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물시계” 에 대한 검색결과 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7)

사전(8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조선의 도읍을 한양으로 옮긴 뒤, 1398년(태조 7) 표준시계로 쓰기 위하여 서울의 종로에 경루(更漏)를 설치하였다. 그 뒤 세종은 장영실(蔣英實)과 김빈(金鑌)에게 자동 인 자격루(自擊漏)를 제작하게 하여 1434년(세종 16) 완성을 보게 되었다....
    이칭별칭각루|누각
  • 각루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의 관측을 맡아보던 관청. [내용] 922년(태조 5) 서경(西京)에 낭관(郞官)과 아관(衙官)을 두고 병부(兵部)‧납화부(納貨府)‧진각성(珍閣省)‧내천부(內泉府) 등을 설치하였는데, 각루원이 설치된 것도 대개...
  • 누각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 시간을 측정하던 기술자. [내용] 신라는 718년(성덕왕 17)에 누각전(漏刻典)을 설치하여 의 관측을 맡아보게 하였는데, 누각박사는 그 전문기술자였다. 정원은 6인이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 대루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시간을 기다림. 조정의 관리가 일찍 출근하여 조회(朝會)에 참석하기 위해 누각(漏刻)이 울리는 것을 기다림. ‘누(漏)’는 로 시각을 뜻함. 弟役役於待漏之役 緬想於鈴齋淸便 .切健羨而已 盛惠節. 感荷無已, 김만기(金萬基), 23-14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경루(更漏)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성희 [정의] 물의 증가 또는 감소를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조선시대의 . [개설] 조선시대에 를 지칭하여 경루(更漏)라고 하였다. 의 기원은 오래되지만, 조선시대에는 건국 초인 태조 때부터 사용되었다[...
    상위어루(漏) | 하위어자격루(自擊漏) | 동의어각루(刻漏), 누각(漏刻) | 관련어금루방(禁漏房), 누각박사(漏刻博士), 보루각(報漏閣), 장영실(蔣英實), 파루(罷漏), 행루(行漏)

고서·고문서(3)

  • 입하지 못했다고 한다. 저녁에 □□에서 □□을 보았다. ○○대행대왕의 유상(遺像)죽은 사람의 초상화을 추화(追畵)돌아가신 임금 용안 그리기하는 일에 이성군(利城君)과 성(成) 성(二相) 등이 총괄하게 되었다고 하다. ○지나다가 보루각(報漏閣)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조헌조(趙憲祖)가 와서 성(城) 위의 대지(代地)에 집을 지어도 무방하다는 것을 홍섬(洪暹)에게 아뢰게 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무방하다는 것을 홍섬(洪暹)에게 아뢰게 했다. ○박재지(朴載之)가 와서 오래 이야기하다가 갔다. ○금루(禁漏)궁중의 를 관장하는 관리 홍택(洪澤)이 왔는데, 글쓰는 일이 바빠서 만나지 못했다. ○박간지(朴衎之)와 최공근(崔公瑾) 등이 찾아왔다가 갔다. ○백순(伯順...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 등이 모여 이를 도왔는데, 일이 끝난 후에 헤어져 보냈다. ○아침에 석수(石手) 박계상(朴繼尙)이 구인손(具仁孫)을 따라와 (나를) 알현했다. “지금 보루각(報漏閣)에 관한 것을 맡아 보던 곳에서 일을 하고 있는데, 판각(判閣) 박한(朴翰) 댁의 땅 고르는 일...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6)

  • / 漏刻 [과학/과학기술]

    물의 증가 또는 감소로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 누각(漏刻)·각루(刻漏) 또는 경루(更漏)라고도 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에서는 718년(성덕왕 17) 누각전(漏刻典)을 두었고, 749년(경덕왕 8)에서야 누각박사 6인과 천문박사 1인을 두었다고 되어 있다. 그

  • 각루원 / 刻漏院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의 관측을 맡아보던 관청. 931년(태조 5) 서경에 낭관과 아관을 두고 병부(兵部)·납화부(納貨府)·진각성(珍閣省)·내천부(內泉府) 등과 함께 설치되었다.

  • 금루 / 禁漏 [과학기술/과학기술]

    금루는 궐내에 설치된 또는 그것을 지키는 금루원(禁漏員)의 직명. 세종(世宗) 7년에 천문·금루·풍수학의 습독인 정원수를 정할 때 금루원(禁漏員)을 40인으로 정하였으나,성종(成宗) 6년에 정원이 30인으로 약정되었다.

  • 복박사 / 卜博士 [과학기술/과학기술]

    고려시대 천문을 관측하던 관직. 복박사는 사천대(司天臺)에 소속되었는데, 이는 천문·역수·측후· 측정 등의 일을 담당하였던 관청이었다. 사천대는 초기에는 태복감(太卜監)이라 칭하였는데, 말기에 서운관(書雲觀)이라 개칭하였다.

  • 시계 / 時計 [과학기술/과학기술]

    시간을 재거나 시각을 타타내는 기계나 장치를 통튼 것이다. 물과 모래, 향이나 초, 별과 달의 운동 등을 이용한 시계를 자연시계라고 하는데,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시계는 기계시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5세기 자격루 등이 복잡한 기계장치를 활용한 였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