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물푸레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1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9)

사전(9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내용] 학명은 Fraxinus rhynchophylla HANCE.이다. 높이 30m, 지름 50㎝에 달하는 키가 큰 나무로 소지는 회갈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다. 소엽...
  • 파주적성면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무건리에 있는 . [내용] 천연기념물 제286호. 높이 13.5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약 2.7m이며, 가지의 길이는 동서가 11.1m, 남북이 9.4m이다. 나무의 나이는 150년 정도로 추...
    연계항목파주적성면의물푸레나무(坡州積城面의물푸레나무)
  • 근대신어 : 애시(애쉬)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7203 애시 아항 애쉬 ash 植物.梣, 秦皮(스팈用材)]秦皮製스팈 식물. , 진피(스틱용재)]진피제스틱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637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동식광물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화이트애시(화잍⦁애쉬)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67386 화이트애시 하항 화잍⦁애쉬 white ash 植物. 北米産梣의 一種 식물. 북미산 의 하나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611 동...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동식광물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미선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내용] 학명은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이다. 높이는 1m 내외이고 가지는 사방으로 펴져서 밑으로 처지고 자줏빛이 돌며 4각형이다. 골속은 계단모양이다. 잎은 마주나...

고서·고문서(9)

  • 한 숲 계림이다. 경상북도, 경주, 계림, , 홰나무, 휘추리나무, 단풍나무, 김알지, 탄강전설 일본어 조정민 신동규 신동규 朝鮮慶州新羅古蹟, 鷄林 1Tóyōken. 조선 경주 신라 고적, 계림 1Tóyōken. 141mm×91.5...
    자료명계림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림엽서. 계림은 경주시 교동(校洞) 첨성대(瞻星臺)와 반월성(半月城) 사이에 있는 숲이며,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19호로 지정되었다. ·홰나무·휘추리나무·단풍나무 등의 고목이 울창하며, 신라 왕성(王姓)인 김씨의 시조 김알지(金閼智)의 탄생 전설이...
    자료명계림 | 발행처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은 경주 김씨의 시조인 김알지가 태어난 곳이라는 전설을 간직한 숲 계림이다. 엽서 캡션에도 이곳이 전설이 흐르는 곳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경상북도, 경주, 계림, , 홰나무, 휘추리나무, 단풍나무, 김알지, 탄강전설 일본어, 영어 조정민 신동규 ...
    자료명경주의 계림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은 경주시 교동(校洞) 첨성대(瞻星臺)와 반월성(半月城) 사이에 있는 숲으로 계림이라는 명칭은 숲에서 닭이 울었다는 데서 연유되었으며, 후에 국명으로도 쓰였다. 신라의 신성한 숲이라 하여 현재까지 보존되어 온다. 계림의 면적은 7,300㎡이며, ·홰나무·휘추...
    자료명경주 신라 유적 | 발행처慶州古蹟保存會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洞) 첨성대(瞻星臺)와 반월성(半月城) 사이에 있는 숲으로 계림이라는 명칭은 숲에서 닭이 울었다는 데서 연유되었으며, 후에 국명으로도 쓰였다. 신라의 신성한 숲이라 하여 현재까지 보존되어 온다. 계림의 면적은 7,300㎡이며, ·홰나무·휘추리나무·단풍나무 등...
    자료명계림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주제어사전(13)

  • /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과학/식물]

    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학명은 Fraxinus rhynchophylla HANCE.이다. 높이 30m, 지름 50㎝에 달하는 키가 큰 나무로 소지는 회갈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다. 소엽은 5∼7개로 난형, 넓은 난형, 넓은 피침형

  • / Fraxinus sieboldiana Bl. [과학/식물]

    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 잎은 마주나기를 하며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잎의 길이는 10∼15㎝이다. 작은 잎은 5∼9개이며 달걀형 또는 긴 달걀형이다. 작은 잎의 길이는 5∼10㎝, 너비는 1.5∼3.5㎝이다. 포린은 털이 없고 녹색 또

  • 고창 선운산 도솔계곡 일원 / 高敞禪雲山兜率溪谷一圓 [지리/자연지리]

    봉 등이 위치한다. 도솔계곡 일원에는 소나무를 비롯해서 산벚나무, 팥배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 고로쇠나무, 생강나무, 쇠물푸레, 산초나무, 작살나무, 예덕나무, 차나무, 고사리삼, 실맥문동, 원추리 등이 자라고 있다. 암벽 위에는 희귀식물인 석곡도 곳곳

  •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 / 高敞 中山里─ [과학/식물]

    다. 이팝나무는 과에 딸린 낙엽교목으로, 농촌에서는 꽃이 활짝 피면 풍년이 들고, 시들시들 피든가 꽃이 피지 않으면 흉년이 든다고 믿고 있다.

  • 미선나무 /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과학/식물]

    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높이는 1m 내외이고 가지는 사방으로 펴져서 밑으로 처지고 자줏빛이 돌며 4각형이다. 골속은 계단모양이다. 잎은 마주나고 난형 또는 타원상난형으로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짧은 대가 있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총상화서에 달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