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물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9)
사전(337)
- 물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이철환으로부터 『물보』의 초본(草本)을 받아 손으로 베껴 두었는데, 그 뒤 재위의 『물보』를 보니, 그 편차가 구본(舊本)과 다르며, 책 이름 ‘물보’도 재위가 붙인 것이라 하였다. 이 책은 물명을 천생만물(天生萬物)과 인위만사(人爲萬事)로 구분하여 상‧하...
- 광재물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성지(李成之)가 엮은 『재물보』를 확대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그 보다는 후대에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1998년 홍문각에서 영인하였다. [내용] 권1에는 천도부(天道部)‧지도부(地道部)‧인도부(人道部)‧인륜부(人倫部)‧군도부(君道部...
- 재물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太極)‧천보(天譜)‧지보(地譜), 권2∼5는 인보(人譜), 권6∼8은 물보(物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보>에는 천지(天地)‧일월성신(日月星辰)‧육갑(六甲)‧역(曆)‧사시(四時)‧귀신(鬼神) 등 자연 현상에 대해 그 명칭과 기능‧별칭, 그 밖에 인간에게 미...
- 백두산식물보호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이 지정한 천연기념물의 하나. [내용] 백두산과 그 일대에 설정된 자연보호구이다. 이 보호구에는 47과 162속 262종 64변종 4품종의 330여 가지 식물이 자라고 있으며, 범‧사슴‧노루 등 50여 종의 산짐승을 비롯, 137종의 ...
- 근대신어 : 화물보험회사(貨物保險會社)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67313 화물보험회사 하항 貨物保險會社 貨物保險會社一千一百八十一年에猶太人이始設이라 화물보험회사는 1181년에 유대인이 처음 설립했다. 張志淵 萬國事物紀原歷史 2 皇城新聞社 1909 5...출전萬國事物紀原歷史[皇城新聞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상공업, 무역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126)
- 재물보(才物譜)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재물보(才物譜)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作物保護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作物保護辭典 농수해양학 농학 작물학 作物保護辭典 李斗珩 編 一潮閣 서울 1981 작물재배/생산; 농업 [국중]서고자료신...대표표제어作物保護辭典 | 대분류농수해양학 | 중분류농학 | 소분류작물학
- 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대표표제어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朝鮮国各港税関ニ於テ総陸揚及貨物保管ニ関シ郵船会社ヨリ出願一件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조선의 개항장 관리가 在朝蘚國日本人民貿易規則을 위배하여 자신들의 권리를 방해하는 데 대해 조치를 취해달라는 청원작성국가일본 | 원소장처外務省外交史料館 | 발신일1886.10.20-1887.7.4
구술자료(6)
- 나물보따리를 가져다 놓은 호랑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어미호랑이에 관한 이야기가 끝나자 좀 더 자세히 다음 이야기를 구연했다.조사일시2011.01.27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무정면 동산리 칠전마을회관 | 제보자전예금
- 나물보타리를 가져다 놓은 호랑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호랑이 이야기가 나오자 조사자가 호랑이에 관한 재미난 이야기가 있는가를 다시 물었다. 이에 제보자가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 했다. 조사를 간 6월은 시기적으로 농사가 한참인지라 유산각에서 조사하는 동안, 마을사람들은 경운기를 몰고 가거나 오토바이를 타 고 지나...조사일시2009.06.19 | 조사장소구례군 광의면 온당리 당동마을 129-1번지 당동마을회관 앞 유산각 | 제보자김동례(여, 85세)
- 호랑이 털이 얼룩덜룩한 이유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만남, 힘겨루기, 위기, 극복, 지혜, 꾀, 거짓말, 사기, 불, 호피 무늬, 유래, 몽골, 툭스자르칼, 서울시, 동대문구, 민담 그 ‘사람이 똑똑하다’라는. [조사자: 사람이 똑똑하다?] 사람이 동물보다 똑똑하다. 이제 요즘에 진짜 사람들한테 좋은 이야기인거 같은데국가몽골 | 제보자툭스자르칼 [몽골,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손으로 먹는 것에 대한 편견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국 사람들한테 내가 더러움의 개념에 대해 이야기를 해요. 더럽다는 것이 인도 사람들은 그 샤워하는 거. 그리고 어쨌든 더운 지방이니까는, 닦을 것 같으면 물보다 더 좋은 닦을 방법은 없다고. 그리고 어디든지 끝내고 나서는 비누로 손을 씻어, 인도 사람들이. 밥을 손국가인도 | 제보자바수무쿨 [인도, 남, 1964년생, 이주노동 2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황금구두 한 짝을 잃어버린 예센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찐빵이야.] 어 그러니까 제가 아까 교수님. 항상 무슨 빵이 굶으면 안 되는 민족이야. 빵이 막 이렇게 있어요. 근데 중국인들이 그런 게 있어요. 정말 손님이 와도 정말 거창하게 대접하는 걸 최고로 생각해요. 뭐 현물 선물보다 식사 대접을 거창한 거. 제일 미덕으로 첫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이화 [중국(한국계),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5)
- 독일법상 여행수하물보험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순희, 게재일 : 201352966 권순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상사법학회 2013 독일법상 여행수하물보험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수중운동이 여성노인 장애물보행 시 하지 협응에 미치는 영향 -훈련 및 훈련잔여효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석훈, 게재일 : 201449932 윤석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운동역학회 2014 수중운동이 여성노인 장애물보행 시 하지 협응에 미치는 영향 -훈련 및 훈련잔여효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상트 페테르부르그 영화사진소리기록물보관소 자료와 멀티미디어 콘텐츠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영상06594 임영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상트 페테르부르그 영화사진소리기록물보관소 자료와 멀티미디어 콘텐츠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유형논문
- 독일 연방기록물보관소 (Bundesarchiv Deutschlands) 의 사료와 다매체 컨텐츠 개발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노명환07849 노명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독일 연방기록물보관소 (Bundesarchiv Deutschlands) 의 사료와 다매체 컨텐츠 개발_preprint https://www.krm.or유형논문
- 셰이머스 히니의 공간적 상상력: ??산사나무 등??과 ??사물 보기??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미정, 게재일 : 2018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64513&local_id=10077356 셰이머스 히니의 공간적 상상력: 『산사나무 초롱』과 『사물보기』를 중심으로 https://www.krm.유형논문 | 게재일2018
신문·잡지(84)
- 减額充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각부부원쳥에 봉급예산이 부죡됨으로 그원을 감난 각부즁에 몬져감도 잇거니와 법우에셔난 이왕 유궐물보 참셔관이하 인이 잇난고로 부쥬 리인승씨만 감이 되얏다더라게재일1905년 10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多田榮吉(共同保管株式會社)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多田榮吉(共同保管株式會社) 신의주 多田榮吉 共同保管株式會社 濱町 2 - 주식회사 창고업 - 71 금전대부업,화물보관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표표제어多田榮吉(共同保管株式會社)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창고업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多田榮吉(共同保管株式會社)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多田榮吉(共同保管株式會社) 신의주 多田榮吉 共同保管株式會社 濱町 2 - 주식회사 창고업 - 71 금전대부업,화물보관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표표제어多田榮吉(共同保管株式會社)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창고업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조선_1934_23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朝鮮の寶物古蹟名勝天然記念物保存に就て 渡邊豊日子 1 朝鮮の植物に關する天然記念物保存に就て 三好學 8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4
- 보험월보_1973_12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보험과 경제성장 43 영국 동물보험에 관한 고찰 51 런던 보험자와 국제 선박보험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3
기타자료(31)
- 124. Telegram to WDSCA : 전문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사령관에 목화 사급품을 요구하는 전보. 허나 색이나 내용물보다 자연모의 길이가 중요하므로 27-32이거나 이보다 길면 받아들일 것 Cotton, Strict middling, Staple length, Indigenous, Trade, CG USAFIK,...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G USAFIK | 수신자WDSCA, SCAP
- 고구려왕이 그 아우를 파견해 신하를 칭하고 전연(前燕)에 입조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알 수 없으나, 일반적인 조공에서 바치는 토산물보다 수량이나 종류에서 더 특수한 의미를 지닌 물건들로 보인다. 로 바쳤다. 전연왕 모용황(慕容皝)이 이에 그 아버지의 시체를 돌려주었으나, 여전히 그 어머니를 인질로 삼아 억류하였다. (『三國史記』 18 高句麗本紀 6...대표표제어고구려왕이 그 아우를 파견해 신하를 칭하고 전연(前燕)에 입조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343년(癸卯/신라 흘해이사금 34/고구려 고국원왕 13/백제 비류왕 40/東晉 康帝 建元 1/倭 仁德天皇 31)
- 대구 신서동유적 -대구 신서동 823-23번지 일원 아파트 신축부지 내-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도,묘사서술(원고):한진연/유물보존처리:강정무/유물복원:함윤아/유물사진:이재영 (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 823-23번지 일원 대구광역시 동구 35˚ 50’ 50” 128˚ 43’ 40” 2,098㎡ 본 유적은 덕평건설...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대구광역시
- 울주 방기리 339번지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김종호,지윤미,전은영,김민경 정리‧복원:김종호,전은영,김현주/사진촬영:김종호/편집:김종호,전은영,김현주/원고:김종호,전은영,김현주/유물보존처리:송희정 울산발전연구원문화재센터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방기리 339번지 일원 울산광역시 울주군 1,0...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주)디더블유로지스틱스/(재)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 금호-동대구간 경부고속도로 확장구간내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 -대구 봉무동‧조야동‧둔산동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정창희,신영애/출토유물촬영ㆍ실측ㆍ제도:신영애,윤지선 /금속유물보존:김경희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한국도로공사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621-1번지 대구광역시 북구 조야동 산 69-2번지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 437-1, 448-2번지 대구광역시 동구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한국도로공사 | 발굴지역대구광역시
주제어사전(17)
-
물보 / 物譜 [언론·출판/출판]
1802년(순조 2) 이가환(李嘉煥)이 초고(草稿)를 쓰고, 그의 아들 재위(載威)가 이를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하여 엮은 어휘집. 1권 1책. 사본이며 광곽(匡郭 : 서책에서 판의 사방에 둘러친 선)이 없다. 재위가 쓴 서문에 의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물명칭에 소
-
광재물보 / 廣才物譜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 편자 미상의 일종의 백과전서. 4권 4책. 필사본. 간행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798년(정조 22)에 이성지(李成之)가 엮은 『재물보』를 확대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그 보다는 후대에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1998년 홍문각에서 영인
-
명기 / 明器 [종교·철학/유학]
무덤에 넣는 생활도구, 죽은 이를 위하여 일부러 만들어 무덤에 넣는 그릇이나 악기, 생활 용구따위의 기물이다. 무덤에 함께 묻어야 하기때문에 실물보다 작게 만든다.
-
사류박해 / 事類博解 [언어/언어/문자]
심노순(沈老淳)의 외할아버지 이공(李公)이 후학들을 인도하기 위하여 편찬한 유서(類書). 2권 1책. 필사본. 1855년(철종 6)에 김병규(金炳圭)가 그 아들의 친구인 심노순에게서 빌어 베껴 쓴 것이 전한다. 『재물보(才物譜)』·『몽유편(蒙喩篇)』 등과 비슷한 어
-
물명찬 / 物名纂 [언어/언어/문자]
1890년(고종 27)에 지은 물명에 관한 유서(類書). 1책. 필사본. 유모(柳某)가 지었다고 전한다. 『온각서록(蘊各書錄)』이라는 책의 앞 18장이 ‘물명찬’으로 되어 있다.『물명고(物名考)』나 『물보(物譜)』와 유사한 것으로서 한자로 된 표제어 밑에 한글 또는