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미군진주”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1)

  • 8‧15광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후의 전반적 혼란 속에서도 한국사회에 대해서 가장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방송일 것이다. 1927년 이후 줄곧 일제의 선전도구로 이용당해온 방송은 광복 후 한국인들에 의해서 헌신적으로 재건되었다. 와 더불어 방송은 곧 미군정청이 장악하였고 1946년...

신문·잡지(1)

  • 98 공성회(孔成檜) 평양특별시 대환리 6 로동자신문사 쏘미공위속개를 맞이하여 민전은 민주임시 정부의 정권형태를 인민위원회로 할것을 재 강조한다. 인민위원회는 외국으로부터 수입한 정권형태가 아니라 해방직후 이전에 조선민족 해방운동의 역사...
    대표표제어로동자신문_1947_0605_01 | 책임주필공성회(孔成檜)

기타자료(1)

  • 73. Industry and trade (Mining and industry) Kyunggi Do:Records/Hayden A. Schettler, Major, CE, Military Head Dept. Mining and Industry, 1946.01.30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특히 이후 일본인 철수로 인해 해당 지역 산업이 심각한 문제에 봉착한 내용과 방직 등 몇몇 산업은 좋은전망 등 포함 Kyunggi Do, Industry, Trad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Depar...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Department of Mining and Industry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정치]

    1945년 9월 8일 일본군의 항복을 받기 위해 북위 38도 이남 지역에 미군이 진주한 일. 9월 8일 하지(Hodge, John)중장이 이끌고 인천에 상륙, 남한에 진주한 미군은 제24군단 4.6.7보병사단으로 약 7만 2천명이었으며, 같은 해 11월까지 남한 주요지

  • 인민위원회 / 人民委員會 [정치·법제/정치]

    다루는 부서를 두었다. 그러나 후 미군이 인민공화국을 부인하고 군정을 선언함으로써 인민위원회의 활동도 차츰 위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