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미선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2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미선이라고 하고 열매 끝이 패어지지 않고 둥글게 피는 것은 둥근미선이라고 한다. 충청북도 괴산군의 군자산록 전석지에서 자라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의 하나로 1종 1변종 3품종으로 구성된다. 의 자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괴산의자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 송덕리에 있는 자생지. [내용] 천연기념물 제147호. 면적 9,917㎡. 작은 시내 옆의 경사진 야산에서 자라고 있다. 이곳은 토량(土量)이 적은 전석지(轉石地 : 암반에서 떨어져 나간 돌로...
    연계항목괴산의미선나무자생지(槐山의미선나무自生地)
  • 부안의군락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와 상서면 청림리에 있는 군락지. [내용] 천연기념물 제370호. 면적 2,330㎡. 변산반도 직소천과 백천냇가의 산록 대로를 따라서 자라고 있다. 근처에 전북대학교의 묘포가 있어서 여기...
    연계항목부안의미선나무군락지(扶安의미선나무群落地)
  • 영동매천리의자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매천리에 있는 자생지. [내용] 천연기념물 제364호. 면적 20,000㎡. 이 는 영동읍의 백천내 옆에 있는 언덕의 사면에서 자라고 있고, 커다란 아카시아나무들이 군데군데 자라는 가운...
    연계항목영동매천리의미선나무자생지(永同梅川里의미선나무自生地)
  • 괴산율지리의자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율지리에 있는 자생지. [내용] 천연기념물 제221호. 면적 1만4400㎡. 마을에서 멀지 않은 야산의 중턱에 위치하는데, 이곳은 바위와 굵은 돌이 겹겹이 싸여 있는 전석지(轉石地 : 암반에서...
    연계항목괴산율지리의미선나무자생지(槐山栗池里의미선나무自生地)

고서·고문서(1)

  • (百花軒)의 늙은 [扁木]로 벼루갑을 만들 수 있게 해달라고 했다. 初七日丙申, 陰。 初七日丙申, 陰。 ○宿堂護兒。兒漆毒復侵痒, 則心煩云。○朝夕下見共食食, 拾碁。在堂, 則書《類合》。○惟新崔生來問《孟子》疑處。又考詩賦, 給紙十丈以送。○白二道倩石堅造硯匣以百花...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3)

  • /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과학/식물]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높이는 1m 내외이고 가지는 사방으로 펴져서 밑으로 처지고 자줏빛이 돌며 4각형이다. 골속은 계단모양이다. 잎은 마주나고 난형 또는 타원상난형으로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짧은 대가 있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총상화서에 달린다

  • 병꽃나무 / 甁─ [과학/식물]

    인동과 병꽃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나무의 지름은 2∼3㎝이며, 높이는 2∼3m이다. 괴산 송덕리 자생지(천연기념물 제147호),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천연기념물 제150호), 소백산 주목군락(천연기념물 제244호), 고흥 외나로도 상록수림(천연기

  • 대성산두충나무 / 大城山杜─ [과학/식물]

    대성산들이 자라고 있다. 두충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산림밤색 토양이고 질메흙이며 거름기와 토양은 적당하다. 우리나라에서는 1070년 경에 전라도와 제주도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만 두충나무가 자랐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