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민노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4)
- 명수지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민노행(閔魯行)이 집록한 유서(類書). [내용] 24권 13책. 필사본. 1840년(헌종 6)에 시작하여 1842년에 탈고한 것으로, 권두에 저자의 자서(自序)와 독훈(讀訓)ㆍ목록서례(目錄序例)가 있고, 권말에 후어(後...
- 지문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민노행(閔魯行)이 편찬한 유서(類書). [내용] 12권 6책. 필사본. 모든 사물과 도수(度數), 그리고 유명한 인물에 대하여 고전의 설을 총집하여 주해를 붙인 일종의 사전(事典)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편자...
- 강위(姜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청추각(聽秋閣) ‧ 고환당(古懽堂). 영의정 정원용(鄭元容)의 손자인 정건조(鄭健朝)와 함께 수학하였고, 당시 이단으로 몰려 은거하던 민노행(閔魯行)의 문하에서 4년간 수학하였으며, 민노행의 유촉(遺囑)에 따라 제주도에 귀양가 있던 김정희(金正喜)를 찾아가 5년 남짓...유형분류인물
- 강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민노행(閔魯行)의 문하에서 4년간 수학하였다. 민노행이 사망하자 그의 유촉(遺囑)에 따라 제주도에 귀양가 있던 김정희(金正喜)를 찾아가 5년 남짓 사사하였다. 그런데 민노행과 김정희는 다 같이 청대의 고증학을 받아들여 자신의 학문체계를 수립한 실학자들이어서 당대...이칭별칭 중무(仲武), 요장(堯章), 위옥(韋玉)| 추금(秋琴), 자기(慈?), 청추각(聽秋閣), 고환당(古?堂)
고서·고문서(2)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州牧使李定鉉以水原中軍, 時在任所, 順興府使南勉敎以加平郡守, 時在任所, 茂朱府使李羲升以安城郡守, 時在任所, 南原府使南駿應以高城郡守, 時在任所, 安城郡守李容在以昌寧縣監, 時在任所, 金浦郡守閔魯行以和順縣監, 時在任所, 加平郡守李正夏以三嘉縣監, 時在任所, 杆城郡守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각정노인유서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730∼1801)의 묘지명. 집안내력, 성품, 관직내력, 孝行, 가계를 적고 있다. 孺人完山崔氏墓誌銘 (7) 後配인 孺人完山崔氏(1776∼1808)의 묘지명. 閔魯行(1782∼?)이 쓴 것으로, 婦德을 적고, 요절의 안타까움을 나타내었다. 宗婦全州李氏墓誌銘 (10)...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민노행 / 閔魯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유학자(1777∼?). 생원시 합격 후, 음직으로 군수를 지냈다. 추사 김정희와 교유하였으며, 김정희의 《실사구시설》에 후서를 쓰기도 했다.《한성순보》를 창간했던 추금 강위를 제자로 맞이하여 가르쳤다. 저술로는《지문별집》12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