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미원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10)
- 미원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평군지(加平郡誌)』(가평군, 1986) 『경기도사(京畿道史)』(경기도, 1982) 미원서원 경현단 경기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 장석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서원. 1661년(현종 2) 지방유림의 공...
- 남언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양평의 미원서원(迷源書院)에 제향되었다. 『명종실록(明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퇴계전서(退溪全書)』 ...이칭별칭 시보(時甫)| 동강(東岡)
- 김창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일기(瀋陽日記)』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양주의 석실서원(石室書院), 양근(楊根)의 미원서원(迷源書院), 덕원의 충곡사(忠谷祠), 울진의 신계사(新溪祠), 양구의 서암사(書巖祠), 강릉의 호해정영당(湖海亭影堂),...이칭별칭 자익(子益)| 삼연(三淵)| 문강(文康)
- 이제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책임으로 의주 인산진(麟山鎭)에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었다. 시문에 능하고 글씨는 행서ㆍ초서ㆍ전서ㆍ예서에 모두 뛰어났다. 1585년 경연관 이우직(李友直)의 특청으로 신원되어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청백리에 책록되었다. 양근의 미원서원(迷原書院), 청주의 송천...이칭별칭 몽응(夢應)| 청강(淸江)| 평간(平簡)
- 김평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원(迷源書院) 및 보산서원(寶山書院)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중암선생문집』 및 별집 『중암고(重菴稿)』ㆍ『근사록부주(近思錄附註)』ㆍ『학통고(學統考)』ㆍ『천군편(天君編)』ㆍ『대곡문답(大谷問答)』ㆍ『치도사의(治道私議)』ㆍ『해상필어(海上筆語)』ㆍ『경장문답(更張問答...이칭별칭 치장(穉章)| 중암(重菴)| 문의(文懿)
주제어사전(3)
-
미원서원 / 迷源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 장석마을에 있는 서원. 1661년(현종 2)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광조(趙光祖)와 김식(金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8년김육(金堉), 1694년(숙종 20)남언경(南彦經), 1734년(영조 10)이제신(
-
김평묵 / 金平默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819∼1891). 홍필직의 문하에 있다가 1852년(철종 3) 스승이 죽은 뒤 이항로의 학설을 따라 심즉리의 설에 기울여졌다. 1900년 규장각제학에 추증됐고 미원서원·보산서원에 배향됐다. 저서로는 《중암선생문집》·《중암고》·《근사록부주》·《학
-
김평묵특증문서 / 金平黙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19일. 선공감감역 고 김평묵(金平黙)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10일 전의 문서이다. 이 문서에는 1910년 규장각제학에 추증되었고, 미원서원 및 보산서원에 배향되었다.《중암선생문집》을 비롯하여 많은 저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