 간단하게 인적 사항을 체크한 후에 곧바로 증조할아버지와 아버지 세대의 사할린 이주 내력부터 제보자 본인의 영주귀국 이력까지의 생애담 구연이 이루어졌으며, 이어서 제보자가 준비해 온 다섯 편의 러시아 에 대한 구연이 이루어
    제보자우정부 [러시아, 남, 1941년생, 영주귀국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중국(한국계) 20170415_063_006_중국B_02_서청록_F_물고기에 관한 재담 물고기에 관한 재담 2017. 04. 15(토) 오전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단양리 서청록 [중국(한국계), 남, 1962년생, 이주노동 6년차] 조사자 3인 오정미, 이원영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서청록 [중국(한국계), 남, 1962년생, 이주노동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31)

  • 독일-프랑스 의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은주, 게재일 : 2000
    07628 손은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뷔히너학회 2000 독일-프랑스 의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게르만어권의 신화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한순, 게재일 : 2002
    05900 임한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2002 게르만어권의 신화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4d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슬라브-러시아의 신화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희숙, 게재일 : 2002
    04954 김희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2 슬라브-러시아의 신화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탈식론과 제 3세계 페미니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경화, 게재일 : 2001
    11694 박경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비평이론학회 2001 탈식론과 제 3세계 페미니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신데렐라»형 의 의미와 역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은주, 게재일 : 2000
    14423 손은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뷔히너학회 2000 «신데렐라»형 의 의미와 역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
    유형논문 | 게재일2000

신문·잡지(29)

연구과제(1)

  • 한국옛이야기의 전승과 문화담론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권혁래 | 용인대학교 | 2021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37)

  • / [문학/구비문학]

    민간에 전승되는 민중들의 이야기. 민간에 전승되는 민중들의 이야기의 뜻으로는 ‘’이라는 용어 대신에 ‘설화’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반면, 은 이 설화 갈래를 다시 세분했을 때의 하위 범주로 생각되어 온 것이다. 그러므로 이라는 용어는 외연적으로는 매우 넓은

  • 조선집 / 朝鮮 [문학/구비문학]

    1930년 학자 손진태가 신화·전설류 , 우화·돈지설화, 등 154편의 자료를 수록하여 간행한 설화집. 『조선집』에는 모두 154편의 자료가 실려 있는데, 이를 좀더 세분하면 다음과 같다. ① 신화·전설류 51편, ② 민속·신앙에 관한 설화 33편, ③ 우화

  • 한씨보응록 / 韓氏報應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활자본. 한명회(韓明澮)의 전기를 미화하여 여러 에 연결시켜 지은 역사소설이다. 청주한씨의 시조모인 송씨와 청주 한씨의 시조 한란과의 결연담에 나오는 지네설화는 한씨세보(韓氏世譜)에는 나오지 않는 이야기이다. 이 구성은 우

  • 동화 / [문학/구비문학]

    동심을 바탕으로 어린이를 위하여 지은 산문문학의 한 갈래. 동화의 정의는 광의냐, 협의냐에 따라 그 범주와 의미가 달라진다. 동화는 옛날이야기·()·우화(寓話)·신화(神話)·전설(傳說) 등과 같은 설화의 종류가 아니라 그러한 것을 재구성, 고치거나 또는 그러한

  • 전설 / 傳說 [문학/구비문학]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설화(說話)의 한 형태. 학술적으로는 설화를 신화(神話)와 ()과 전설로 분류한다. 전설은 과 달리 역사상 사건을 소재로 하고 증거물이 남아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전(傳)이 뜻하는 바와 같이 전설은 오랜 시간에 걸쳐 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