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미륵보살” 에 대한 검색결과 2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2)

사전(17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보살 가운데 하나. [내용] 미륵은 친구를 뜻하는 미트라(mitra)에서 파생한 마이트리야(Maitreya)를 음역한 것으로, 자씨(慈氏)로 의역된다. 따라서 은 흔히 자씨보살로도 불린다. 불교사상의 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세에 성불하여 사바세계에 나타나서 중생을 제도하리라는 보살
    정의내세에 성불하여 사바세계에 나타나서 중생을 제도하리라는 보살 | 문광부표기Mireuk Bosal | MR표기Mirŭk Posa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금동반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금동반가사유상 삼국시대의 반가사유보살상. 높이 80㎝. 국보 제78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돈자형의 의자 위에 앉아 왼발은 내리고, 오른발은 왼쪽 다리 위에 걸쳤으며, 오른쪽 팔꿈치를 무릎 위에 올려놓고 손가락을 뺨에 댄 채 명상에 잠긴 이른바...
    연계항목금동미륵보살반가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
  • 금동반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삼국시대의 보살상. [내용] 높이 93.5㎝. 국보 제83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보 제78호인 금동반가상과 더불어 그 크기와 조각 수법에 있어서 삼국시대 금동불상을 대표하는 걸작품이다. 출토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1920...
  • 광륭사반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일본 교토(京都) 고류지(廣隆寺)에 소장된 삼국시대의 목조 반가상. [개설] 이 상은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상으로 추정되며 현재 일본의 국보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불상은 우리나라의 국보 제83호인 금동반가상(93.5㎝...

고서·고문서(16)

  • 方出門 聞其言 使人追之 至南山文殊寺之門外 抛筐而隱 杖在文殊像前 枯魚乃松皮也 使來告 興聞之嘆曰 大聖來戒我騎畜爾 終身不復騎 興之德馨遺味 備載釋玄本所選三郞寺碑 嘗見晋賢章經 言 我當來世 生閻浮提 先度釋迦末法弟子 唯除騎馬比丘 不得見佛 可不警哉 讚曰 昔賢華範意彌多 胡乃兒孫...
    출처전거『三國遺事』 卷5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관광,금강산,내금강,묘길상,불상 일본어,영어 한현석 신동규 신동규 朝鮮金剛山, 內金剛妙吉祥. Myokichisho, Inner Kongo. 金剛山中最大なる佛像にして斷崖削立する大巖壁面にの結跌扶座して枯華したる彫刻にして, 高さ約六十尺, 蓮...
    자료명묘길상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妙吉祥, Myokichisho, Inner Kongo. 金剛山中最大なる佛像にして斷崖削立する大岩壁面にの結跌扶座して枯華したる彫刻にして、高さ約六十尺、蓮座の幅約三十尺に及び、前に基の石焼籠あり、高麗時代懶翁祖師の願佛として彫刻されしものと傳へらる、眞に雄大秀麗の傑作なり。 조선...
    자료명묘길상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엽서 뒷면에는 우표를 첨부하는 곳에 다이쇼사진공예소의 트레이드 마크가 찍혀 있다. 충청남도, 논산, 관촉사, 석조입상, 풍경, 은진미륵, 석불 일본어 김강일 신동규 신동규 (朝鮮大觀). 半島の歷史を悠久に語る. 論山恩津の大石佛. (조선대...
    자료명논산에 있는 대석불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新羅의 당에 대한 조공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않으므로, 『책부원귀』의 독자적인 전거로 판단된다.. ① 『三國史記』 卷8 新羅本紀8 聖德王 4年 三月 遣使入唐朝貢 …… 九月 下敎禁殺生 遣使如唐 獻方物. ② 「慶州甘山寺石造立像造像記」 開元七年 己未 二月十五日 重阿飡金志誠奉爲亡考仁章一吉飡亡妣觀肖里 敬造甘...
    권차『冊府元龜』 卷970 外臣部 朝貢3 | 연도705년 | 기사해제신라가 705년에 3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당에 사신을 파견해 조공한 사실을 전하는 기사이다.

구술자료(1)

  • 과 석가모니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설화가 끝나자, 제보자가 미륵불에 대한 이야기를 일단 한 번 해볼테니 녹음할 가치가 있다면 그 때 다시 녹음하자고 하면서 이야기를 했다. 그래서 이야기의 앞 부분을 조금 듣다가 녹음을 하기 위해 다시 시작했다.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오늘 아침에 이런 얘기를 들었...
    조사일시1982-08-10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우보면 | 제보자박상근

신문·잡지(6)

  • 경소(經疏)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경소(經疏) 經疏 경소 유통서지 經疏 3卷 璟興 大日本古文書 747年(天平19) 正倉...
    대표표제어미륵보살경소(彌勒菩薩經疏) | 대표서명彌勒菩薩經疏 | 한글서명미륵보살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경술찬(經述讃)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경술찬(經述讃) 1 經述讃 경술찬 유통서지 經述讃 3 憬興 天平15 記載 奈良朝現在一切經...
    대표표제어미륵보살경술찬(彌勒菩薩經述讃) 1 | 대표서명彌勒菩薩經述讃 | 한글서명미륵보살경술찬 | 서지형태유통서지
  • 경술찬(經述讃)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경술찬(經述讃) 2 經述讃 경술찬 유통서지 彌勒經述讃 3卷 憬興 大日本古文書 744年(天平16)...
    대표표제어미륵보살경술찬(彌勒菩薩經述讃) 2 | 대표서명彌勒菩薩經述讃 | 한글서명미륵보살경술찬 | 서지형태유통서지
  • 사고 27 사고는 광고임. 파일분절할 필요없음. 삭제요망. 통속의학강좌 (7) 이용조 28 미륵존불과 을 뭇슴니다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 미의 재발견 해설 (4)-반가사유상 최순우 102 계획과 실천-계획은 생활향상의 첫걸음 유용제 106 계획과 실천-계획수립 방법론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4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불교]

    대승불교의 보살. 은 미래에 미륵불로 성불하여 중생을 제도하리라 믿었다. 은 인도 바라내국의 바라문 가문에서 탄생하여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받고 미리애 성불할 것이라는 수기를 받은 후 도솔천에 올라가 설법을 하고 있다. 미륵신앙은 대승불교의 종말론적 구원

  • 금동반가사유상 / 金銅半跏思惟像 [예술·체육/조각]

    고구려의 보살상. 국보 제118호. 1940년 5월 평안북도 평양시 평천리에서 병기창 공사를 하던 중 출토된 상이다. 전면에 녹이 많이 슬었고 오랫동안 흙 속에서 침식된 흔적이 뚜렷하며, 불에 탄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 감지은니미륵삼부경 / 紺紙銀泥彌勒三部經 [종교·철학/불교]

    1315년 『미륵삼부경』을 감색 종이에 은니로 필사한 불교경전. 3권 1첩. 보물 제1098호. 미륵삼부경은 관상생도솔천경(觀上生兜率天經, 일반적으로 彌勒上生經이라 칭함.)·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불설미륵성불경(佛說彌勒成佛經) 등 미륵신앙의 3대경전이다

  • 여래임실기 / 如來任實記 [문학/고전산문]

    入巫) 과정과 일치하기 때문에, 박청련은 무녀의 한 사람으로 추정된다. 이 다시 이 세상에 나타나 용화수 밑에서 성도(成道)한 다음 모든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신앙이 잘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 조선 말기의 민간신앙의 한 양상을 파악하는 데 주요 자료가 된다. 박

  • 진신설화 / 眞身說話 [문학/구비문학]

    부처·보살·신인 등이 사람의 형태로 현세에 출현하여 기적으로써 중생을 제도하는 내용의 설화.불교설화. 진신설화 속에서 진신을 나타내 보이는 신들은 석가불을 비롯하여 관음보살·문수보살·보현보살··지장보살 등이며, 진신을 목도하게 되는 인물들은 대체로 수도승 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