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미암일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8)
사전(42)
- 미암일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전기의 문신인 유희춘(柳希春, 1513-1577)의 친필 일기.정의조선 전기의 문신인 유희춘(柳希春, 1513-1577)의 친필 일기.[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Miam ilgi | MR표기Miam il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미암일기(眉巖日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미암일기 미암일기 眉巖日記 일기서 한문 한국 조선 선조 성낙수 박종국 2015 유희춘 1567 2책 국립중앙도서관 [정의] 조선 중기 때의 학자이...
- 미암일기(판목포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유희춘 미암일기 및 미암집 목판 유희춘 미암일기 및 미암집 목판 유희춘 미...
- 경연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3년 11월 대신들을 불러 이 곳에서 국사를 협의하였고, 1419년(세종 1) 2월 건물을 새로 짓게 하였으며, 1451년(문종 1) 8월 경연관들이 이 곳에서 강의를 연습하였다는 기사가 각 실록에 보인다. 유희춘(柳希春)의 『미암일기(眉巖日記)』에도 경연관들이 이곳에...
- 京所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S_0047 京所 관직 鄕所, 功曹, 書佐 麗代 咸興京在所, 東萊 座首, 別監, 世宗, 忠寧大君, 鄭文翼公 眉庵日記, 荷潭錄, 松窩雜錄 S_12_01_11 성호사설 12권 1장 11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2권 1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당악유사〉 표점본, 영인본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권수용(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전임연구...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1.12.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亨仲 柳眉岩日記, 宣廟朝 栗谷集, 經筵日記 有明朝鮮國通訓大夫掌樂院正知製敎李公碣銘 朴訥齋行狀 振威縣令林公碑銘 通訓大夫行韓山郡守柳公墓表
고서·고문서(22)
- 1811년 윤광안(尹光顔)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라는 말과 함께 전사본이 착오가 많아 임의대로 고칠 수 없다는 말을 덧붙이고 있다. 그리고 이미 부탁한 서문과 비문은 유념해서 짓도록 하겠다는 말을 하고 있다. 유복삼은 미암일기를 전사하는 작업을 계속해왔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곡성 선산유씨 연운당
- 1794년 유순(柳詢)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춘(柳希春)의 『미암일기』를 전사하고서 이것에 대한 교정을 화순 현감으로 와 있던 유순에게 부탁한 것이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곡성 선산유씨 연운당
- 1795년 유복삼(柳復三) 일기(日記)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일기 대부분의 내용은 과거 시험 과정과 선조묘를 치장하는 일에 관한 기록이다. 선산에 비석을 세우거나 사초를 하는 일, 또는 여러 차례 과거시험을 보면서 시험장에 드나들고, 걸과를 한 일 등 모두 爲先활동의 일환에서 이루어졌다. 또 선조 유희춘(柳希春)의 『미암일기(眉...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 현소장처곡성 선산유씨 연운당
- 人事門6_京所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其初設法亦好. 有鄕所, 則必有京所, 擇郡人, 居于京. 凡一郡之事, 必爲之調護周旋, 其源出於麗代“其人”之任也. 京所之名, 見《眉庵日記》, 可考, 《荷潭錄》“世宗以忠寧大君爲咸興京在所”, 又《松窩雜錄》云: “東萊倅, 將罪鄕所, 送關京所, 請遞其任. 時鄭文翼公爲京所堂上云:...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二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將按(海西), 和(安賚卿)見贈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監司, 李珥爲黃海監司, 閔起文爲左副承旨, 李山海爲大司諫。 ; 「眉巖日記」 甲戌 10月 22日. 早朝, 詣西小門外, 訪黃海監司李珥, 會坐加乙頭里江邊矣。 歸路, 値朴君沃, 約以廿七日象戲。 ; 「眉巖日記」 甲戌 10月 24日. 是日, 李珥叔獻, 以黃海監司拜辭, 余伻問。)....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기초학문(3)
- 『眉巖日記』를 통해 본 복식의 유통 양상과 그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민주, 게재일 : 200613190 이민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역사민속학회 2006 『眉巖日記』를 통해 본 복식의 유통 양상과 그 특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유형논문 | 게재일2006
- 日記를 이용한 조선중기 양반관료의 여행 연구- 柳希春의 眉巖日記를 중심으로_pre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치영02692 정치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日記를 이용한 조선중기 양반관료의 여행 연구- 柳希春의 眉巖日記를 중심으로_pre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조선후기 의약생활의 변화: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미암일기, 쇄미록, 이재난고, 흠영의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동원, 게재일 : 200637358 신동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문제연구소 2006 조선후기 의약생활의 변화: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미암일기, 쇄미록, 이재난고, 흠영의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06
연구과제(3)
-
조선시대 전라도의 출판문화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김소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3 | 국내 | 경기
-
공동체와 공유의 인류사 : 21세기의 비상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오항녕 | 전주대학교 | 2024 | 국내 | 전북
-
호남문집 소재(所載) 일기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김미선 | 전남대학교 | 2014 | 국내 | 광주
주제어사전(2)
-
미암일기 / 眉巖日記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 유희춘의 친필 일기초. 11책. 행·초서체. 보물 제260호. 제1책은 1567년 10월 1일에서 1568년 3월 29일까지, 제2책은 1568년 3월 29일에서 12월 5일까지, 제3책은 1569년 5월 22일에서 12월 30일까지, 제4책은
-
유희춘 / 柳希春 [종교·철학/유학]
사, 이조참판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미암일기≫·≪속몽구≫·≪역대요록≫·≪속휘변 ≫·≪천해록≫·≪헌근록≫·≪주자어류전해≫·≪시서석의≫·≪완심도≫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